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부지방소나무의 생장특성 및 경험적 임분수확모델 개발
Characteristics of Growth and Development of Empirical Stand Yield Model on Pinus densiflora in Central Korea 원문보기

韓國林學會誌 =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v.106 no.2, 2017년, pp.267 - 273  

전주현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산업연구과) ,  손영모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산업연구과) ,  강진택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산업연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중부지방소나무에 대하여 현실림을 반영한 수확표를 조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현재 사용하고 있는 수확표는 정상적인 생육 이상의 군락을 대상으로 조사 분석한 결과로 현실림보다 과대한 값을 제공하여 법정림 외에 적용하기는 다소 어려운 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침엽수 대표 수종인 소나무를 대상으로 현실림에 대한 임분 생장량을 추정하였다. 본 연구에 이용한 자료는 국가산림자원조사(National Forest Inventory) 자료 중 1,957개의 중부지방소나무 표본점 자료를 이용하였다. 분석절차는 직경분포의 추정, 적합, 예측의 단계를 거쳤으며, 직경분포모델은 Weibull 함수를 이용하였다. 생장모델 내 평균직경과 평균흉고단면적 추정 시 사용한 모델은 Weibull과 Schumacher였다. 기준임령 30년을 바탕으로 중부지방소나무의 지위지수 범위는 8-14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분수확표 지위 12에 따르면, 30년생일때 연평균생장량(MAI)이 $4.42m^3/ha$로 나타났다. 기존 수확표와 비교하였을 때 본 연구결과의 연평균생장량이 더 낮은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는 법정림과 현실림의 지위지수별 연령별 재적의 차를 쌍체 T-검정(paired t-test)한 결과, 0.001이하의 p-value를 가져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중부지방소나무의 현실적인 산림 경영과 관리정책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struct a empirical yield table for Pinus densiflora in real forest. Since existing normal yield tables have been derived by studying and analyzing communities in ideal environment for tree growth, those tables provide more over-estimated values than ones from real fo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동적인 밀도변화가 이루어지는 생장모델이 아닌 자연적인 상태에서의 임분밀도 및 생장수확량을 파악할 수 있는 경험적인 임분수확표를 구현하고자 하였으며, 우리나라 중부지역을 대표하는 수종인 중부지방소나무에 대한 수확표를 만들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임분생장모델이란? 임분생장모델은 흉고단면적, 임분밀도, 임분재적, 직경분포 등의 인자를 기본 단위로 하는 모델이다. 이런 모델은 임분생장을 추정하기 위하여 몇몇의 기본 생장 변수만으로 미래 임분에 대한 다양한 생장 및 수확정보를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현대의 수확표에서 수확량뿐만 아니라 포함하고 있는 내용은? 첫 수확표는 1787년 독일에서 개발되었으며, 이후 100여년 동안 1,000종 이상의 수확표가 공표되었다(Vanclay, 1994). 현대의 수확표는 수확량뿐만 아니라 임분수고, 평균직경, 임목본수, 임분흉고단면적,연평균 재적생장량 등을 포함하고 있다. 수확표는 법정 수확표(normal yield tables)와 가변밀도수확표(variable density yield tables)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Leary, 1991).
수확표의 표본점을 설정할때 유의 해야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이 표는 임시표본점에서의 매목조사 등으로 데이터가 수집된다. 표본점을 설치할 때는 여러 입지조건을 반영할 수 있게끔 다양한 임령에서 완전한 밀도 또는 정상적 밀도비를 갖는 위치에 신중하게 설치하여야 한다. 수확표를 이용함으로서 유사한 임분특성을 갖는 동령림에서는 잠재적인 수확량을 제공받을 수 있으나 천연림에서는 한 임분에 너무 다양한 임령이 분포되어 있어 만족스러운 결과를 가져오기가 어렵다(Vanclay, 199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Bruce, D. and Schumacher, F.X., 1935. Forest Mensuration. 1st ed. New York. McGrw-Hill Co. pp. 376. 

  2. Chapman, D.G., 1961. Statistical problems in dynamics of exploited fisheries populations. In Proc. 4th Berkeley Symp. Math. Stat. and Prob., Univ. Calif. Press, Berkeley, pp. 153-168. 

  3. Clutter, J.L., Fortson, J.C., Pienaar, L.V., Brister, G.H. and Bailey, R.L., 1983. Timber management-A quantitative approach-. John Wiley & Sons. pp. 333. 

  4. Edwards, P.N. and Christie, J.M. 1981. Yield models for forest management. For. Comm. Booklet 48, pp. 32. 

  5. Garcia, O. 1981. Simplified method-of-moments estimation for the weibull distribution. New Zealand journal of Forest Science 11(3): 304-306. 

  6. Hamilton, G.J. 1988. Forest Meansureation Handbook. For. Comm. Booket No39, HMSO, London. pp. 274. 

  7. Leary, R.A. 1991. Near-normal, empirical, and identity yield tables for estimating stand growth. Can. J. For. Res. 21: 353-362. 

  8. NIFoS;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2012. Stand volume biomass and stand yield table. 3rd ed.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pp. 261. 

  9. Schumacher, F.X. 1939. A new growth curve and its application to timber yield studies. J. For. 37: 819-820. 

  10. Son, Y.M., Kim, S.W., Lee, S.J. and Lim, J.S. 2014. Estimation of stand yield and carbon stock for robinia pseudoacacia stands in Korea.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3(2): 264-269. 

  11. Son, Y.M., Kang, J.T., Hwang, J.S., Park, H. and Lee, K.S. 2015. Assessment and prediction of stand yield in cryptomeria japonica stands.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4(3): 421-426. 

  12. Reineke, L.H. 1927. A modification of Bruce's method of preparing timber yield tables. J. Agric. Res. 35: 843-856. 

  13. Richard, F.J. 1959. A flexible growth function for empirical use. J. Exp. Bot. 10: 290-300. 

  14. Vanclay, J.K. 1994. Modelling forest growth and yield : applications to mixed tropical forests. Southern Cross University, pp. 330. 

  15. Vuokila, Y. 1965. Functions for variable density yield tables of pine based on temporary sample plots. Commun. Unst. For. Fenn. 60(4): 1-86. 

  16. Weibull, W. 1951. Applied Linear Regression, 2nd. ed. Wiley, N.Y. pp. 32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