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제지향 훈련 후 뇌성마비아동의 신체기능, 활동 및 참여의 변화
Changes in Body Function, Activity and Participation Following Task-oriented Training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원문보기

대한물리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v.14 no.4, 2019년, pp.71 - 80  

양혜윤 (한국교통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강순희 (한국교통대학교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examined whether a task-oriented training program is an effective intervention to improve the body function, activity, and participation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CP). METHODS: Ten children with CP (7-13 years old) performed a task-oriented training program for eight week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ICF에 근거한 중재목표 설정 및 평가를 통해 8주간의 과제지향 훈련이 뇌성마비아동들의 신체기능, 활동 및 참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성마비란 무엇인가? 뇌성마비는 미성숙한 뇌에 여러 가지 병변이나 기형 으로 인해 2차적으로 운동장애와 자세이상을 보이는 비진행성 증후군이다[1]. 뇌성마비 아동들은 운동장애와 자세이상으로 인하여 신체기능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 활동과 참여에 어려움을 가진다.
과제지향 훈련프로그램의 전과 후를 비교하여 변화된 점은 무엇인가? 뇌성마비 아동들의 신체기능에 해당되는 부분을 ICF에 근거하여 평가하기 위하여 훈련 전⋅후에 소형근력계(등척성 근력), 전자 관절각도계(관절가동범위), 수정된 Ashworth 척도(근 긴장도) 및 BPM(정적 균형능력) 및 BOTMP(동적 균형능력)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훈련 전보다 훈련 후에 고관절 굴곡근, 신전근 및 외전근, 슬관절 굴곡근 및 신전근, 족관절 족저굴곡근 및 족배굴곡근 근력이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와 같이 훈련 후 하지 근력이 증가된 이유로는 과제지향훈련프로그램의 과제가 ‘의자에 앉은 자세에서 일어서기’ 등과 같이 하지 근력 강화와 관련된 과제특성으로 인하여 하지 근력 증가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생각된다.
과제지향 훈련이 뇌성마비 아동들에게 주는 효과는 무엇인가? 과제지향 훈련은 운동학습을 기초로 하여 일상생활에 관련되는 활동과제를 반복적으로 훈련함 으로써 기능적인 조직화를 돕는 것이며 뇌성마비아동 들의 기능적인 수행에 효과적이고, 아동들에게 흥미 있는 과제를 제공함으로써 동기를 유발시켜 기능적인 움직임을 보다 쉽게 이끌어 낼 수 있는 훈련방법이다 [5]. Salem과 Godwin [6]에 의하면 과제지향 훈련은 뇌 성마비아동들이 삶에서 필요로 하는 활동들을 연습함 으로써 운동학습을 통하여 신체기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라고 하였다. 또한 과제지향훈련이 뇌성마비 아동들의 운동기능과 자세안정성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인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Bax M, Goldstein M, Rosenbaum P, et al. Proposed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of cerebral palsy. Dev Med Child Neurol. 2005;47(8):571-6. 

  2. Dahl Th. International Classifications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an introduction and discussion of its potential impact on rehabilitation services and research. J Rehabil Med 2002;34(5):201-4. 

  3. World Health Organization. World Health Organization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Geneva. WHO Library Cataloguing-in-Publication Data. 2001. 

  4. Barbeau H, Fung J. The role of rehabilitation in the recovery of walking in the neurological population. Current Opinion in Neurology. 2001;14(6): 735-40. 

  5. Biundell SW, Shepherd RB, Dean, et al. Functional strength training in cerebral palsy: a pilot study of a group circuit training class for children aged 4-8 years. Clin Rehabil. 2003;17(1):48-57. 

  6. Salem Y, Gowin EM. Effects of task-oriented training on mobility function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NeuroRehabilitation. 2009;24(4):307-13. 

  7. Kim JH, Choi YE. The Effect of Task-oriented Training on Mobility Function, Postural Stability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J Korean Soc Phys Med. 2017;12(3):79-84. 

