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국내 농산물우수관리인증 농산물의 미등록농약 오염 실태 조사
Monitoring of Unregistered Pesticides Contaminated in the Domestic Crops Grown under Good Agricultural Practices 원문보기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v.32 no.4, 2017년, pp.275 - 283  

김준성 (농협중앙회 식품연구원) ,  오덕환 (강원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14년부터 2016년 5월까지 3,313건의 농산물우수관리 기준으로 재배되는 농산물(GAP 농산물)에 대한 미등록농약 오염 실태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미등록농약 오염에 의한 부적합 건수가 잔류허용기준을 초과에 의한 부적합 건수보다 훨씬 많았다. 미등록농약이 검출되어 부적합 판정된 GAP 농산물의 대부분은 소면적엽채류 작물이었는데 그 이유는 이들 작물에 등록된 농약이 곡류나 과일류보다 훨씬 부족하기 때문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방제가 끝난 농약 살포기를 세척하여도 살포기 내에 농약이 어느 정도 잔류할 수 있으며, 이 때 잔류한 농약이 허용되지 않은 작물에 비의도적으로 이행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침체된 우리나라의 농산물우수관리제도(Good Agricultural Practices, GAP)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모든 농작물에 농약이 충분히 등록되어야 하고, 또한 농약 살포기에 잔류한 농약이 완전히 세척되지 않는 경우를 감안하여 미등록 농약이 비의도적으로 농작물에 이행되는 것이 일정량 허용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inspected contaminations of pesticides in the 3,313 crop samples grown under the standard of Korean Good Agricultural Practices (GAP) between 2014 to 2016 May. According to our inspection, violations by unregistered pesticide contaminations far outweighed those by exceeding maximum residue limit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또한 미등록농약이 비의도적으로 오염되는지 여부를 알아보기 위하여 농약 살포기 세척 정도에 따른 농약 살포기 내 잔류량을 분석하였다. 그리하여 GAP의 활성화를 위해서, 모든 농산물에 차별 없이 농약이 충분히 등록되어야 하는 이유와 미등록농약의 비의도적 오염이 일정 범위 내에서 허용되어야 하는 이유를 밝히고자 하였다.
  • 본 연구자들은, 등록된 농약이 부족하여 GAP 제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확인하기 위하여 2014년부터 2016년 5월까지 농협의 GAP 인증 농가에서 생산되는 GAP 농산물의 미등록농약의 오염 실태를 살펴보았다. 또한 미등록농약이 비의도적으로 오염되는지 여부를 알아보기 위하여 농약 살포기 세척 정도에 따른 농약 살포기 내 잔류량을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GAP 인증 현황이 저조한 원인은 무엇인가? GAP 인증 현황이 저조한 원인을 경제적 측면과 제도적 측면에서 찾아볼 수 있다. 경제적인 측면에서 보면, GAP 인증을 위해서는 인력과 자본의 추가적인 투입이 불가피함에도 GAP 인증 농산물의 가격이 일반 농산물과 차별화되지 않은 점이 GAP 인증 농가 확대의 장벽이 되고 있다4). 제도적인 측면에서 보면, GAP 농업인은 작물의 병해충 방제 시에 농약관리법에 따라 등록된 농약만을 사용하여야 하며, 이 때 식품위생법에서 정한 잔류허용기준을 초과하지 않도록 살포하여야 하는데5), 작물별로 등록된 농약이 충분하지 않다는 점이 문제가 된다. 작물별로 등록된 농약(상품)을 살펴보면 다소비 농작물인 쌀이나 사과, 배추 등에는 농약이 충분히 등록되어 있으나, 소비량이 적은 기장이나 살구, 청경채 등에는 방제할 수 있는 농약이 거의 등록되어있지 않은 실정인데(Table 1)6), 이는 생산 면적과 생산량이 적은 작물에 대해서는 농약 제조 회사들이 농약을 상품화하여 등록하는 일을 기피하고 있기 때문으로 판단되고 있다7).
GAP 농작물에 방제할 수 있는 농약이 충분히 등록되지 않음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GAP 농작물에 방제할 수 있는 농약이 충분히 등록되지 않음으로 인해 두 가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첫 번째는 GAP 농가가 병해충 방제를 위해 부득이 등록되지 않은 농약을 의도적으로 방제하는 문제이다. 두 번째 문제는 Petroff8)와 Hirnyck9)이 지적한 바와 같이 농약 살포기에 잔류한 농약이 비의도적으로 허용되지 않은 농작물에 이행(carry-over)될 수 있다는 점이다. 이 두 가지 행위는 농산물우수 관리기준과 농약관리법 모두에 위반이 된다.
GAP 제도가 도입된 이후 인증 현황은 어떠한가? 이점은 유기합성농약을 사용할 수 없는 친환경농산물에 비해 큰 장점이자 차이점이라고 할 수 있다2). 그러나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GAP 제도가 도입 된지 10년이 지난 2016년 현재 GAP 인증 농가는 전체농가의 5.4%, 재배 면적은 4.2%, 생산량은 9.6%로 아직 저조한 실정이다3). 이에 정부는 GAP 농가를 2025년까지 50%로 끌어올리겠다는 목표 아래 교육홍보 강화, 컨설팅 강화, 분석비용 지원 등 여러 가지 GAP 활성화 정책을 제시하고 있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Shim, W.B., Nam, M.W., Chung, D.H.: Understanding and activation of GAP system. Safe Food, 9, 3-8 (2014). 

