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논문]국내 농산물우수관리인증 농산물의 미등록농약 오염 실태 조사 Monitoring of Unregistered Pesticides Contaminated in the Domestic Crops Grown under Good Agricultural Practices원문보기
2014년부터 2016년 5월까지 3,313건의 농산물우수관리 기준으로 재배되는 농산물(GAP 농산물)에 대한 미등록농약 오염 실태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미등록농약 오염에 의한 부적합 건수가 잔류허용기준을 초과에 의한 부적합 건수보다 훨씬 많았다. 미등록농약이 검출되어 부적합 판정된 GAP 농산물의 대부분은 소면적엽채류 작물이었는데 그 이유는 이들 작물에 등록된 농약이 곡류나 과일류보다 훨씬 부족하기 때문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방제가 끝난 농약 살포기를 세척하여도 살포기 내에 농약이 어느 정도 잔류할 수 있으며, 이 때 잔류한 농약이 허용되지 않은 작물에 비의도적으로 이행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침체된 우리나라의 농산물우수관리제도(Good Agricultural Practices, GAP)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모든 농작물에 농약이 충분히 등록되어야 하고, 또한 농약 살포기에 잔류한 농약이 완전히 세척되지 않는 경우를 감안하여 미등록 농약이 비의도적으로 농작물에 이행되는 것이 일정량 허용되어야 할 것이다.
2014년부터 2016년 5월까지 3,313건의 농산물우수관리 기준으로 재배되는 농산물(GAP 농산물)에 대한 미등록농약 오염 실태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미등록농약 오염에 의한 부적합 건수가 잔류허용기준을 초과에 의한 부적합 건수보다 훨씬 많았다. 미등록농약이 검출되어 부적합 판정된 GAP 농산물의 대부분은 소면적엽채류 작물이었는데 그 이유는 이들 작물에 등록된 농약이 곡류나 과일류보다 훨씬 부족하기 때문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방제가 끝난 농약 살포기를 세척하여도 살포기 내에 농약이 어느 정도 잔류할 수 있으며, 이 때 잔류한 농약이 허용되지 않은 작물에 비의도적으로 이행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침체된 우리나라의 농산물우수관리제도(Good Agricultural Practices, GAP)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모든 농작물에 농약이 충분히 등록되어야 하고, 또한 농약 살포기에 잔류한 농약이 완전히 세척되지 않는 경우를 감안하여 미등록 농약이 비의도적으로 농작물에 이행되는 것이 일정량 허용되어야 할 것이다.
We inspected contaminations of pesticides in the 3,313 crop samples grown under the standard of Korean Good Agricultural Practices (GAP) between 2014 to 2016 May. According to our inspection, violations by unregistered pesticide contaminations far outweighed those by exceeding maximum residue limits...
We inspected contaminations of pesticides in the 3,313 crop samples grown under the standard of Korean Good Agricultural Practices (GAP) between 2014 to 2016 May. According to our inspection, violations by unregistered pesticide contaminations far outweighed those by exceeding maximum residue limits. Most of the crops contaminated with unregistered pesticides were minor vegetable crops, for which far less pesticide products are registered compared to cereal grains and fruits. And in our second study, the pesticide in the sprayer was removed 90% or more, but not totally by serial rinses. From this result, it is assumed that pesticide remained in the rinsed sprayer can be carried over to crops unintentionally. Our study shows that supplying pesticide products evenly to all kinds of crops and allowing unintentional carry-over of unregistered pesticides to a certain extent are solutions to revitalize depressed Korean Good Agricultural Practices.