  8. Rothstein JM, Echternach JL, Riddle DL. The Hypothesis-Oriented Algorithm for Clinicians II (HOAC II): a guide for patient management. Phys Ther. 2003;83(5):455-70. 

  9. Himmelmann K, Hagberg B, Beckung, et al. The changing panorama of cerebral palsy in Sweden. IX. Prevalence and origin in the birth-year period 1995-1998. Acta Paediatr. 2005;94(3):287-94. 

  10. Rosenbaum P, Stewart D.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a model to guide clinical thinking, practice and research in the field of cerebral palsy. Semin Pediatr Neurol. 2004;11(1):5-10. 

  11. Simeonsson RJ, Leonardi M, Lollar D, et al. Applying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ICF) to measure childhood disability. Disabil Rehabil. 2003;25:602-10. 

  12. Cieza A, Brockow T, Ewert T, et al. Linking health-status measurements to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J Rehabili Med. 2002;34(5):205-10. 

  13. Wikholm JB, Bohannon. Hand-held dynamometer measurements: tester strength makes a difference. J Orthop Sports Phys Ther. 1991;13(4):191-8. 

  14. Reese NB. Muscle and Sensory Testing. St. Louis. Elsevier Inc. 1999. 

  15. Sackley CM, Baguley BI, Gent S, et al. The use of a balance performance monitor in the treatment of weightbearing and weight-transference problems after stroke. Phys Ther. 1992;78(12):907-13. 

  16. Bruinkinks RH. Bruinins-Osretsky Test of Motor Proficiency: examiners manual. American Guidance Service. 1978. 

  17. Engelen V, Ketelaar M, Gorter JW. Selecting the appropriate outcome in paediatric physical therapy: how individual treatment goals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re reflected in GMFM-88 and PEDI. J Rehabil Med. 2007;39(3):225-31. 

  18. Morris C, Bartlett D. Gross Motor Function Classification System: impact and utility. Dev Med Child Neurol. 2004;46(1): 60-5. 

  19. Russell DJ, Rosenbaum PL, Gowland C, et al. Gross Motor Function Measure Manual, 2nd ed. Hamilton. McMaster University. 1993 

  20. Podsiadlo D, Richardson S. The timed "Up & Go": a test of basic functional mobility for trail elderly persons. J Am Geriatr Soc. 1991;39(2):142-8. 

  21. Rietdyk S, Patla AE, Winter DA, et al. NACOB presentation CSB New Investigator Award. Balance recovery from medio-lateral perturbations of the upper body during standing. J Biomech. 1999;32(11):1149-58. 

  22. Song CH, Choi KW, In TS. Effects of progressive taskoriented resistive training on lower extremity strength, balance and gait in stroke. J Special Edu Rehab Scie. 2010;49(2):157-79. 

  23. Kwon HY, Ahn SY, Kim BJ. Effects of task-oriented training program on mobility, balance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children with spastic diplegia. The Korea Journal of Sports Science. 2014;23(2):1167-82. 

  24. Shin EK, Song BH. The effect of task-oriented circuit program on motor function improvement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Neurotherapy. 2007;16(1):26-36. 

  25. Kim SM. Effects of task-oriented circuit class training on improves performance of locomotor in disabled persons after stroke. J Korean Soc Phys Med. 2011;16(4):447-54. 

  26. Choi SJ, Shin WS. The Effect of Patient-Selected, Task-Oriented Training 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Quality of Life, and Depression in Stroke Patients. J Korean Soc Phys Med. 2014;9(2):213-22. 

  27. Graham H, Selber P. Musculoskeletal aspects of cerebral palsy. J Bone Joint Surg. 2003;85-B(2):157-66. 

  28. Damiano DL., Abel MF. Functional outcomes of strength training in spastic cerebral palsy. Arch Phys Med Rehabil. 1998;79(2):119-25. 

  29. Yang, HY. The effects of task-oriented training program on body function, activity and participation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Doctor's Degree. Chungju National University.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