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학생의 주생활 안전의식 함양을 위한 실천적 문제 중심 가정과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및 적용
Practical problem-based teaching·learning process plan to develop and apply to enhance safety awareness in middle school students 원문보기

韓國 家政科敎育學會誌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v.29 no.1, 2017년, pp.15 - 33  

송은미 (문경중학교) ,  조재순 (한국교원대학교 가정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중학교 기술 가정 '주거 환경과 안전' 수업을 위해 중학생의 안전의식을 함양하고 안전한 주생활을 실천할 수 있도록 실천적 문제 중심 가정과 교수 학습 과정안을 개발하여 적용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개발은 ADDIE 단계에 따라 2015 개정 교육과정과 교육부 안전교육 7대 표준안, 2009 개정 교육과정 및 중학교 기술 가정 교과서의 주생활 단원을 분석하여 총괄 학습목표와 성취기준, 실천적 문제를 선정하고, 안전관련 내용요소를 추출하여 재구성한 후, 4차시분의 학습주제(생활 안전사고와 주생활 재난, 가족의 특성에 따른 주거의 장소별 안전, 안전한 실내환경, 안전한 주생활 실천활동)의 차시별 실천적 문제 중심 교수 학습 과정안과 학습자료(학습 활동지 26개와 읽기 자료 8개, 교사용 자료 8개, PPT자료 4세트, 동영상 8개)와 설문지를 개발하여 2015년 12월 21~29일 경북 문경시 소재 남자중학교 1학년 전체 4학급 121명을 대상으로 연구자 자신의 수업에 적용하고 108명의 학생 평가 결과를 분석하였다. '주거 환경과 안전' 수업을 위한 성취기준은 2015 개정 교육과정 "9기가02-12. 쾌적한 주거 환경 조성을 위한 조건을 분석하고, 주생활과 관련된 안전사고의 예방 및 대처 방안을 탐색하여 실생활에 적용한다."에 따라 우리 가족의 안전한 주생활 실천을 위한 4차시별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을 도입(생각 열기, 학습 목표 안내), 전개(문제 인식, 정보 탐색 및 대안 선택, 가치 탐구 및 추론), 정리(수업 정리 및 발전, 과제 제시) 순으로 진행되도록 하였다. 학생들의 안전사고 실태는 77.8%가 부엌, 방, 욕실 화장실 등에서 넘어짐, 부딪힘, 베임, 끼임, 미끄러짐 등의 사고가 일어난 적이 있었다. 학생들은 수업 전반에 관한 평가에서 이 수업이 실천적 문제를 이용한 수업주제와 학습자료, 모둠활동을 통한 다양한 안전사고 사례 조사 발표, 학생 활동 중심 수업으로 진행함으로써 수업내용이 이해하기 쉽고, 재미있으며, 실생활에 도움이 되는 유익한 것으로 평소보다 더 즐겁게 참여하였으며, 수업내용이 오래 기억될 것이라 하였다. 각 차시별 수업내용은 주생활 안전을 위협하는 요소를 인식하고 이를 개선할 수 있으며, 나의 행동이 가족과 사회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알게 하였다. 특히 어린이와 노인에게 안전사고가 많이 발생한다는 사실을 알고 어린이와 노인을 배려하는 자세를 가지도록 하였다. 안전한 주생활 실천의식에서는 생활용품의 안전관련 표시사항을 읽고 안전한 사용을 위해 노력하며, 집을 비울 때 안전점검을 실시하고 실내공기를 쾌적하게 하기 위해 자주 환기를 시키는 등 앞으로 배운 것을 실생활에서 실천하며 가족에게도 알려 함께 실천하겠다는 의지를 보였으며 다른 학교에서도 교육되길 제안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 실천적 문제 중심 교수 학습 과정안은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주거 환경과 안전' 성취기준을 달성하는데 적절하다고 할 수 있겠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evaluate a practical problem-based teaching learning process plan for safety in residential environment to raise safety awaren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plan consisting of 4 lessons has been developed and implemented according to the ADDIE model.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기술 가정 교과의 주생활 안전의식을 함양하기 위한 교수 학습 과정안과 관련 학습 자료를 개발하여 학교현장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 연구결과는 현장 정규수업과 자유학기제에 활용되어 학생들이 기술 가정 수업을 통해 주생활 안전의식을 높여 일상생활에서 자연스럽게 안전사고를 인지하고 예방 대처하기 위한 방안을 탐색하며 이를 통해 나와 가족,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는 비판적 사고력을 기르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수업의 단계는 Yoo & Lee(2010)가 제시한 교수 학습 과정을 재구성하여 도입 단계에서는 수업환경 점검 및 준비, 전시 내용 확인 및 주의 포착, 학습목표 안내, 전개 단계에서는 문제 인식, 실천적 추론, 행동, 정리 단계에서는 성취 확인, 실천적 문제 해결과정 확인, 평가 및 차시 예고, 과제제시 순으로 개발 및 적용하고자 한다.
