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감화중환으로 호전된 중증 원형탈모 치험 5례
Five Cases of Severe Alopecia Areata Treated with Gagamhwajung-hwan 원문보기

韓方眼耳鼻咽喉皮膚科學會誌 = The journal of Korean Medicine Ophthalmology & Otolaryngology & Dermatology, v.30 no.3, 2017년, pp.239 - 249  

최승범 (발머스한의원) ,  강정아 (발머스한의원) ,  이정환 (발머스한의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port the effectiveness of Gagamhwajung-hwan in five severe alopecia areata patients. Methods : This case study was conducted for five severe alopecia areata patients who visited Korean Medicine Clinic. Herbal medicine(Gagamhwajung-hwan) was prescribed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동일 처방을 활용한 다수의 중증 원형탈모환자에 대한 치료 보고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저자는 가감화중환으로 중증 원형탈모 5례에 대해 유의한 치료효과를 얻어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 하지만 기존 보고들은 모두 1례에 불과하며, 중증의 원형탈모에 대하여 동일 처방을 활용한 다수의 증례보고는 없었다. 이에 저자는 가감화중환으로 호전된 중증원형탈모 치험 5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원형탈모의 유병율은 어느정도인가? 원형탈모의 유병율은 전 인구의 0.16~0.2%이며, 약 1.7%는 일생 중 한번 이상 원형탈모증을 경험한다3).
원형탈모증의 특징은? 원형탈모증은 비교적 흔한 질환으로, 두피에 하나 혹은 여러 개의 난원형 탈모반이 발생한다. 탈모증이 발생할 때 일반적으로 아무 증상이 없으며 드물게 가려움증 혹은 통증을 동반할 수 있다1).
원형탈모증이 발생할때 어떠한 증상이 있는가? 원형탈모증은 비교적 흔한 질환으로, 두피에 하나 혹은 여러 개의 난원형 탈모반이 발생한다. 탈모증이 발생할 때 일반적으로 아무 증상이 없으며 드물게 가려움증 혹은 통증을 동반할 수 있다1). 또한 환자의 20~30%가 원형탈모증 발생 전에 겪은 심한 정신적인 스트레스를 호소하지만 현대의학에서는 원형탈모를 자가면역으로 인한 염증 질환으로 보고 있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Koran Dermatology Association. Textbook of Dermatology. 6th ed. Seoul:Med book. 2014:551-7. 

  2. Lee SG, Shin JH, Choi GS. Therapeutic Effect of Topical Diphenylcyclopropenone (DPCP) for the Treatment of Extensive Alopecia areata. Korean J Dermatol. 2004;42(9):1130-7. 

  3. The Text Compilation Committee of Korean Dermatological Association. Dermatology. 4th ed. Seoul:Yeomoongak. 2001:479. 

  4.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cited 2017 March 16]. Available from: [URL] http://kosis.kr/statisticsList/statisticsList_01List.jsp?vwcdMT_ZTITLE&parentIdD#SubCon. 

  5. Mandani S, Shapiro J. Alopecia areata update. J Am Acad Dermatol. 2000;42:549-66. 

  6. Sowonbang. Jebyeongwonhurongkyoju. Beijing:Inminwisaeng pub. 1983:761-9. 

  7. Kim JS, Park SY. A Case of Alopecia areata treated with Korean Medical Treatment. Herbal Formula Science. 2016;24(2):124-30. 

  8. Jeong IK, Jo HY, Kim TH, Kim NS, Jeong HS, Lee CH. Experimental Studies on the Hair Growth Activity of Extracts of Pinelliae Rhizoma in Spontaneous Alopecia Model and Normal C57BL/6N Mice. Korean Society of Oriental Pathology. 2009;23(1):84-92. 

  9. Olsen EA, Hordinsky MK, Prince VH, Roberts JL, Shapiro J, Canfield D, et al. Alopecia areata investigational assessment guidelines-Part II.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Dermatology. 2004;51(3):440-7. 

  10. Ahn SG, Jang KH, Song JW, Cheon SH. Common Skin Disease. 2nd ed. Seoul:Doctor's Book. 2009:496-8. 

  11. Chong JH, Ihm CW. Clinical study for Alopecia Areata in Children under 12 Years Old. Korean J Dermatol. 2002;40(7):759-65. 

