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핵의학 검사실내 세균 분석
Analysis of the Bacteria in Nuclear Medicine 원문보기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 safety management & science, v.19 no.2, 2017년, pp.95 - 100  

신성규 (동아대학교병원 영상의학과) ,  이효영 (동의대학교 방사선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bacterial contamination level of equipments and devices in the nuclear medicine department of a university hospital was investigated. CNS was detected from the sample collected from the door opening button of the nuclear medicine department. Bacillus sp. was detected from the tab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현재 핵의학과에 관련된 연구의 대부분은 피폭선량 관리에 관한 것으로 감염관리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핵의학 검사실내의 세균오염도를 측정, 분석하여 감염교육 및 관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병원감염의 증가 원인은 무엇인가? 현대의 의료 환경은 새로운 항생제가 개발되고, 각종 소독제가 사용되며 장갑과 가운 등 보호 장구의 착용이 강화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항암 요법의 발달, 면역억제제 사용 등으로 인한 면역 기능 저하 환자의 증가, 침습적 시술의 보편화, 항균제 내성 균주의 증가 등으로 인해 병원감염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 입원 환자의 약 5-10% 정도에서 병원감염이 발생하고, 연간 약 10만 명 정도의 환자가 병원감염으로 사망하며 이로 인해 약 100억 달러의 년 간 손실이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병원감염은 어떤 문제를 야기할 수 있을까? 5%에서 병원감염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병원감염은 환자들에게 고통과 비용 발생을 초래하고 병원 직원, 그리고 병원에 출입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감염이 전파되어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
핵의학과에 관련된 병원감염관리에 대한 연구의 한계는 무엇인가? 6) 특히 핵의학과는 첨단 장비가 빠르게 보급되고 있고 검사과정에서 다양한 환자들과 직접 접촉할 수 있어 감염의 위험에 노출 될 수 있다. 하지만, 현재 핵의학과에 관련된 연구의 대부분은 피폭선량 관리에 관한 것으로 감염관리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핵의학 검사실내의 세균오염도를 측정, 분석하여 감염교육 및 관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Ministry of Healthy and Welfare(2004), "Infection control in the hospital infection prevention guidelines", 3-4. 

  2. Thomas K(2010), "Infection control. Hand hygiene surveillance gets a 21st-century makeover." Hosp Health Netw, 84:70-72. 

  3. ERM Sydnor, TM Perl(2011), "Hospital epidemiology and infection control in acute-care settings." Clin Microbiol Rev, 24:141-173. 

  4. CDC(1996), "Federal register Guideline prevention of intravascular device-related infection." AJIC, 24:262-293. 

  5. Seong Jae Sim, Young Kyun Shin, Hyeong Ho Moon, Seon Hee Yoo, Shi Man Jo(2011), "Study on Safety Management Activity of Blood Test Room of Nuclear Medicine Department." The Korean journal of nuclear medicine technology, 15:2, 104-110. 

  6. Lee Seo Kyeong, Kim Sun Deok, Lee Jae Suk(2006), "Study on Knowledge and Practice of Nosocomial Infection Control by Nuclear Medical Technician." Korean Journal of Nosocomial Infection Control, 11:0, 93. 

  7. Fox M, Harvey JM(2008), "An investigation of infection control for X-ray cassettes in a diagnostic imaging department." Radiography, 14:4, 306-311. 

  8. Kim Seon Chil(2008), "Bacteriological Monitoring of Radiology Room Apparatus in the Department of Radiogical Technology and Contamination on Hands of Radiological Technologists." Journal of Radiological Scince and Technology, 31:4329-335. 

  9. Odriguez CA, Patrick CC(2004), "Coagulase-negative staphylococcal infections. In : Feigin." Textbook of Pediatric Infectious Diseases. 5th ed. Philadelphia Saunders Co. 1129-1136. 

  10. Teixeira LM, Carvalho MGS, Facklam RR(2007), "En eterococcus In Manual of Clinical Microbiology." 9th ed, ASM Press, Washington, DC. 430-441 

  11. Park ES, Jeong JS, Kim KM, Kim OS, Jeong SY, Jang SY, Yoon SW(2006), "Descriptive study on the current usage of disinfectants in Korea." Korean J Nosocomial Infect Control, 11:42-49. 

  12. Boyce JM, Pittet, D(2001), "Hand Hygiene Task Force & the Healthcare Infection control Practices Advisory Committee." Draft guidelines for hand Hygiene in Healthcare Setting, 51:16, 1-56. 

  13. Morrison AJ Jr, Wenzel RP(1984), "Epidemiology of infections due to Pseudomonas aeruginosa." Rev Infect Dis, 6:3, 627-642. 

  14. Gaynes R, Edwards, JR(2005), "National Nosocomial Surveillance System, Overview of nosocomial infection caused by Gram-negative bacilli." Clin Infect Dis, 41 , 848-854. 

  15. Hatchette TF, Gupta R, Marrie, TJ(2001), "Pseudomonas aeruginosa Community-Acquired Pneumonia in Previously Healthy Adults: Case Report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Clin Infect Dis, 31:1, 349-35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