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정과교육에서의 치유교육을 위한 실천적 문제 중심 프로그램 및 가정과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Development of a Practical Problem Focused Pedagogical Program and Teaching-Learning Process Plans for Healing Education in Home Economics Education 원문보기

韓國 家政科敎育學會誌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v.31 no.1, 2019년, pp.21 - 37  

윤소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가정교육과) ,  주수언 (동국대학교(경주) 가정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가정과교육에서 청소년들이 스스로를 치유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치유를 위해 우리는 어떤 행동을 해야 하는가?"의 항구적 문제를 설정하고, 가정과교육에서의 치유교육을 위한 실천적 문제 중심 프로그램과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한국과 미국 가정과 교육과정의 문헌고찰을 통하여 가정과교육과 관련된 치유의 항구적 관심사와 실천적 문제를 설정하고, 한국과 미국의 교육적 사례 분석하여 치유교육을 위한 실천적 문제 중심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설계된 실천적 문제 중심 프로그램 및 세 행동체계를 기반으로 실천적 추론 수업을 위한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였다. 마지막으로 개발된 치유교육 프로그램 및 교수·학습 과정안에 대한 전문가 평가를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가정과교육을 통하여 청소년의 임파워먼트를 향상시킬 수 있는 치유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states a perennial question of "what should we do to heal oneself?" so that teenagers can build the ability to healing themselves at home economics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ment a practical problem focused pedagogical programs and teaching-learning process plans 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가정과교육에서 반드시 다루어져야 할 치유교육을 위하여, 가정과교육에서 치유교육이 어떻게 다루어지 는지를 분석하고, 치유의 항구적 관심사와 실천적 문제를 설정한 실천적 문제 중심 프로그램과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이처럼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의 선행연구는 가정과 교육의 독창 적인 수업모형으로 끊임없이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현행교육과 정에 대한 재구성 및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등 다소 일차원적인 개발이 주를 이루고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치유라는 새로운 개념 도입 통하여 실천적 문제 중심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이를 실행하기 위해 2015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실천적 문제 중심 프로그램과 교수-학습 과정안의 개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치유라는 새로운 관점을 적용하여 다양한 문헌과 한국과 미국의 교육과정을 분석함으로써 가정과교육에서의 치유교육의 가능성을 확인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 무엇보다, 가정 과교육에서의 치유교육을 통해 청소년 스스로 치유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어 자주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고 나아가 청소년이 속한 가족과 사회를 치유하여 건강하고 행복한 가족과 사회의 근간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가정과교육에서의 치유교육을 위하여, 가정과교육 에서 다루어 온 치유교육의 항구적 관심사를 중심으로 설정된 실천적 문제 중심 프로그램과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 본 연구는 가정과교육에서의 치유교육을 위한 항구적 문제 ‘치유를 위하여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를 연구문제로 설정 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실천적 문제 중심 프로그램 개발 및교수•학습 과정안 개발을 목적으로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치유라는 새로운 관점을 적용하여 다양한 문헌과 한국과 미국의 교육과정을 분석함으로써 가정과교육에서의 치유교육의 가능성을 확인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 무엇보다, 가정 과교육에서의 치유교육을 통해 청소년 스스로 치유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어 자주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고 나아가 청소년이 속한 가족과 사회를 치유하여 건강하고 행복한 가족과 사회의 근간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 둘째, 개발된 치유교육을 가정과교육의 가족, 식, 주, 의 영역 으로 확장 또는 통합시켜 개발하여야한다. 본 연구에서는 개인의 일신에 관한 치유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하였는데, 가정과교 육의 다양한 가족, 식, 주, 의 영역 또한 치유교육의 훌륭한 영역이다. 이러한 가정과교육의 다채로운 영역과 역량을 충분히 활용하여 치유교육의 후속 연구가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 분석 단계에서는 가정과 교육의 치유 교육 내용 요소를 도출 하기 위해 한국과 미국의 교육적 사례를 분석한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미국의 현행 교육과정과 치유교육이 다루어졌던 오하이오주와 오리건주의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한국과 미국의 현행 교과서 2권을 분석하여 공통된 교육내용을 도출한다. 한국의 교육적 사례 분석은 2015년 9월에 고시된 2015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을 대상으로 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과교육에서 반드시 다루어져야 할 치유교육을 위한 실천적 문제 중심 프로그램 및 교수•학습 과정 안을 개발하는 것이다.
  •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가정과교육과 관련된 문헌고찰을 통하여 도출된 항구적 관심사를 기반으로한 실천적 문제와 하위 관심사 및 학습 내용 요소를 파악하고, 가정과교육에서 활용될 치유교육을 위한 실천적 문제 중심 프로그램과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 따라서 본 연구는 가정과교육에서 반드시 다루어져야 할 치유교육을 위하여, 가정과교육에서 치유교육이 어떻게 다루어지 는지를 분석하고, 치유의 항구적 관심사와 실천적 문제를 설정한 실천적 문제 중심 프로그램과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하여 가정과교육에서 청소년들의 문제해결에 있어 치유교육의 토대를 마련하고, 청소년의 현재와 미래 생활에서 지속적으로 다루어야하는 항구적 본질을 갖는 실천적 문제로 다루어 청소년과 가족의 건강한 삶 증진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대사회에서의 치유는 무엇인가? 현대사회에서 치유는 건강한 삶을 영위하기 위한 외적, 내적 회복과 예방을 말한다. 치유의 궁극적인 목적은 건강이다.
가정과교육의 목적은 무엇인가? 가정과교육에서는 개인과 가족의 역량을 기르기 위해 세 행동체계를 목표로 하고 있다. Yoo와 Lee(2010)는 기술적 행동을 생존에 필수적인 물질적 필요를 충족시키고 환경적 조건을 통제를 위한 경험•과학적 지식으로 행해지는 행동, 의사소통적 행동은 의사소통을 통하여 가족 구성원 서로가 진정한 합의에 이르고자하는 상호작용 이며, 해방적 행동은 가장 포괄적인 행동체계로 사회적 삶의 근원에 대한 비판적 깨달음과 자기 결정을 위해 자유로워지는 것을 이루려 하는 행동으로 정의하였다.
치유의 궁극적인 목적은 무엇인가? 치유의 궁극적인 목적은 건강이다.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WHO])의 헌장에서 건강은 ‘단지 질병이 없거나 병약하지 않은 상태뿐만 아니라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안녕의 상태’로 정의하고 있다(WHO, 1946). 기본적으로 건강한 생태란 생존의 조건을 넘어 안녕의 조건으로 치유는 신체뿐만 아니라 정신적, 영적 회복에 이르기까지 좀 더 포괄적인 의미이다(Han, 2003; Park, 2013). 결국 건강으로의 회복을 의미하는 치유 개념은 단순히 질병 처치 수준의 치료를 의미하는 광의의 개념인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인 건강 회복을 통한 안녕의 상태 도달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Brown, M. M. (1978). A conceptual scheme and decision-rules for the selection and organization of home economics curriculum content. Madison, WI: Wisconsin Department of Public Instruction. 