We inspected contaminations of pesticides in the 3,313 crop samples grown under the standard of Korean Good Agricultural Practices (GAP) between 2014 to 2016 May. According to our inspection, violations by unregistered pesticide contaminations far outweighed those by exceeding maximum residue limits. Most of the crops contaminated with unregistered pesticides were minor vegetable crops, for which far less pesticide products are registered compared to cereal grains and fruits. And in our second study, the pesticide in the sprayer was removed 90% or more, but not totally by serial rinses. From this result, it is assumed that pesticide remained in the rinsed sprayer can be carried over to crops unintentionally. Our study shows that supplying pesticide products evenly to all kinds of crops and allowing unintentional carry-over of unregistered pesticides to a certain extent are solutions to revitalize depressed Korean Good Agricultural Practices.
본 연구자들은, 등록된 농약이 부족하여 GAP 제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확인하기 위하여 2014년부터 2016년 5월까지 농협의 GAP 인증 농가에서 생산되는 GAP 농산물의 미등록농약의 오염 실태를 살펴보았다. 또한 미등록농약이 비의도적으로 오염되는지 여부를 알아보기 위하여 농약 살포기 세척 정도에 따른 농약 살포기 내 잔류량을 분석하였다.
또한 미등록농약이 비의도적으로 오염되는지 여부를 알아보기 위하여 농약 살포기 세척 정도에 따른 농약 살포기 내 잔류량을 분석하였다. 그리하여 GAP의 활성화를 위해서, 모든 농산물에 차별 없이 농약이 충분히 등록되어야 하는 이유와 미등록농약의 비의도적 오염이 일정 범위 내에서 허용되어야 하는 이유를 밝히고자 하였다.
제안 방법
본 연구자들은, 등록된 농약이 부족하여 GAP 제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확인하기 위하여 2014년부터 2016년 5월까지 농협의 GAP 인증 농가에서 생산되는 GAP 농산물의 미등록농약의 오염 실태를 살펴보았다. 또한 미등록농약이 비의도적으로 오염되는지 여부를 알아보기 위하여 농약 살포기 세척 정도에 따른 농약 살포기 내 잔류량을 분석하였다. 그리하여 GAP의 활성화를 위해서, 모든 농산물에 차별 없이 농약이 충분히 등록되어야 하는 이유와 미등록농약의 비의도적 오염이 일정 범위 내에서 허용되어야 하는 이유를 밝히고자 하였다.
2014년부터 2016년 5월까지 GAP 농가로부터 의뢰된 GAP 농산물에 대하여 잔류농약을 분석하였다. 이 기간 중에 의뢰된 GAP 농산물은 과일류, 곡류 및 채소류가 대부분을 차지하였는데, 종류별로 보면 과일류 1,756건, 곡류 944건, 채소류 568건, 콩류 15건, 서류 13건, 견과종실류 6건, 버섯류 2건, 기타 9건이었다.
대상 데이터
2014년부터 2016년 5월까지 GAP 농가로부터 의뢰된 GAP 농산물에 대하여 잔류농약을 분석하였다. 이 기간 중에 의뢰된 GAP 농산물은 과일류, 곡류 및 채소류가 대부분을 차지하였는데, 종류별로 보면 과일류 1,756건, 곡류 944건, 채소류 568건, 콩류 15건, 서류 13건, 견과종실류 6건, 버섯류 2건, 기타 9건이었다. 곡류와 과일류는 대부분 가을철에 의뢰되었고, 노지재배보다 시설재배에 많이 의존하는 채소류는 연중 의뢰되는 경향을 보였다.
분석 대상 농약 표준물질은 Dr. Ehrenstorfer GmbH(Augsburg, Germany)사, Wako (Osaka, Japan)사 및 Ultra Scientific (North Kingstown, RI, USA) 사의 제품을 사용하였다. 농약 추출 용매로 사용한 아세토니트릴(acetonitrile)은 Sigma-Aldrich사 (St.
이론/모형
“농산물 등의 유해물질 분석법”(식품의약품안전처 고시제2013-138)10)에 따라 245종의 농약(Table 2)에 대하여 그 잔류량을 분석하였으며, 기기분석 조건은 Table 3~4와 같다.
성능/효과
9배 높았다. 또한 허용기준을 초과로 인한 부적합은 2014년부터 2016년까지 매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미등록농약으로 인한 부적합은 오히려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경향은 Kim 등2)의 보고에서도 알 수 있었다.