  • 정보 탐색 및 대안 선택에서는 주거 내 안전장치(읽기자료 4-1)를 읽고 기존의 안전시설이나 생활용품을 찾아 이를 개선하거나 새로운 아이디어를 생각해 낼 수 있도록 하였으며, 모둠별로 안전관련 정보를 수집하여 다양한 방안을 구상(학습활동지 4-2)하도록 하였다. 실천적 추론을 통해 우리가 생각한 아이디어가 언제, 어디에서, 누구에게 도움이 될 수 있을지 생각해 보고 최선의 홍보 방법을 찾도록 하였다. 안전한 주생활 실천을 위한 홍보 방안으로는 노래 개사하기, 4컷 만화, 포스터 만들기 활동을 모둠별로 구상(학습활동지 4-3, 4-4)하여 의견을 모아 홍보물을 제작하도록 하였다([Figure 2]).
  • 이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중학교 기술 가정 교과 ‘주거 환경과 안전’ 수업에 적용하기 위해 중학생의 안전의식을 함양하고 안전한 주생활을 실천할 수 있도록 실천적 문제 중심 가정과 교수 학습 과정안을 개발하여 적용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 이에 이 연구는 안전의식을 함양하여 주생활 안전사고를 예방 대처하기 위한 수업 방법으로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 전략을 활용하고자 한다. 수업의 단계는 Yoo & Lee(2010)가 제시한 교수 학습 과정을 재구성하여 도입 단계에서는 수업환경 점검 및 준비, 전시 내용 확인 및 주의 포착, 학습목표 안내, 전개 단계에서는 문제 인식, 실천적 추론, 행동, 정리 단계에서는 성취 확인, 실천적 문제 해결과정 확인, 평가 및 차시 예고, 과제제시 순으로 개발 및 적용하고자 한다.
  • 이에 이 연구에서는 주거 내 안전사고의 다양한 사례를 알아보고 안전사고를 많이 경험하는 어린이와 노인 등의 대상을 포함하며, 안전사고가 자주 일어나는 장소와 위험 요소들을 주요 내용으로 선정하여 안전한 주거환경을 만들기 위해 안전사고가 자주 발생할 수 있음을 인지하고 이를 예방 대처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해 보는 학생활동 중심의 수업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한다.
  • 전개 단계의 문제 인식에서는 국민들의 사회 안전 인식도(학습활동지 4-1)가 낮음을 인지하고 이를 높이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도록 하였다. 정보 탐색 및 대안 선택에서는 주거 내 안전장치(읽기자료 4-1)를 읽고 기존의 안전시설이나 생활용품을 찾아 이를 개선하거나 새로운 아이디어를 생각해 낼 수 있도록 하였으며, 모둠별로 안전관련 정보를 수집하여 다양한 방안을 구상(학습활동지 4-2)하도록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안전사고 발생의 가장 큰 원인은? 안전은 인간의 기본적 욕구로써 누구나 안전한 환경에서 생활하길 원하나 안전사고는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다. 안전사고 발생의 가장 큰 원인은 안전 불감증으로 불리는 안전의식의 결여이다(행정자치부, 2013a). 2014년 세월호 사건과 같은 대참사 뿐만 아니라, 각종 화재, 교통사고, 각 가정 및 학교에서 일어나는 안전사고는 안전의식 함양으로 발생과 피해를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Yoon, 2003).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방법은? 안전사고는 누구에게나 발생할 수 있고 안전사고로 인한 귀중한 인명과 재산상의 피해는 개인과 사회의 큰 손실이므로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노력이 절실하다. 안전교육을 접할 기회가 많을수록 안전의식이 높게 나타나(Lee, 2010) 연령별 특성별 눈높이에 맞는 체계적인 안전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반복적으로 실시한다면 안전의식을 높여 안전한 생활 실천에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Kim & Lee, 1999; Kwon, 2005; Sim, 2003).
안전의식을 가지는 방법은? 2014년 세월호 사건과 같은 대참사 뿐만 아니라, 각종 화재, 교통사고, 각 가정 및 학교에서 일어나는 안전사고는 안전의식 함양으로 발생과 피해를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Yoon, 2003). 안전의식을 고취시키기 위해서는 어려서부터 안전의식을 함양하여 이를 습관화할 수 있어야 하나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안전교육 부재로 안전사고가 계속 발생하고 있다(교육부, 2015a).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0)