  2. Kim, H.G., Choi, D.S., Kim, S.G.: Analysis of recent four years situation for pesticide residues in the GAP certified agricultural products analyzed by National Agricultural Cooperative Federation. Korean J. Pestic. Sci., 17, 271-282 (2013). 

  3. GAP Information Service: Current States of GAP Certification and Agricultural Products Traceability System (June, 2016). Available form: http://www.gap.go.kr/board/BoardView.do?b_idpds&ctgry_cd&b_seq82&orderby. Accessed August, 12, 2016. 

  4. Kim, H.Y., Ryu, J.G., Yoon, D.H., Park, J.Y., Cho, J.: Role sharing among private sector, local government and central government to develop GAP (Good Agricultural Practices) certification system. Safe Food, 10, 31-36 (2015). 

  5.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Good Agricultural Practices. Notification No. 2014-33 (2014). 

  6.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Pesticides Information Service. Available from: http://pis.rda.go.kr. Accessed July, 14, (2016). 

  7. Ahn, C.H., Kim, Y.H., Eom, H.S., Lee, G.H., Ryu, G.H.: A study on crop group for pesticide efficacy and crop safety of minor crops. Korean J. Pestic. Sci., 18, 364-375 (2014). 

  8. Petroff, R., Johnson, G.: Maintenance, Cleaning and Storage of Ground Sprayers. Montana State University Extension MontGuide MT198917AG (February 2011). Available from : http://www.pesticides.montana.edu/documents/montguides/Sprayer-cleaning-MT198917AG.pdf, Accessed June, 13, (2016). 

  9. Hirnyck, R.: Using pesticides safely. PNW Pest Management Handbook, A Pacific Northwest Extention Publication, 1-6 (March, 2016). Available from: https://pnwhandbooks.org/sites/pnwhandbooks/files/common/chapterpdf/pesticidesafety.pdf. Accessed June, 13, (2016). 

  10.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Analysis of Hazardous Substances of Agricultural Products. Notification No. 2013-138 (2013). 

  11. Lee, Y.S., Lee, H.J., Jang, M.J., Jung, G.H., Lee, J.G.: Occurrence of Major Insects in Bok-Choy and Blueberry in Gyeonggi Province.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of Pesticide Science, 4, 80-80 (2014). 

  12. Wang, X., Khakame, S.K., Ye, C., Yang, Y., Wu, Y.: Characterisation of fieldevolved resistance to chlorantraniliprole in the diamondback moth, Plutella xylostella, from China. Pest Manag. Sci., 69, 661-665 (2013). 

  13. Sun, Y.X., Liu, T.X.: Effectiveness of imidacloprid in combination with a root nitrogen fertilizer applied to tomato seedlings against Bemisia tabaci (Hemiptera: Aleyrodidae). Crop Prot., 80, 56-64 (2015). 

  14.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Standard of Registration of Pesticides and their Technical Grades. Notification No. 2013-21 (2013). 

  15. Park, D.G., Kim, T.H., Kim, S.S., Kim, S.M., Kim, S., Hur, J.H.: Monitoring of pesticide residues at alpine and slopedland in Gangwon, Korea. Korean J. Pestic. Sci. 8, 189-197 (2004). 

  16. Raeppel, C., Salquebre, G., Millet, M., Appenzeller B.M.R.: Pesticide detection in air samples from contrasted houses and in their inhabitants' hair. Sci. Total Environment., 544, 845-852 (2016). 

  17. Suciu, N. Ferrari, T. Ferrari, F. Trevisan, M., Capri, E.: Pesticide removal from waste spray-tank water by organoclay adsorption after field application: an approach for a formulation of cyprodinil containing antifoaming/defoaming agents. Environ. Sci. Pollut. Res., 19, 1229-1236 (2012). 

  18. Hirnyck, R.: Pesticide Sprayer Cleanout. Available from: http://www.uidaho.edu/-/media/UIdaho-Responsive/Files/cals/Programs/Potatoes/proceedings/2014/Sprayer-cleanout-withpam-Hirnyck-2014.ashx. Accessed June, 13, 20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