작물별로 보면 곡류나 과일류보다 엽채류에서 미등록농약이 상대적으로 많이 검출되었으며, 엽채류에서는 미등록농약으로 인한 부적합률이 50%를 상회하였다(Table 7, 8). 청경채는 단 한건이 의뢰되었는데 청경채에 허용되지 않은 chlorantraniliprole과 imidacloprid이 검출되어 인증이 취소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보듯이 미등록농약이 비의도적으로 오염될 수 있음을 감안하여 미등록농약이 검출되더라도 잔류허용기준의 1/10까지는 비의도적으로 오염으로 보고 허용하는 것이 적절할 것으로 사료된다.
후속연구
따라서 모든 작물에 농약이 충분히 등록되도록 하는 것이 농산물우수관리제도(Good Agricultural Practices, GAP)에 참여하는 농가 수를 확대하기 위한 선결과제이다.
또한 농업인이 살포기를 세척할 때마다 농약 잔류량을 확인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따라서 농약 살포기의 세척방법에 대한 지침이 마련되어 농업인에게 제공되어야 할 것이며, 농약 살포기의 재질, 모양에 따라 세척 후 농약 잔류정도가 다양하므로8,9,17,18) 여러 가지 세척방법이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GAP 인증 현황이 저조한 원인은 무엇인가?
GAP 인증 현황이 저조한 원인을 경제적 측면과 제도적 측면에서 찾아볼 수 있다. 경제적인 측면에서 보면, GAP 인증을 위해서는 인력과 자본의 추가적인 투입이 불가피함에도 GAP 인증 농산물의 가격이 일반 농산물과 차별화되지 않은 점이 GAP 인증 농가 확대의 장벽이 되고 있다4). 제도적인 측면에서 보면, GAP 농업인은 작물의 병해충 방제 시에 농약관리법에 따라 등록된 농약만을 사용하여야 하며, 이 때 식품위생법에서 정한 잔류허용기준을 초과하지 않도록 살포하여야 하는데5), 작물별로 등록된 농약이 충분하지 않다는 점이 문제가 된다. 작물별로 등록된 농약(상품)을 살펴보면 다소비 농작물인 쌀이나 사과, 배추 등에는 농약이 충분히 등록되어 있으나, 소비량이 적은 기장이나 살구, 청경채 등에는 방제할 수 있는 농약이 거의 등록되어있지 않은 실정인데(Table 1)6), 이는 생산 면적과 생산량이 적은 작물에 대해서는 농약 제조 회사들이 농약을 상품화하여 등록하는 일을 기피하고 있기 때문으로 판단되고 있다7).
GAP 농작물에 방제할 수 있는 농약이 충분히 등록되지 않음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GAP 농작물에 방제할 수 있는 농약이 충분히 등록되지 않음으로 인해 두 가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첫 번째는 GAP 농가가 병해충 방제를 위해 부득이 등록되지 않은 농약을 의도적으로 방제하는 문제이다. 두 번째 문제는 Petroff8)와 Hirnyck9)이 지적한 바와 같이 농약 살포기에 잔류한 농약이 비의도적으로 허용되지 않은 농작물에 이행(carry-over)될 수 있다는 점이다. 이 두 가지 행위는 농산물우수 관리기준과 농약관리법 모두에 위반이 된다.
GAP 제도가 도입된 이후 인증 현황은 어떠한가?
이점은 유기합성농약을 사용할 수 없는 친환경농산물에 비해 큰 장점이자 차이점이라고 할 수 있다2). 그러나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GAP 제도가 도입 된지 10년이 지난 2016년 현재 GAP 인증 농가는 전체농가의 5.4%, 재배 면적은 4.2%, 생산량은 9.6%로 아직 저조한 실정이다3). 이에 정부는 GAP 농가를 2025년까지 50%로 끌어올리겠다는 목표 아래 교육홍보 강화, 컨설팅 강화, 분석비용 지원 등 여러 가지 GAP 활성화 정책을 제시하고 있다4).
