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백제 무령왕릉 석수와 지석의 재질 및 표면손상 특성
Characteristics of Surface Deterioration and Materials for Stone Guardian and Stone Memorial Tablets from Muryeong Royal Tomb of Baekje Kingdom in Ancient Korea 원문보기

보존과학회지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v.33 no.4, 2017년, pp.241 - 254  

박준형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이찬희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최기은 (국립공주박물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무령왕릉 석수와 지석은 같은 암종으로 심성화성암에 속하는 각섬석암(hornblendite)이다. 이 암석은 녹회색에 중립의 등립질 입상조직을 보이며, 주요 조암광물은 각섬석과 사장석이다. 석수의 전암대자율은 0.15~0.63(평균 $0.42{\times}10^{-3}SI\;unit$), 왕의 지석은 0.11~0.38(평균 $0.24{\times}10^{-3}SI\;unit$), 왕비의 지석은 0.10~0.33(평균 $0.18{\times}10^{-3}SI\;unit$)으로 거의 동일한 낮은 값을 보였다. 이 암석은 공주 부근에서 대규모 산출지를 찾기가 어려우나 암맥상으로 여러 곳에서 확인된다. 그러나 산출상태와 암상으로 보아 석수와 지석의 암석은 맥암과는 달리 심성암의 특징을 보인다. 석수와 지석의 표면에 분포하는 적갈색 및 담갈색 오염물의 분석 결과, 적갈색 오염물은 Fe에 의한 산화물로, 담갈색 오염물은 Ca의 용출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적갈색 오염물은 암석 내부 기원과 철제 부장품의 산화가 모두 작용하였으며, 담갈색 오염물은 왕릉에 사용된 석회질에서 유입되어 약간의 철산화물이 더해진 것으로 판단된다. 석수와 지석은 균열, 탈락과 같은 물리적 요인과 화학적 오염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손상이 진행되었다. 그러나 모두 물리적 손상은 극히 적으며, 석수 일부분과 왕비 지석 앞면을 제외하고는 화학적 풍화에도 안정한 상태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one Guardian and Memorial Tablets from the Muryeong Royal Tomb are composed of the same kind of plutonic igneous rocks, the so-called hornblendite. Color of the rocks show greenish gray, and both of them occurred with medium-grained granular texture. The rock-forming minerals composed mainly o...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석은 무엇인가? 지석은 장례를 지낼 때 땅의 신에게 묘소로 쓸 땅을 사들인다는 문서를 작성하여 그것을 돌에 새겨 넣은 매지권이다. 무령왕릉 지석은 삼국시대 무덤에서 발견된 유일한 매지권으로 피장자의 신원뿐만 아니라, 당시 백제인의 매장풍습까지 담겨져 있는 매우 귀중한 문화유산이다.
무령왕릉의 석수와 지석에서 관찰된 담갈색 오염물이 발생한 원인은 무엇인가? 담갈색 오염원은 Ca으로 암석 내부에서 유리되었을 가능성은 거의 없다. 이는 왕릉의 공사 과정에서 사용된 탄산염 물질에서 비롯되었을 것으로 판단되며, 부장품으로 사용된 철재유물의 산화에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해석하였다.
무령왕릉에서 석수, 왕 및 왕비 지석의 주요 조암광물은 무엇인가? 석수와 지석의 암상 대조를 위하여 신선한 부분을 실체현미경으로 촬영하였으며, 유색광물의 반정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 세 석제유물(석수, 왕 및 왕비 지석) 모두 각섬석과 사장석이 주요 조암광물을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량의 녹니석, 흑운모 및 불투명 광물 등이 관찰된다(Figure 3D, 3G, 3I).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Cultural Heritage Adminstration, 1973, Report of excavation survey for Muryeong royal tomb. 1-284. (in Korean) 

  2. Cultural Heritage Adminstration, 2017, Explanatory text for Korean cultural heritage. http://www.cha.go.kr/heritage/ (in Korean) 

  3. Jang, S.N., 2011, Origins and acceptance background of the land purchase records of the tomb of king Muryeong. The Paekche Yonku, 54, 84-8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Jo, Y.H. and Lee, C.H., 2011, Making method of deterioration map and evaluation techniques of surface and three dimensional deterioration rate for stone cultural heritage.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27(3), 251-26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Jo, Y.H., Lee, M.S., Choi, G.E. and Lee, C.H., 2011, Precise deterioration diagnosis and restoration stone suggestion of Jungdong and Banjukdong stone aquariums in Gongju, Korea. MUN HWA JAE, Korean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Studies, 44, 92-11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Lee, C.H. and Jo, Y.H., 2012, Geology around the Songsanri tomb complex (Gongju area). Gongju National Museum, 25, 6-17. (in Korean) 

  7. Lee, C.H., Kim, J. and Kim, M.S., 2010a, Petrography and provenance interpretation of the stone moulds for bronze daggers from the Galdong prehistoric site, Republic of Korea. Archaeometry, 52, 31-44. 

  8. Lee, C.H., Kim, M.Y., Jo, Y.H. and Lee, M.S., 2010b, Conservation treatment based on material characteristics, provenance presumption and deterioration diagnosis of the seven-storied Jungwon Tappyeongri stone pagoda, Chungju, Korea. MUN HWA JAE, Korean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Studies, 43, 4-2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Lee, C.H., Kim, Y.T., and Lee, M.S., 2007, Provenance presumption for rock properties of the five-storied stone pagoda in the Jeongrimsaji temple site, Buyeo, Kore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43, 183-19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Uchida, E., Cunin, O., Suda, C., Ueno, A. and Nakagawa, T., 2007, Consideration on the construction process and the sandstone quarries during the Ankor period based on the magnetic susceptibility. Journal of Archaeological Science, 34, 924-935. 

  11. Um, S.H. and Lee, M.S., 1963, Explanatory text of the geological map of Daeheung sheet (1:50,000). Geological Survey of Korea, 1-1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Yu, H., 2005, Pigment analysis of coloration and inlay decoration: Analytical report of artifact from Muryeong royal tomb I. Gongju National Museum, 17, 8-60.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