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Systematic analysis 방법을 이용한 국내 엽경채류 농산물의 미생물학적 오염도 분석
Systematic Analysis of Microbial Contamination in Leaf and Stem Products in Korea 원문보기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v.32 no.4, 2017년, pp.306 - 313  

성승미 (경희대학교 영양교육대학원) ,  민지현 (경희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현정 (한국식품연구원) ,  윤기선 (경희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종경 (한양여자대학교 식품영양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농산물의 미생물학적 수준에 관하여 체계적인 연구분석(systemic analysis) 기법을 이용하여 비가열 농산물의 위생안전관리를 목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2001년부터 2015년까지 인쇄된 관련 연구논문을 NDSL 검색엔진을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 리뷰, 자료 정리, 분석 및 결과 정리하였다. 농산물 분류체계를 비교 조사하여 미국의 IFSAC (Interagency Food Safety Analytics Collaboration)의 식품분류체계에 따라 국내 농산물을 분류하였다. 선정된 22건의 논문 내 89건의 데이터를 종합한 결과, 분류체계 내에서 국내 농산물에서 총균수 수준이 높고 대장균 오염이 가장 많은 농산물은 엽경채류와 새싹 발아채소(sprouts)로 나타났다. 단체급식에서 생채소로 소비되는 엽경채류에서 단체급식의 다소비 농산물로서 식중독과 연관성이 높은 품목인 상추, 부추, 배추에 관하여 미생물에 관한 자료 검색, 수집, 선정 및 분석 결과 최종 33편의 논문에서 미생물의 정량적 수준은 총균수 4.15~ 7.69 log CFU/g, 대장균군 1~6.99 log CFU/g, B. cereus 0.51~3.9 log CFU/g으로 나타났다. GAP 데이터 기반 농산물의 미생물학적 영향을 미치는 환경인자 문헌조사 결과 퇴비, 토양, 작업자 손, 장갑이 주요 영향인자로 나타났다. 농산물의 미생물학적 관리를 위하여 전문가 의견과 문헌조사를 통하여 GAP도입, 취약 품목의 미생물학적 분석계획, 토양으로부터 작물의 오염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작물생산방식 도입 및 실행규범 준수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systemically analyzed the data on the microbial levels in fresh vegetables in Korea to identify the points to control. We scanned the studies published between 2001 and 2015 in peer-reviewed research papers on the microbial levels in fresh vegetables produced in Korea. Plant products we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최근 미국에서 식중독 원인 규명을 위하여 3개 기관(CDC, FDA, USDA (FSIS))이 합동 역학조사 원인분석 프로그램인 IFSAC (Interagency Food Safety Analytics Collaboration)12)에서 식품을 분류하기 위하여 대분류로 육상동물 (land animal), 수상동물(aquatic animal), 식물(plant), 기타 (other)로 분류를 시작한다. IFSAC의 식품 분류작업은 식품안전을 위하여 정보 제공 및 관리활동의 결정을 돕기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으며, 식품에서 식중독 원인조사 시 원인추정을 할 때 식품항목을 정확하게 기술하기 위한 목적으로 과학적 분류체계를 만들었다. 이들 식품 분류체계에는 FDA와 FSIS의 관리상의 식품 분류를 반영하고, 식물학적 항목을 명확히 구분하고, 제품별 생산관리를 준수하고 수확 후의 취급시스템을 식품분류체계에 반영할 수 있게 되었다12).
  • 2. Systematic analysis of the microbial levels of fresh produce in Korea. Red color shows the high level and green color shows the low level in the total plate count number.
  • 이후 농산물 분류내에서 미생물 오염도가 높은 세부 농산물 항목별로 2차 분석을 실시하였다. 농산물 관리를 위하여 국내외 연구보고서 및 학술자료를 참고하여 데이터에 기반하여 국내 농산물의 관리 방향을 도출하고자 한다.
  • 주요 관리가 필요한 농산물의 미생물의 유입경로를 파악하기 위하여 농산물우수관리제도(good agricultural practice, GAP) 관련 2000년부터 2015년까지 학술논문과 학위논문을 NDSL 검색엔진에서 검색하였다. 본 연구에서 선정된 농산물 품목 생산과 관련된 환경인자별 미생물 오염수준을 수집하여 환경인자와 미생물 종류 및 수준에 관한 데이터를 조사하였다. 농산물의 미생물학적 관리를 방법도출을 위하여 농산물 분야, 단체급식 분야, 식품미생물 분야, 공공 및 민간의 급식위생 관리 분야 전문가 8인의 농 산물 관리방법에 관한 의견을 참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농산물이 미생물에 오염되게 하는 요인에는 무엇이 있는가? 최근 건강의 대한 관심증가로 신선한 채소, 과일과 같은 농산물의 소비가 늘어나고 있으며, 농산물을 가열하지 않고 생식으로 섭취하는 경우도 많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농산물은 생산과정에서 관개 용수, 토양, 퇴비, 가축의 분변, 동물, 곤충 등 여러 요인에 의해 생산과정에서부터 소비자에게 공급되기까지 미생물에 오염될 가능성이 있는데 농산물을 가열하지 않고 섭취하는 경우 미생물에 오염된 농산물을 그대로 섭취할 수 있어 식중독의 위험이 커지게 된다1,2). 국내에서는 2013년과 2014년에 학교급식에 납품된 김치와 열무김치에 의한 병원성 대장균 식중독이 문제로 대두된 바 있다3).
세척방법에 따라 미생물 저감 효과는 어떤가? 단체급식과 외식분야의 경우, 유통단계 이후 농산물의 미생물을 제어할 수 있는 수단은 소독과 가열방식이 주로 활용된다. 세척방법에 따른 미생물 저감화 효과 관련연구에 의하면, 수돗물 세척 시 일반세균 및 대장균군의 미생물 수가 오히려 증가하거나 감소효과가 낮은데 반하여, 염소 세척, 오존수 세척을 하는 경우 미생물 감소효과가 높아4) 수돗물 이외의 소독제와 물리적 수단을 활용하여 병원성 미생물 수준을 낮추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단체급식소에서 사용되는 엽경채류 중 시금치, 부추, 상추, 양배추 순으로 사용빈도가 높게 나타났다1,2).
국내 식품에 대해 병원성 미생물의 오염도를 조사한 사전연구의 한계점은? , Campylobacter jejuni/coli, Pathogenic Escherichia coli 등의 오염, 수산물과 물과 연관된 병원성 미생물은 Vibrio parahaemolyticus와 norovirus 가 주로 나타났으며, 많은 재료가 섞여 있는 복합조리식 품에는 Staphylococcus aureus 양성 샘플이 많이 나타났다. 그러나 이들에 관한 원논문들을 검토하여 보면 대부분의 연구자들이 식품-미생물 짝을 선정하여 미생물학적 오염도 결과를 제시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국내에서 농산물은 주로 토양미생물을 중심으로 분석이 이루어졌다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Min J.H., Lee J.K., Kim H.J., Yoon K.S.: Analysis Study on the use of Frequency and the Cooking Method of Leaf and Stem Vegetables in High School Foodservice. J. Food Hyg. Saf., 31, 250-257 (2016). 

