$\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나무와 일본잎갈나무의 연륜생장과 기후 요소와의 상관관계 분석 및 생장예측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Climatic Factors and Radial Growth and Growth Prediction for Pinus densiflora and Larix kaempferi in South Korea 원문보기

韓國林學會誌 =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v.106 no.1, 2017년, pp.77 - 86  

정준모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산기술연구소) ,  김현섭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산기술연구소) ,  김미숙 (국민대학교 산림환경시스템학과) ,  전영우 (국민대학교 산림환경시스템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소나무(Pinus densiflora)와 일본잎갈나무(Larix kaempferi)의 연륜생장과 기후 요소와의 관계를 분석하고, 각 수종별 연구지역을 기후군집으로 분류하여 군집별 연륜기후학적 모델을 개발하였다. 또한 기후변화에 따른 연륜생장 변화를 RCP 기후변화 시나리오와 연륜기후학적 모델을 이용하여 예측하였다. 군집분석을 통한 소나무와 일본잎갈나무의 기후군집은 각각 4개로 분류되었다. 각 군집별 연륜기후학적 모델은 단계적 회귀분석으로 표준화된 잔차연대기와 군집별 기후변수를 이용하여 작성하였다. 소나무의 연륜기후학적 모델에는 각 4개씩의 기후변수가 사용되었고 $R^2$는 0.38~0.58로 나타났다. 일본잎갈나무 연륜기후학적 모델에는 2~5개의 기후변수가 사용되었고 $R^2$는 0.31~0.43으로 분석되었다. 수종별 연륜생장변화 예측은 RCP 4.5와 RCP 8.5 두 개의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이용하였다. 소나무 기후군집별 연륜생장예측은 백두대간 산악지역인 군집 4에서 연륜생장이 증가하였고 평균기온이 높은 군집 2와 군집 3에서는 연륜생장이 감소하였다. 일본잎갈나무는 월평균 최저기온이 낮은 군집 1과 평균기온이 높은 군집 2에서는 기후변화가 진행됨에 따라 연륜생장이 감소하였고, 동부해안지역인 군집 3과 해발고가 높은 지역인 군집 4에서는 연륜생장이 유지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소나무와 일본잎갈나무의 기후변화에 따른 연륜생장의 변화 예측에 필요한 유용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among climatic factors and radial growth of Pinus densiflora and Larix kaempferi in South Korea. To determine the climate-growth relationship, cluster analysis was applied to group surveyed regions by the climatical similarity, and a dendroclimat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소나무와 일본잎갈나무를 대상으로 연륜생장과 기후요소와의 관계를 규명하고 생장모델을 개발하여 기후 요소에 의한 연륜생장의 변화를 예측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 본 연구는 현재 우리나라에 많은 분포면적을 가지고 있으면서 목재 생산을 위한 주요 산림자원으로 이용되고 있는 소나무(Pinus densiflora Siebold and Zucc.)와 일본잎갈나무(Larix kaempferi (Lamb.) Carriére)를 대상으로 기후 요소와 연륜생장과의 관계를 규명하여 연륜기후학적 모델을 개발하고 RCP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이용한 기후변화에 따른 소나무와 일본잎갈나무의 연륜생장 변화를 예측하고자 시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후 요소가 연륜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기후변화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이유는? 산림에서의 기후변화에 따른 대응방안마련을 위해서는 기후 요소와 산림 내 임목 생장과의 상호관계를 규명하고 그 사이의 관계를 이해하는 과정이 우선되어야 한다. 임목의 생장 중 연륜생장은 기후및 환경변화와 밀접한 연관이 있어 기후 요소가 연륜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을 통해 기후변화에 관련된 보다 정확하고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Spiecker, 2002).
평균기온 상승이 미치는 영향과 그로 인한 문제점은? 한편 한반도에서는지난 100년간 지구 평균기온 변화보다 2배가 넘는 평균기온 상승이 나타난 것으로 보고되었다(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1). 이와 같은 기후변화는 다양한 생태계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특히 산림생태계에 식생분포와 생육한계선 변화, 생물종다양성 등에서 다양한 문제를 초래하고 있어(Kim and Kil, 1996; Cha, 1998) 임업분야에서도 기후변화에 따른 대응방안 수립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산림에서의 기후변화에 따른 대응방안마련을 위해서는 기후 요소와 산림 내 임목 생장과의 상호관계를 규명하고 그 사이의 관계를 이해하는 과정이 우선되어야 한다.
국내 연륜생장에 관한 연구가 가지는 한계점은? 하지만 최근까지 우리나라에서 이루어진 임목의 연륜생장에 관한 연구는 고기후 복원과 과거 유물에 사용된 목재를 이용한 연구가 대부분이었고 대상수종과 대상지역도 한정적이었다. 최근 들어 기후변화에 따른 영향을규명하기 위해 생태학적 측면에서의 연구가 다방면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rabatzis, A.A. and Burkhart, H.E. 1992. An evaluation of sampling methods and model forms for estimating height-diameter relation-ships in loblloly pine plantations. Forest Science 38(1): 192-198. 

