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식품안전현대화법의 농산물안전규칙과 농산물품질관리법의 농산물우수관리기준 비교평가
Comparative Assessment of Good Agricultural Practices Standards in Agricultural Product Quality Control Act with respect to Produce Safety Rule in Food Safety Modernization Act 원문보기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v.33 no.1, 2018년, pp.12 - 22  

윤덕훈 (국립한경대학교 국제농업기술정보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미국 정부는 2011년 식품안전현대화법(FSMA, Food Safety Modernization Act)을 제정하였으며 단계적으로 실시 및 실시예정에 있다. 이중 농산물안전(Produce Safety) 최종규칙은 농산물 재배, 수확, 포장 및 보관과 관련된 생물학적 위해요소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데, 영농규모 등에 따라 2017년 1월부터 단계적으로 시행되고 있다. FSMA의 농산물안전 규칙 중 현장에서 준수해야 하는 조항을 55개 선별하여 한국 GAP기준과 비교한 결과, 비교 대상인 두 개의 기준이 조항별 관리사항에 대해 1:1로 단순비교하기에는 어려운 점이 있으나 상당수의 한국 GAP기준이 대응이 가능하다. 다만 한국 GAP기준은 포괄적 기준으로 평가자에 따라 다른 판단을 할 여지가 많으므로 기준의 세부 사항의 보강이 필요하다. 조항별로 보면, 작업자 안전위생(FSMA Subpart D)에 대하여 한국 GAP기준은 가장 높게 대응이 되며, 그 다음으로는 가축 및 야생 동물(FSMA Subpart I), 건물 장비 도구(FSMA Subpart L), 재배 수확 등의 활동(FSMA Subpart K) 순으로 대응이 되고 있다. 그러나, 농업용수 관리(FSMA Subpart E)와 관리자의 자격 및 교육(FSMA Subpart C)에 대해서는 다소 미흡한 실정이며, 가축분뇨기반 퇴비 관리(FSMA Subpart F)에 대해서는 대응이 취약한 편이다. FSMA 규칙은 인증 기준은 아니나, 세계적으로 식품안전의 표준을 선도하는 미국이 제시한 규칙인 만큼 파급력이 상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국내 농산물 기준 중 FSMA 규칙에서 강조하는 미생물적 안전성에 대응하는 기준이 GAP기준이므로 한국 GAP기준의 재검토를 통해 우리 농산물의 품질 향상 및 수출확대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US government has enacted the Food Safety Modernization Act (FSMA) in 2011, which is being phased in and planned. The final Rules of Produce Safety focus on biological hazards related to agricultural production, harvesting, packaging and storage, which are being phased in since 2017 depending on...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농업용수가 미생물(E. coli) 기준에 미달할 경우 조치사 항과 모니터링 방법(§112.43)을 제안하였다.
  • 만약 농업용수가 미생물기준을 충족하지 못하거나 안전성이나 위생관리 수준에서 적절치 못하다고 판단되는 경우라면, 전체 농업용수시스템의 모니터링, 위해요소 유입 가능성에 대한 조건 도출, 조치 시행 및 조치의 효과성 판단을 하도록 제안하였다(§112.45).
  • coli가 100 mL에서 검출되지 않아야 하며, 미처리된 지표수(호소수, 하천수 등)의 사용을 금지하고 있다. 살수법(스프링클러)으로 농산물(발아식 물 제외)의 생육기에 농업용수를 관수하는 경우에는 기하 평균(geometric mean) 126 CFU/100 mL 이하이거나 통계 임계값(statistical threshold value) 410 CFU/100 mL 이하의 기준값을 제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퇴비의 미생물 기준을 충족하기 위한 처리방법 종류는 ? 55). 처리방법은 물리적(열처 리), 화학적(고알칼리 pH), 생물학적(퇴비화)방법을 사용하 거나 이들 방법을 조합할 수 있다. Salmonella spp.
퇴비는 어떻게 저장되어야 하는가? 퇴비는 농산물, 접촉면, 생산구역, 용수원, 배수시스템 등의 잠재적인 오염원이 되지 않는 방식으로 취급, 운반 및 저장되어야 한다(§112.52).
수확된 농산물 유통 과정에서의 중요한 점 땅에 떨어진 농산물을 유통시켜서는 안 된다(§112.114). 그러나 당근과 같이 땅속에서 자라는 뿌리작물, 칸탈루프 멜론과 같이 지상에서 자라는 작물, 그리고 아몬드와 같 이 수확의 일환으로 의도적으로 땅에 떨어뜨리는 농산물 등은 예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FD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Compliance date extentions and Clarifications for FSMA Final Rules. Available from: https://www.fda.gov/Food/GuidanceRegulation/FSMA/ucm517545.htm. Accessed January 8 (2018). 