참고문헌 (18)
Shim, W.B., Nam, M.W., Chung, D.H.: Understanding and activation of GAP system. Safe Food, 9, 3-8 (2014).
Kim, H.G., Choi, D.S., Kim, S.G.: Analysis of recent four years situation for pesticide residues in the GAP certified agricultural products analyzed by National Agricultural Cooperative Federation. Korean J. Pestic. Sci., 17, 271-282 (2013).
GAP Information Service: Current States of GAP Certification and Agricultural Products Traceability System (June, 2016). Available form: http://www.gap.go.kr/board/BoardView.do?b_idpds&ctgry_cd&b_seq82&orderby. Accessed August, 12, 2016.
Kim, H.Y., Ryu, J.G., Yoon, D.H., Park, J.Y., Cho, J.: Role sharing among private sector, local government and central government to develop GAP (Good Agricultural Practices) certification system. Safe Food, 10, 31-36 (2015).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Good Agricultural Practices. Notification No. 2014-33 (2014).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Pesticides Information Service. Available from: http://pis.rda.go.kr. Accessed July, 14, (2016).
Ahn, C.H., Kim, Y.H., Eom, H.S., Lee, G.H., Ryu, G.H.: A study on crop group for pesticide efficacy and crop safety of minor crops. Korean J. Pestic. Sci., 18, 364-375 (2014).
Petroff, R., Johnson, G.: Maintenance, Cleaning and Storage of Ground Sprayers. Montana State University Extension MontGuide MT198917AG (February 2011). Available from : http://www.pesticides.montana.edu/documents/montguides/Sprayer-cleaning-MT198917AG.pdf, Accessed June, 13, (2016).
Hirnyck, R.: Using pesticides safely. PNW Pest Management Handbook, A Pacific Northwest Extention Publication, 1-6 (March, 2016). Available from: https://pnwhandbooks.org/sites/pnwhandbooks/files/common/chapterpdf/pesticidesafety.pdf. Accessed June, 13, (2016).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Analysis of Hazardous Substances of Agricultural Products. Notification No. 2013-138 (2013).
Lee, Y.S., Lee, H.J., Jang, M.J., Jung, G.H., Lee, J.G.: Occurrence of Major Insects in Bok-Choy and Blueberry in Gyeonggi Province.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of Pesticide Science, 4, 80-80 (2014).
Wang, X., Khakame, S.K., Ye, C., Yang, Y., Wu, Y.: Characterisation of fieldevolved resistance to chlorantraniliprole in the diamondback moth, Plutella xylostella, from China. Pest Manag. Sci., 69, 661-665 (2013).
Sun, Y.X., Liu, T.X.: Effectiveness of imidacloprid in combination with a root nitrogen fertilizer applied to tomato seedlings against Bemisia tabaci (Hemiptera: Aleyrodidae). Crop Prot., 80, 56-64 (2015).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Standard of Registration of Pesticides and their Technical Grades. Notification No. 2013-21 (2013).
Park, D.G., Kim, T.H., Kim, S.S., Kim, S.M., Kim, S., Hur, J.H.: Monitoring of pesticide residues at alpine and slopedland in Gangwon, Korea. Korean J. Pestic. Sci. 8, 189-197 (2004).
Raeppel, C., Salquebre, G., Millet, M., Appenzeller B.M.R.: Pesticide detection in air samples from contrasted houses and in their inhabitants' hair. Sci. Total Environment., 544, 845-852 (2016).
Suciu, N. Ferrari, T. Ferrari, F. Trevisan, M., Capri, E.: Pesticide removal from waste spray-tank water by organoclay adsorption after field application: an approach for a formulation of cyprodinil containing antifoaming/defoaming agents. Environ. Sci. Pollut. Res., 19, 1229-1236 (2012).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