  2. Box, G.E.P., Jenkins, G.M. and Reinsel, G.C. 1994. Time series analysis - forecasting and control. Prentice Hall, Englewood Cliffs. New Jersey, U.S.A. pp. 297. 

  3. Cha, G.S. 1998. Estimation of changes in potential forest area under climate change.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87(3): 358-365. 

  4. Chun, J.H. 2012. Assessing the Effects of Climate Change on the Geographic Distribution of Major Tree Species in Korea using Ecological Niche Model. Kookmin University. Seoul, Korea. pp. 190. 

  5. Chung, J.M., Kim, H.S., Lee, S.T., Lee, K.J., Kim, M.S. and Chun, Y.W. 2015. Correlation analysis and growth prediction between climatic elements and radial growth for Pinus koraiensis.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7(2): 85-92. 

  6. Cook, E.R. and Holmes, R.L. 1986. Users Manual for program ASTAN. University of Arizona. Arizona, U.S.A. pp. 182. 

  7. Cook, E.R. and Kairiukstis, L.A. 1990. Methods of Dendrochronology: Applications in the Environmental Sciences. Kluwer Academic Publishers. Dordrecht, Netherlands. pp. 394. 

  8. Fritts, H.C. 1976. Tree Rings and Climate. Academic Press. New York, U.S.A. pp. 567. 

  9. IPCC. 2007. Climate Change 2007: Synthesis Report. IPCC Fourth Assessment Report. Geneva, Switzerland. pp. 104. 

  10. Kim, J.U. and Kil, B.S. 1996. Estimation for changes of net primary productivity and potential natural vegetation in the Korean peninsula by the global warming.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19(1): 1-7. 

  11. Koo, K.A., Park, W.K. and Kong, W.S. 2001. Dendrochronological analysis of Abies koreana W. at Mt. Halla, Korea: Effects of climate change on the growths. Jou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24(5): 281-288. 

  12.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1. Case studies to understand and take advantage of climate change scenarios.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Seoul, Korea. pp. 44. 

  13. Laroque, C.P. and Smith, D.J. 2005. Predicted short-term radial-growth changes of trees based on past climate on Vancouber Island, British Columbia. Dendrochronologia 22: 163-168. 

  14. Louis, De Grandpre, Tardif, J.C., Hessl, A., Pederson, N., Conciatori, F., Green, T., Oyunsanaa, B. and Baatarbileg, N. 2011. Seasonal shift in the climate responses of Pinus sibirica, Pinus sylvestris, and Larix sibirica trees from semi-arid, north-centrial Mongolia. Canadian Journal of Forest Research 41(6): 1242-1255. 

  15. Seo, J.W. 1999. Spatiotemporal Analysis of Tree-Ring Variations in Pinus densiflora from Mt. Worak, Central Korea,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Cheongju, Korea. pp. 59. 

  16. Seo, J.W., Kim, J.S. and Park, W.K. 2000. Analysis of heterogeneous tree-ring growths of Pinus densiflora with various topographical characterisitecs in Mt. Worak using GIS.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23(1): 25-32. 

  17. Shin, M.Y. 1990. The use of ridge regression of yield prediction models with multicollinearty problems.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79(3): 260-268. 

  18. Shin, M.Y, Yun, J.W. and Cha, D.S. 1996. Local correlation of tree volume equation for Larix leptolepis by ratio of means estimator.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85(1): 56-65. 

  19. Speer, J.H. 2010. Fundamentals of tree-ring research. University of Arizona Press. Arizona, U.S.A. pp. 368. 

  20. Spiecker, H. 2002. Tree rings and forest management in Europe. Dendrochronologia 20(1-2): 191-202. 

  21. Wigley, T.M.L., Briffa, K.R. and Jones, P.D. 1984. On the average value of correlated time series with applications in dendroclimatology and hydrometeorology. Journal of Climate and Applied Meteorology 23(2): 201-21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