  1. Chae, J. H. (1999). The effects of practical reasoning instruction in Home Economics and other factors on Korean high school female students' decision making skills.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37(3), 43-61. 

  2. Chae, J. H. & Yoo, T. M. (2006). The effects of practical reasoning Home Economics instruction on middle school students' self-esteem.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8(1), 31-47. 

  3. Cho, H. J. & Ahn, S. J. (2000). A study of teaching based on practical problems solving of the area of Food Habits in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2(2), 29-45. 

  4. Choi, Y. M. (2002). The effect of practical reasoning study on problem solving ability in Home Economics. Unpublished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Chonnam University of Education, Kwangju, Korea. 

  5. Do, H. J. & Jang, H. S. (2013). Current status and teachers' perceptions of Technology.Home Economics in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Journal of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Secondary Institute of Education, 61(3), 489-511. 

  6. Hwang, S. E. (2014).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material standards to decrease children's safety accidents in urban residential areas. Unpublished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Seoul, Korea. 

  7. June, K. S. (2009). Teachers' importance perception on elderly housing contents in the housing chapter of middle school Technology.Home Economics textbook.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1(3), 1-28. 

  8. Kim, E. J. & Lee, Y. S. (2009). Developing and implementing practical problem based lesson plan to improve self leadership skills: Focusing on the unit of 'Youth's Self Management' in middle school Technology. Home Economics.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1(4), 35-54. 

  9. Kim, G. Y. (2012).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eaching. learning plan for practice of green indoor environment in the unit of 'Housing Life' at middle school. Unpublished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Jinju, Korea. 

  10. Kim, J. O. & Kwon, O. J. (2014). Prevention of safety accidents at existing housing supporting Aging in place: Focusing on space design elements.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26(2), 373-378. 

  11. Kim, L. & Cho, J. S. (2008). The needs of housing contents in highschool Home Economics amo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0(3), 145-161. 

  12. Kim, N. E. (2015).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safety theme-based Home Economics curriculum. Unpublished doctoral's thesis, Graduate School of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eongju, Korea. 

  13. Kim, S. S. & Lee, G. C. (1999). A study of consumer education on life safety. The Consumer Research, 22, 68-79. 

  14. Kim, Y. M. & Cho, J. S. (2001). A study of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concept of universal design into the LT lesson plan for the unit 'Family life and Housing'.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3(1), 39-53. 

  15. Kim, Y. N & Cho, J. S. (2010).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ractical problem focused teaching learning process plan of Housing for the later life in highschool Technology.Hame Economics.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2(1), 1-19. 

  16. Kwak, Y. Y. (2014). Promoting consumer safety training for children. Korea Consumer Agency, Policy Research, 14-21. 

  17. Kwon, S. S. (2005). Development and effect of safety education program for higher grade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Unpublished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18. Lee, C. H. (2010). The influence of school safety education on safety awareness. Unpublished doctoral's thesis, Graduate School of Ajou University, Suwon, Korea. 

  19. Lee, G. S. (2010). Practical problem focused instructional design applying universal design concept and effects: Focusing on 'Designing My Home'. Unpublished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Jinju, Korea. 

  20. Lee, J. H. & Chae, J. H. (2008). Development of practical problem-based Home Economics teaching learning process plans by blended learning strategy: Focusing on a unit of 'Youth and Consumer Life'.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0(4), 19-42. 

