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사용 후 화학촉매제품의 재자원화 현황 및 향후 방향
Status and Strategy on Recycling of Domestic Used Chemical Catalysts 원문보기

資源리싸이클링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Resources Recycling, v.26 no.3, 2017년, pp.3 - 16  

김영춘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자원순환기술지원센터) ,  강홍윤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자원순환기술지원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화학촉매제품은 석유화학공정, 대기오염방지시설, 자동차 배기가스 정화 장치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국내외 화학촉매 시장은 매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그에 따라 발생되는 폐촉매량도 증가하고 있다. 탈황 폐촉매, 자동차 폐촉매 등 대부분의 사용 후 화학촉매제품은 유가금속을 함유하고 있어 경제적 가치와 자원 확보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순환자원이다. 이에 일부 도시광산업체를 통해 유가금속을 회수하는 재자원화 공정이 상용화 되어 있고, 사용 후 SCR 탈질 촉매제품은 일부 재제조를 통해 자원순환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사용 후 화학촉매제품의 재자원화 산업 지원 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하도록 주요촉매제품별 국내 발생량 및 재자원화 현황을 조사 분석하였으며, 사용 후 화학촉매제품의 자원순환 활성화를 위한 발전과제를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hemical catalyst products are applied to various fields such as petrochemical process, air pollution prevention facility and automobile exhaust gas purifier. The domestic and overseas chemical catalyst market is increasing every year, and the amount of waste catalyst generated thereby is also inc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여러 개의 허니컴이 하나의 모듈을 구성하고 있으며, 재제조시 여러개의 모듈로 이뤄진 SCR 탈질 폐촉매를 수거하여 각각의 모듈별로 재제조공정을 거쳐 재제조 SCR 탈질 촉매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본 장에서는 국내에서 가장 많이 설치되어 있는 석탄화력발전소에 사용되는 SCR 탈질 촉매제품 모듈 1개를 온실가스 저감 효과 분석을 위한 기준으로 설정하였다.
  • 이에 본 논문에서는 국내에서 발생하는 주요 폐촉매(제품) 발생량 및 재자원화 현황 조사·분석을 위해 관련 국가 통계, 업계 조사, 전문가 면담 등을 실시하여, 국내 화학촉매제품 재제조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발전과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 주요 폐촉매인 탈황촉매, 자동차 배기가스 정화 촉매 등은 몇몇 도시광산기업을 통해 거의 대부분 유가금속 회수를 위해 재자원화되고 있지만 SCR 탈질 폐촉매의 경우 재자원화(재제조) 비율이 전체 발생량의 10% 내외로 재자원화 비율을 높일 필요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현재 국내에서는 SCR 탈질 폐촉매의 재자원화는 재제조를 통해서만 이루어지고 있어 본 장에서는 SCR 탈질 촉매제품의 재제조를 통한 온실가스 저감 효과를 분석하여 그 필요성을 강조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촉매제품의 대표적인 자원순환 방법은 무엇이 있는가? 자원순환이란 관점에서 폐기보다는 재자원화하는 것이 천연자원 사용 절감, 유지관리비용 절감 등에 효과적이다. 촉매제품의 대표적인 자원순환 방법으로는 자원이용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온실가스 감축에 기여할 수 있는 재제조(Remanufacturing)와 물질재활용(Recycling)이 있다1)(Fig. 1).
화학촉매제품을 구성하는 촉매물질이 기능을 상실할 경우 어떻게 되는가? 화학촉매제품은 그 종류와 적용분야가 매우 다양해지고 산업이 고도화되면서 시장규모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화학촉매제품을 구성하는 촉매물질은 대부분 소모성 물질로서 그 수명에 한계가 있어 촉매로서 기능을 상실할 경우 촉매물질 뿐만 아니라 촉매제품을 구성하는 담지체, 지지체 등도 함께 대부분 폐기된다. 자원순환이란 관점에서 폐기보다는 재자원화하는 것이 천연자원 사용 절감, 유지관리비용 절감 등에 효과적이다.
화학촉매제품 중 환경분야 적용 촉매제품은 무엇이 있는가? 화학촉매제품은 크게 환경분야 적용 촉매제품과 화학 공정분야 적용 촉매제품으로 구분할 수 있다. 환경분야는 대표적으로 발전소, 소각로 등에 적용되는 SCR(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선택적 촉매환원) 탈질촉매, 가솔린 자동차의 삼원촉매 및 디젤 자동차에 적용되는 DOC-DPF, 일반 사업장에서 발생되는 휘발성유기화학물 제거를 위한 VOCs 제거 촉매 등이 있다. 화학공정분야의 경우 석유화학공정에서 사용되고 있는 원유에 포함되어 있는 황화합물을 제거하기 위한 탈황 촉매, 옥탄가가 낮은 나프타를 고옥탄가 휘발유로 개질하기 위한 접촉개질촉매, 감압경유를 분해하여 휘발유를 제조하기 위한 접촉분해촉매 등이 있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Hong-Yoon Kang, Young-Chun Kim, and Il-Seuk Lee, 2012 : Current Status and Promotional Measures of Domestic and Overseas Remanufacturing Industry, J. Korean Institute of Resources Recycling, 21(4), pp. 3-15. 

  2. Junghee Hong, 2015 : Status on remanufacturing technology and market of used Chemical catalyst production, Sustainable Industrial Development, 18(5), pp. 6-17. 

  3. Ministry of Environment, 2016 : The Comprehensive guide of recycling management system to promote industrial resource efficiency 

  4. Resource Circulation Information System (https://www.recycling-info.or.kr) : Status of waste generation and disposal in Korea 

  5. Resource Circulation Information System (https://www.recycling-info.or.kr) : Status of designated waste generation and disposal in Korea 

  6. Resource Circulation Information System (https://www.recycling-info.or.kr): The amount of wastes generated by the workplace by region (city, county, ward) and treatment status by treatment method 

  7. Nano Corporation, 2016 : Investment Prospectus. 

  8. http://www.sedaily.com/NewsView/1L01B023A8 

  9. Yongsoo Kim and Yonggeol Lee, 2015 : Introduction of Deep Desulfurization Catalyst Technology, News & Information for Chemical Engineers, 33(4), pp. 469-478. 

  10. Ministry of Environment, 2006 : Report on the results of investigation on the generation and treatment of waste catalyst. 

  11. Young-Shik Kwon, Jae-chun Lee, Do yun Shin, Seung-Hoon Yi, Hyung-Jin Kim, and Yoon-Geun Choi, 2014 : "A Review on Recycling of Spent Autocatalyst in Korea", J. Korean Institute of Resources Recycling, 23(1), pp. 3-16. 

  12. The Korean Institute of Resources Recycling, 2014 : Recycling white paper 2014. 

  13. Hae-Kyung Park, 2016 : "Status of remanufacturing and commercialization of chemical catalyst products", International Remanufacturing Conference 201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