  2. Korea Agro-Fisheries & Food Trade Corporation. Final Rule of FSMA-Standards for Agricultural Products (2016). 

  3. Kim, S.C.: Production of safe products and GAP regulations. Korean J. Pestic. Sci., 9, 1-10, (2005). 

  4. NAQS. States of GAP certification. Available from: https://www.gap.go.kr/jsp/BizGap/ServiceInfo2/ServiceInfo2_05.jsp. Accessed September 19 (2017). 

  5. MAFRA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Policy Directions of GAP in 2017, In Training of GAP Certification Inspector in 2017(Joo S.H. eds.), RDA, Jeoju, pp. 3-21 (2017). 

  6. FD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SMA Final Rule on Produce Safety. Available from: https://www.fda.gov/food/guidanceregulation/fsma/ucm334114.htm. Accessed January 12 (2018). 

  7. FD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ood Safety Modernization Act. Available from: https://www.fda.gov/food/guidanceregulation/fsma/. Accessed September 4 (2017). 

  8. FD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act Sheet-Key Requirements-Final Rule on Produce Safety (2015). 

  9. MAFRA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Final Rule of FSMA (2016). 

  10. MFDS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US Food Safety Modernization Act (FSMA) and Establishment of the subrule (2016). 

  11. RDA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Standards of Good Agricultural Practices, RDA, Reg. 2016-3. annexed list 1 (2016). 

  12. FoodPLUS. GLOBALG.A.P. Integrated Farm Assurance-Fruit and Vegetables, Edition 5.0-2_July2016, (2016). 

  13. Song, K.Y., Seo K.H.,: Understanding US FDA's Food Safety Modernization Act (FSMA) and Strategies for Food Export to USA, Safe Food, 11, 33-38 (2016). 

  14. Kim, Y.R., Lee, K.A., Kim, S.R., Kim, W.I., Ryu, S.H., Ryu, J.G., Kim, H.Y.: Microbial hazard analysis of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for the Good Agricultural Practices. J. Food Hyg. Saf., 29, 181-188 (2014). 

  15. Kim, Y.R., Lee, K.A., Choi, I.W., Lee, Y.H., Kim, S.I., Kim, W.I., Ryu, S.H., Lee, H.S., Ryu, J.G., Lim, H.Y.: Investigation of microbial contamination in Oenanthe javanica at postharvest environments. J. Food Hyg. Saf., 29, 268-277 (2014). 

  16. Yoon, D.H., Oh, S.Y., Nam, K.W.: Suggestion of agricultural water quality for GAP. Korean J. Hortic. Sci. Technol., 34 (Suppl II), 235 (2016). 

  17. Yun, B.Y., Kim, M.K. Ryu, J.H., Kim, W.I., Park, B.Y., Kim, H.J. Lee, S.D., Kim, S.R.: Investigation of microbiological and physiochemical quality for irrigation water used in napa cabbage cultivation. J. Food Hyg. Saf., 32, 396-403 (2007). 

  18. Burnett, S.L., Beuchat, L.R.: Human pathogens associated with raw produce and unpasteurized juices, and difficulties in decontamination. J. Industrial Micro. & Biotech., 27, 104-110 (2001). 

  19. Jung, K.S., Heu, S.G., Roh, E.J., Jang, M.N., Lee, D.H., Choi, J.H., Lee, S.Y., Yun, J.C., Kim, G.H.: Effect of temperature on survival of Salmonella enterica and Staphylococcus aureus. Korean J. Soil Sci. Fert., 45, 555-559 (2012). 

  20. Kang, J.H., Shim, H.M., Kim, K.Y.: Monitoring of norovirus and indicator microorganisms from agricultural products and environmental samples in Korea. Korean J. Food Sci. Technol., 49, 123-131 (2017). 

  21. Han, S.H., Lee, K.H., Yang, S.G., Kim, H.Y., Kim, H.J., Ryu, J.G.: New tool to simulate microbial contamination of onfarm produce: Agent-based modeling and simulation. J. Food Hyg. Saf., 32, 8-13 (201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