  12. Dermatology class of Seoul univ. Dermatology. 3rd ed. Seoul:Korea medical P. 2011:262-3. 

  13. Dawber R, Neste D. Hair and Scalp Disorders - Common Presenting Signs, Differentrial Diagnosis and Treatment. 2nd ed. Seoul:Koonja. 2005:279,287,290. 

  14. Gilhar A, Etzioni A, Paus R. Alopecia areata.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2012;366(16):1515-25. 

  15. Carroll, J, McElwee KJ, King LE, Byrne M, Sundberg JP. Gene array profiling and immunomodulation studies define a cell mediated immune response underlying the pathogenesis of alopecia areata in a mouse model and humans. J Invest Dermatol. 2002;119(2):392-402. 

  16. Paus R, Link RE. The psoriatic epidermal lesion and anagen hair growth may share the same "switch-on" mechanism. Yale J Biol Med. 1989;61:467-76. 

  17. Kozlowska U, Blume-Peytavi U, Kodelja V, Sommer C, Goerdt S, Majewski S, et al. Expression o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in various compartments of the human follicle. Arch Dermatol Res. 1998;290:661-8. 

  18. Kang H. Recent Advances in Alopecia Areata. Program book of Korea J Dermatol. 2009;61(2):109-10. 

  19. Lee SH, Cho MR. A Philological Study on the Pathology, Acupuncture and Moxibustion of Alopecia. The Acupuncture. 2015;32(2):35-57. 

  20. The Textbook Compilation Committee of the Traditional Korean Dermatology & Surgery Society. Text of Traditional Korean Dermatology & Surgery. Busan:Sunwo Publishing Company. 2007:508-11. 

  21. Arnold HL, Odom RB, James WD. Andrew's diseases of the skin. 8th ed. Philadelphia:WB Saunders Co. 1990:879-82. 

  22. Lee YH. Clinical and Descriptive Epidemiological Study of Alopecia Areata. Graduate School of Wonkwang University. 2008. 

  23. Happel R, Hausen BJ, Wiesner-Menzel L. Diphencyprone in the treatment of alopecia areata. Acta Derm Venereol. 1983;63:49-52. 

  24. In SK, Shin JH, Choi GS. Therapeutic Effect of Topical Diphenylcyclopropenone(DPCP) for the Treatment of Extensive Alopecia areata. Department of Dermatology, College of Medicine, Inha University. 2004. 

  25. Lee JC, Kim HY, Kim HJ, Kim BS, Lee WJ, Lee SJ, et al. Long Term Follow-Up Study of Corticosteroid-Treated Patients with Alopecia Areata. Korean J Dermatol. 2008;46(4):465-72. 

  26. Lee SW, Ko JM, Lee SY, Lee MH, Kim YJ, Lee SH, et al. A Case Study of Beevenom Effect on Alopecia Universalis Started from Alopecia Areata. The Journal of Korean Acupuncture & Moxibustion Society. 2008;25(6):163-73. 

  27. HwangBo M, Jeong MJ, Seo HS. A Case Report of Child with Alopecia Areata. The Journal of Pediatrics of Korean Medicine. 2012;26(2):47-52. 

  28. Cho AR, Hong SE. A Case Report of Alopecia Treated by Gagamsunbangpaedok-tang (Jiajianxianfangbaidu-tang)-Focused on Multi-patched Alopecia Areata with Lymphadenopathy. J Kor Med Op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14;27(1):130-9. 

  29. Kim CY, Seo HS, Lee DJ, Kwan K. Case Study on Treating Scarring Alopecia and Alopecia Areata Using Low Level Laser Therapy and Acupuncture. J Kor Med Op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16;29(4):182-8. 

  30. Yoon HJ. A Case Study of Androgenetic Alopecia in Woman Improved by Pharmacopuncture Therapy and Needleembedding Therapy. J Kor Med Op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14;27(3):162-70. 

  31. Lee, JH, Kang YR, Jeong YH, Ahn TW. A Case of Extensive Alopecia Areata Treated with Traditional Oriental Hair Care Products. J Kor Med Op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09;22(2):269-80.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