  2. Brown, M. M. (1980). What is home economics education? Minnerapolis, MN: University of Minnesota, Minnesota Research and Development Center for Vocational Education. 

  3. Brown, M. M., & Paolucci, B. (1979). Home economics: a definition. Americ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 Choo, B. W. (2014). Teaching methods for promoting adolescents' resilience in moral education. Journal of Moral $\varepsilon$ Ethics education, 34, 83-112. 

  5. Habermas, J. (1987). The theory of communicative action. Lifeworld and system: A critique of functionalist reason, Vol II. (T. A. McCarthy, Trans). Boston, MA: Beacon Press. 

  6. Han, M. G. (2003). The latest public health engineering. Seoul: ShinJeongbooks. 

  7. Jang, H. K.. & Yoo, T. M. (1994). Lesson plan development for "human development and family relationship" part based on Marjorie Brown's home economics curriculum model.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6(2), 109-131. 

  8. Ju, S. E. (2014). Integrative home economics curriculum development from a critical science perspective through delibera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Gyou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Korea. 

  9. Kershaw, I., Brill, C., Kohl, J., Jung, K., Mahlman, R., Boggs, A., & Willis, A. (2015). Ohio family and consumer sciences career field technical standards. Ohio Department of education. 

  10. Kim, E. S. (2012). An exploratory study for introduction of 'cure' in moral education. The Korean Society for Moral & Ethics Education, 35, 155-177. 

