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우리나라 삼나무의 생장 및 수확량 평가와 탄소저장 및 흡수량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조사구는 전남, 경남 및 제주지역에 정상적으로 생육하는 삼나무 집단지에서 총 106개 표준지를 선정(이상치를 제외한 92개소 이용)하였다. 그리고 분석을 위하여 Weibull 직경분포 모델을 적용시켰다. 직경분포 추정을 위하여 흉고직경, 흉고단면적, 수고 등 생장인자별 생장 추정식을 도출하고, 이들에 대한 적합성을 검증하였다. 그리고 삼나무에 대한 지역별 임지생산력을 파악할 수 있는 지위지수를 Schumacher 모델로서 개발하였으며, 지위지수 추정의 기준임령은 30년으로 정하였다. 우리나라 삼나무의 지위지수 범위는 10~16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기준으로 임분수확표를 조제하였다. 임분수확표 지위 14에 의하면, 25년생일 때 연평균생장량(MAI)이 $7.6m^3/ha$인 것으로 나타나며, 임목축적 $190.1m^3/ha$이 될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는 편백보다 $20m^3$ 정도 높은 값이었다. 그리고 삼나무의 연간 탄소흡수량은 임령 25년에 2.14 tC/ha/yr, $7.83tCO_2/ha/yr$으로 최대값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타 침엽수와 비교해 보면, 편백($7.5tCO_2/ha/yr$)보다는 약간 높은 수준이나, 잣나무 $10.4tCO_2/ha/yr$, 낙엽송 $11.2tCO_2/ha/yr$ 보다는 낮은 수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삼나무의 생장 정보 활용 뿐만아니라 목재로서의 이용을 제고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look into the growth of Cryptomeria japonica stand in South Korea along with the evaluation on their yields, followed by their carbon stocks and removals. A total of 106 sample plots were selected from Jeonnam, Gyeongnam, and Jeju, where the groups of standard are 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이들이 어느 정도의 생장과 수확이 가능한 지를 파악하는 것이 우선 시 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삼나무에 대한 임분수확표를 조제함으로써 지역별로 또는 지위별로 현재의 임목생장량 평가가 가능하며, 또한 장래 수확량을 예측할 수 있는 기반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한편 본 연구에서는 주로남부 및 난대지역에 생육하는 삼나무가 기후변화에 따른 기온 상승 등으로 생육지가 북상할 것에 대비하여, 과연 환경적으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 수 있는 척도인 탄소 및 이산화탄소 저장과 흡수량을 산정해 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sano, H.Y. 2010, Ajusutment of The sysytem yield for Cryptomeria jaonica in Gunma prefecture, Gunma a Forestry Experiment Station Research Paper, 15: 39-44. 

  2. Clutter, J.L., Fortson, J.C., Pienaar, L.V., Brister, G.H., and Bailey, R.L. 1983. Timber management -A quantitative approach-. John Wiley & Sons. pp. 333. 

  3. Garcia, O. 1981. Simplified method-of-moments estimation for the Weibull distribution. New Zealand Journal of Forestry Science 11(3): 304-306. 

  4. IPCC. 2003. Good practice guidance for land use, land-use change and forestry. Institute for Global Environmental Strategies. Hayama, Japan. 

  5. IPCC. 2006. 2006 IPCC guidelines for national greenhouse gas inventories, volume 4 Agriculture, forestry and other land use. Institute for Global Environmental Strategies. Hayama, Japan. 

  6. Kim, D.C. and Yoo, J.W. 1977. A study on the growth and yield of Cryptomeria, Japanese Cypress stand. Research reports of Forest Research Institute 24:5-30. 

  7. Kim, K.M., Shim, S.R., Shim, K.B., Park, J.S., Kim, W.S., Kim, B.N., and Yeo, H.M. 2009. Development of structural glued laminated timber with domestic cedar. Mokchae konghak 37(3):184-191. 

  8. Kim, T.U. 2002. The woody plants of Korea. Kyo-Hak Publishing Co. pp. 38. 

  9. Kim, Y.H. 1987. A study of stem volume table of Cryptomeria japonica in Korea. Research reports of Forest Research Institute 34: 22-31. 

  10. Kim, Y.H. and Lee, H.K. 1990. Studies on the rotation age for major tree species(II) -on the characteristics of stand growth and rotation age for Cryptomeria japonica, Chamaesyparis obtusa and Populus euramericana-. Research reports of Forest Research Institute 41: 114-120. 

  11.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and Korea Forest Service. 2014. Tree Volume.biomass and Stand Yield Table. 198p. 

  12.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2012. Standard carbon removal of major forest species.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briefing memo. 

  13. Kozaka, J.I. 1964, Growth of a plantation of local cedar in Aomori, the law of the harvest, Forestry Journal Japan, 75: 92-95. 

  14. Lee, J.J., Yoo, H.M., Choi, I.G., and Lee, Y.W. 2011. Development of techniques for utilizing ceder plantation tree. Korea Forest Service. pp. 201. 

  15. Meyer, H.A. 1947. The structure and growth of rigida, beech, maple, hemlock forest in northern Pensylvania. Journal of Agriculture Research 12. 

  16. Okita, E.T. 1960. A Study on the forest tree growth of the redwood forest and soil conditions of the Tottori, Japanese forest workshop, 70. 

  17. Son, Y.M., Kim, R.H, Lee, K.H., Pyo, J.K., Kim, S.W., Hwang, J.S., Lee, S.J., and Park, H. 2014. Carbon emission factors and Biomass allometric equations by species in Korea.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Report 14-8. pp. 97. 

  18. Son, Y.M., Kim, S.W., Lee, S.J., and Kim, J.S. 2014. Estimation of stand yield and carbon stock for Robinia pseudoacacia stands in Korea.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3(2): 264-269. 

  19. Son, Y.M., Lee, K.H., Kwon, S.D., and Lee, W.K. 2004. Forest value assessment and prediction by major species. Research reports of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04-01. pp. 125. 

  20. Terasaki, Y.M. 1964. A study on the structure, growth and harvest of stand, Japan, a Forestry Experiment Station Research Paper 168: 1-30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