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북한 4·5차 핵실험의 기술적 평가
Technical Assessment of North Korea 4th and 5th Nuclear Test 원문보기

韓國軍事科學技術學會誌 = Journal of the KIMST, v.20 no.3, 2017년, pp.454 - 466  

이호찬 (육군사관학교 물리화학과) ,  이상규 (육군사관학교 물리화학과) ,  정관 (육군사관학교 물리화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North Korea intended to increase the power of its nuclear weapons and standardize warhead to be loaded in ballistic missiles through the $4^{th}$ and $5^{th}$ nuclear tests. In this study, three kinds of nuclear weapons that North Korea might have used in the $4^{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국제사회의 강도 높은 비난과 제재 속에서도 북한이 핵무기개발을 포기하지 못하는 데는 여러 가지 정치적, 군사적 이유가 있겠지만 본 연구에서는 그들의 기술적 목표에 집중하고자 한다. 핵실험과 더불어 북한은 핵무기의 주요 투발수단인 탄도미사일 기술 확보와 전력화를 위해 끊임없이 미사일 발사 시험을 해왔다.
  • 먼저 핵연료 재처리에 의한 Pu-239나 우라늄 농축프로그램(UEP)에 의한 U-235를 이용한 핵분열무기 실험의 가능성을 살펴보자. 과거 1~2차 핵실험을 통해 북한은 재래식 핵무기의 탄두를 개량해 나가고 있다는 평가를 받았다.
  • 본 연구에서는 북한 핵개발의 기술적 목표에 대해 간략히 언급하고, 실험식과 몬테칼로 모델링을 이용하여 지난 4, 5차 북한 핵실험의 위력을 분석한 후 가능성 있는 핵무기의 종류를 제시할 것이다. 또한 폭발 깊이를 고려한 핵무기 위력 산출 실험식을 이용하여 북한의 4, 5차 핵실험의 설계위력에 대한 기술적 분석을 실시하고 두 차례의 핵실험이 가지는 의미에 대해서 논의할 것이다.
  • 순수 핵분열무기를 사용했을 경우를 좀 더 살펴보자. 2차 핵실험의 설계위력 4 kt를 위해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측되는 Pu-239의 양은 대략 2 kg이다[14].
  • 이번에는 5차 핵실험의 위력에 대해 살펴보자. Table 8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Zhang, 2013의 식으로 계산한 5차 핵실험의 위력은 27.

가설 설정

  • 2.2 북한은 수소폭탄을 개발했을까?

  • 북한이 7년 전 2차 핵실험 당시 터뜨린 약 2 kt의 Pu-239 핵분열무기(Pu-239 2 kg 이 약 5 %의 효율로 폭발)는 재래식 핵무기의 기폭효율보다는 낮지만 1차에 비해서는 비교적 성공적이었다고 평가받고 있는데[14], 이것을 소형 열핵무기의 1단계 탄으로 이용했다고 가정해보자. 또한 2단계 탄에서 융합반응을 일으킨 중수소(D)-삼중수소(T)가 1 kg 정도의 적은 양이라고 가정한다면 이 수소폭탄의 설계위력은 80 kt급의 핵무기였다고 할 수 있다4).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핵무기 종류를 판단 할 때 가장 기초적인 자료는 무엇인가? 핵무기 종류를 판단할 때 가장 기초적인 자료는 핵무기의 위력이다. 수소폭탄이라면 핵무기 위력이 최소 100 kt 이상이 되어야 한다.
북한의 핵실험의 목표는 무엇이라고 추정되는가? 북한이 계속된 시험발사를 통해 전력화를 시도하고 있는 무수단 미사일을 비롯하여 다양한 중장거리 탄도미사일의 제원을 살펴보면 북한 핵실험의 기술적 목표를 어느 정도 추정할 수 있다. Table 3[8]에서 북한이 보유하고 있거나 전력화를 추진하고 있는 미사일들이 실을 수 있는 탄두의 중량이 1,000 kg 이하인 점과 2016년 8월 시험발사에 성공한 SLBM의 경우에도 탄두 중량이 650 kg 정도라는 점에 주목하면, 북한의 핵실험은 자신들이 가지고 있는 투발수단의 역량에 맞게 핵무기를 탄두(warhead)의 형태로 소형화, 경량화 하는데 그 목표가 있다고 추정 할 수 있다[9].
지진규모폭발력 실험식을 통해 북한의 핵실험 위력을 산출해보았을 때 예측 폭발력의 차이가 매우 큰 이유는 무엇인가? 3 Mb로 관측되었는데 이를 Table 1의 지진규모폭발력 실험식을 통해 산출하면 최소 3 kt에서 최대 50 kt까지 차이가 매우 커진다. 이는 과거 한반도에서 핵실험이 이루어진 전례가 없어 인공 지진의 규모와 폭발력 사이의 실험식이 한국 지형에 맞게 정립된 바가 없어서 생기는 혼란이다. 이에 한국지질자원연구원(KIGAM)에서는 1차 핵실험 이후 지진파의 규모를 직접 관측하고, CTBTO의 IMS 관계식을 기초로 한반도지형특성에 맞게 고위력 핵실험의 위력을 추정하는 관계식을 발표하였는데2) KIGAM이 발표한 핵실험의 지진파 규모와 핵무기 추정 위력은 각각 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J. Murphy, "P-wave Coupling of Underground Explosions in Various Geologic Media," in E. S. Husebye and S. Mykkeltveit(eds.), Identification of Seismic Sources-Earthquake or Explosion, pp. 201-205, 1981. 