  11. Kim, J. E. (2008). Self-help as 'caring for oneself':Focusing on readers of self literatur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gang University of Graduate School, Seoul, Korea. 

  12. Kim, J. N. (2014). Re-examination of "self-realization" as an educational aim. The Korean Journal of Philosophy of Education, 36(2), 49-70. 

  13. Kim, J. Y., & Choi, Y. M. (2015). A study of an animation campaign spot production from basic research to effectiveness verification for drug abuse prevention at teenagers. The Korean Journal of Animation, 11(4), 60-80. 

  14. Kim, S. G., & Wang, S. S. (2011). Development & the analysis of application effect of middle school HE text teaching-learning lesson plans for character education in cultivating gratitude disposition.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23(2), 17-35. 

  15. Kister, J., Sarle, R., & Boggs, H. (1994). Home economics middle school resource guide. Instructional Materials Laboratory, The Ohio State University. 

  16. Kweon H. S. (2008). Effect of healing group counseling for sexually abused female adolescents. Korea Journal of Counseling, 9(2), 485-499. 

  17. Lee, J. H., & Chae, J. H. (2008). Development of practical problem-based home economics teaching learning process plans by blended learning strategy; focusing on a unit the youth and consumer life.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20(4), 19-24. 

  18. Lee. S. H. (2012). A Suggestion for therapeutic art activities in secondary art educ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sin Womans University of Education, Seoul, Korea. 

  19. McGraw-Hill Education (2016). Applying life skills. NY: Author 

  20. Ministy of Education (2015).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Sejong: Ministy of Education. 

  21. National Standards for Family and Consumer Sciences Education (2008). FCS national standards 3.0. Retrieved from http://www.nasafacs.org/uploads/1/8/3/9/18396981/fcs_national_standards_3.0_complete_6-12-17.pdf. 

  22. Oh, K. S., Lee, K. Y., & Lee, S. H.(2011), The contents selection and organization of the practical problem focused Family and Consumer Sciences curriculum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and goals of the 2007 revised curriculum.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23(3), 91-119. 

  23. Park, D. Y. (2013). The effects of cooking education on the development of teenagers' personality. Proceedings of the 2012 Winter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Conference. Korea, 37-55. 

  24. Seok, H. J. (2006). A case study of art therapy applied on children of family violence to improv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eungnam University of Environment & Public Health Studies, Gyeoungsan, Korea. 

  25. Song, E. M., & Jo, J. S. (2017). Practical, problem-based teaching/learning process to develop, apply, and enhance a sense of safety in middle school aged students.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29(1), 15-33. 

  26. Souther, C., & Woodruff, A. (1996). Family & consumer studies curriculum for oregon middle school. Oregon Department of education. 

  27. World Health Organization (1946). Constitution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Retrieved from http://apps.who.int/gb/bd/PDF/bd47/EN/constitution-en.pdf?ua1. 

  28. Yang, J. S. (2016). The ideal portrait of human being pursuing in home economics education from a critical science perspectiv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Jinju, Korea. 

  29. Yoo, J. H., & Lee. Y. S. (2013). Development of practical problem based teaching-learning plans and evaluation of its effectiveness on middle school students' self efficacy, ego resilience and happiness: Focused on the unit 'youth's self management' in middle school technology? home economics.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25(4), 79-98. 

  30. Yoo, J. Y., & Shin, S. O. (1997). A home economics curriculum development for high school students based on practical problems focusing on food and nutrition.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9(1), 53-69. 

  31. Yoo, T. M., & Lee, S. H. (2010). Practical problem oriented home economics instruction: the theory and practice. Seoul: BookKorea. 

  32. Yoo, T. M. (2006). The nature of practical problem focused Family and Consumer Sciences curriculum.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18(4), 193-206. 

  33. Yoo, T. M., Jang, H. K., Yoo, J. Y., Kim, J. Y., Kim, H. A. & Kim, H. S. (2000).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CD-ROM) and its applications to classroom in area of human development and family relationship in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hrough practical reasoning teaching model.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12(3), 115-127. 

  34. Yoon, S. H., & Ju, S. E. (2018). Analysis of the contents of home economics education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for healing education. Journal of Learner 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4(18), 597-623.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