  21. Lee, M. N. (1993). The analysis of actual conditions of home accidents: The relationships among types of, places of, degrees of, causes of accidents and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22. Lee, S. H. & Cho, J. S. (2005).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ICT teaching.learning process plan for environmentally friendly housing: Focused on girl's high school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7(4), 101-115. 

  23. Lee, S. J. (1996).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jury preventive behaviors and accidents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Ewah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24. Lee, Y. J. & Jang, S. O. (2008). Actual condition and the need of education for elderly housing education perceived by adolescents.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0(4), 59-75. 

  25. Na, Y. J. (2008).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the middle school students' housing lifestyle, consciousness of residential environment and environmental conservation activiti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Wonkwang University of Education, Iksan, Korea. 

  26. Nam, S. G. (2004). A survey on the present status of safety education and the actual condition of school safety accidents at the elementary school in seoul c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eongju, Korea. 

  27. Park, H. J. & Cho, J. S. (2009).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issue-centered teaching.learning process plan for environment-friendly housing education.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1(3), 45-64. 

  28. Park, M. R. & Cho, J. S. (2010). Application and development of teaching- learning plan for 'Sustainable Residence creating with Neighbors'.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2(3), 1-18. 

  29. Ryu, S. H. (2007). Effect of practical reasoning arts instruction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problem solving action and ethical action.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Association, 20(4), 1-16. 

  30. Sim, E. S. (2003). Safety-awareness, safety-practice and accident occurrence among elementary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31. Son, H. A. (2007). The Needs of housing contents in Technology. Home Economics for middle school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eongju, Korea. 

  32. Yoo, T. M., Chang, H. K., Yoo, J. Y., Kim, J. Y., Kim, H. A., & Kim, H. S. (2000).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CD-Rom) and its applications to classroom in area of Human Development and Family Relationship.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2(3), 115-127. 

  33. Yoo, T. M. & Lee, H. S. (2009). Effects of practical reasoning instruction on problem solving ability.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1(2), 203-215. 

  34. Yoo, T. M. & Lee, S. H. (2010). Practical Problem Based Home Economics Class: Theory and practice. Seoul: Book Korea. 

  35. Yoon, Y. H. (2003).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educational program regarding life safety for children of low grade elementary school. Unpublished doctoral's thesis, Graduate School of Sangmyung University, Seoul, Korea. 

  36. Yu, J. H. & Lee, Y. S. (2013). Development of practical problem based teaching-learning plans and evaluation of its effects on middle school students' self efficacy, ego resilience and happiness: Focused on the unit of 'Youth's Self Management' in middle school Technology.Home Economics.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5(4), 79-98. 

  37. 교육부(2009). 2009 개정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09-41호. 

  38. 교육부(2014a). 2015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 총론 주요사항 공청회. 국가교육과정포럼자료집. 

  39. 교육부(2014b). 교육분야 안전 종합 대책. 교육부. 

  40. 교육부(2015a). 현장교원과 전문가가 바라는 국가교육과정 개정: 포럼 결과 종합 및 제언을 중심으로. 국가교육과정 포럼자료집. 

  41. 교육부(2015b). 유초중고 발달단계별 '학교 안전교육 7대 영역 표준안' 발표. 교육부. 

  42. 교육부(2015c). 2015 개정 중학교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43. 통계청(2013). 2013 고령자통계 보도자료. http://kostat.go.kr에서 검색. 

  44. 통계청(2014). 2014년 사회조사 결과 보도자료. http://kostat.go.kr 에서 검색. 

  45. 한국소비자원(2014). 소비자 안전사고 사례분석. 한국소비자원. 

  46. 한국소비자원(2015a). 어린이 안전사고 동향분석. 한국소비자원. 

  47. 한국소비자원(2015b). 어린이 안전넷. http://www.isafe.go.kr/children/index.do에서 검색. 

  48. 한국소비자원(2015c). 고령자 안전사고 사례분석. 한국소비자원. 

  49. 행정자치부(2013a). 2013 안전의식조사 보도자료. http://www.mpss.go.kr에서 검색. 

  50. 행정자치부(2013b). 국민안전종합대책 보도자료. http://www.mpss.go.kr에서 검색.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