  2. Ringdal et al., "Seismic Yield Determination of Soviet Underground Nuclear Explosions at the Shagan River Test Site," Geophys. J. Int., Vol. 109, pp. 65-77, 1992. 

  3. Murphy et al., "Application of Network - Averaged Teleseismic P-wave Spectra to Seismic Yield Estimation of Underground Nuclear Explosions," Pure Appl. Geophys., Vol. 158, pp. 2123-2171, 2001. 

  4. Murphy et al., "Exploitation of the IMS and Other Data for a Comprehensive, Advance Analysis of the North Korean Nuclear Tests," Monitoring Research Review, Ground-Based Nuclear Explosion Monitoring Technologies, 2010. 

  5. Ni et al., "Rapid Source Estimation from Global Calibrated Paths," Seismol. Res. Lett. 81, pp. 498-504, 2010. 

  6. Rougier et al., "Constraints on Burial Depth and Yield of the 25 May 2009 North Korean Test from Hydrodynamic Simulations in a Granite Medium,"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Vol. 38, L16316, 2011. 

  7. John Schilling, A New Submarine-Launched Ballistic Missile for North Korea, U.S.-Korea Institute at the Paul H. Nitze School of Advanced International Studies(SAIS), Johns Hopkins University, http://38north.org/, 2016. 

  8. North Korean Ballistic Missile Models. Retrieved April 16, 2017, from http://www.nti.org/analysis/articles/north-korean-ballistic-missile-models/ 

  9. Mary Beth Nikitin, "North Korea's Nuclear Weapons: Technical Issues," CRS Report for Contress, Contressional Research Service, 2013. 

  10. Tal Inbar, "Credible Threat? DPRK(North Korea) Missile Program Technical Analysis and Global Implications," Addressing The North Korean Ballistic Missile Threat To The United States(Presentation at the MDAA Congressional Roundtable Discussion), Washington, D.C., April, 2016. 

  11. Zhang Hui, "Revisiting North Korea's Nuclear Test," China Security, Vol. 3, No. 3, pp. 119-130, 2007. 

  12. Mary Beth D. Nikitin, "North Korea's January 6, 2016, Nuclear Test," CRS Insight, 2016. 1. 7. 

  13. "United States Nuclear Tests July 1945 through September 1992," U.S. Department of Energy Nevada Operations Office, DOE/NV-209-REV 15 December 2000. 

  14. Joo Hyun Moon, "Assessment of North Korea's Nuclear Capability through Nuclear Tests' Yields," The Korean Journal of Unification Affairs, Vol. 53, 2010. 

  15. Zhang et al., "High-precision location and yield of North Korea's 2013 Nuclear Test," Geophysics Research Letters, Vol. 40, 2941-2946, 2013. 

  16. Chun et al., "Magnitude Estimation and Source DiscriminationL A Close Look at the 2006 and 2009 North Korean Underground Nuclear Explosions," Seismological Society of America, Vol. 101, pp. 1315-1329, 2011. 

  17. Gibbons et al., "Accurate Relative Location Estimaties for the North Korean Nuclear Tests using Empirical Slowness Corrections," Geophys. J. Int., Vol. 208, pp. 101-117, 2017. 

  18. Sangmin Lee, "The Technological Assessment of the Fourth North Korean Nuclear Test and the Prospect of Future Tests," Korea Defense Issue and Analysis, Vol. 1606(16-7), 2016. 2. 15. 

  19. Choon Geun Lee, "Scientific Understanding of the Under Ground Nuclear Test,"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Institute, 2007. 

  20. Thomas B. Cochran, Christopher E. Paine, "The amount of Plutonium and Highly-Enriched Uranium Needed for Pure Fission Nuclear Weapons," Natural Resources Defense Council Report, 1994. 

  21. John Schilling, North Korea's Large Rocket Engine Test: A Significant Step Forward for Pyongyang's ICBM Program, U.S.-Korea Institute at the Paul H. Nitze School of Advanced International Studies (SAIS), Johns Hopkins University, http://38north.org/, 2016. 

  22. David Albright, "Future Direction in the DPRK's nuclear Weapons Program: Three Scenarios for 2020," US-Korea Institute at SAIS, p. 24,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