  2. Jung S.H., Hur M.J., Ju J.H., Kim K.A., Oh S.S., Go J.H., Kim Y.H., ImJ.S.: Microbiological Evaluation of Raw Vegetables. J. Food Hyg. Saf., 21, 250-257 (2006). 

  3.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KCDC). Available from: http://cdc.go.kr/CDC/info/CdcKrInfo0519.jsp?menuIdsHOME001-MNU1132-MNU0072-MNU0073, Accessed Dec. 01, (2016). 

  4. Cho S.K., Park J.H.:Cho S. K., Park J. H.: Microbial Contamination Analysis for Drinking Water, Foodstuff, and Cooked Food for Foodservice Operation. Korean. J. Food Sci. Technnol., 44, 478-483 (2012). 

  5.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 of Infectious Diseases in Korea Annual Report 2014. Available from: http://cdc.go.kr/CDC/info/CdcKrInfo0519.jsp?menuIdsHOME001-MNU-1132-MNU0072-MNU0073, Accessed Dec. 01, (2016). 

  6. Lee J.K., Kwak N.S., Kim H.J.: Systemic Analysis of Foodborne Disease Outbreak in Korea. Foodborne Pathogens and Disease, 13, 101-107 (2016). 

  7. Min J.H., Park M.K., Kim H.J., Lee J.K.: Systemic Analysis on Hygiene of Food Catering in Korea (2005-2014). J. Food Hyg. Saf., 30, 13-27 (2015). 

  8. Littell J., Cororan J., Pillai V.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is.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08). 

  9.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FDS). Food Code Raw food material category (2015). Available from: http://www.foodsafetykorea.go.kr/foodcode/01_03.jsp?idx4, Accessed Dec. 01, (2016). 

  10.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MAFRA). Standard Code of Agriculture and Food (2016) http://code.okdab.com, Accessed Dec. 12, (2016). 

  11.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MAFRA). Standard code for agricultural products. Available from: https://www.atfis.or.kr/contents/M004020500/view.do, Accessed Dec. 01, (2016). 

  12. Interagency Food Safety Analytics Collaboration (IFSAC) (2015). Foodborne illness source attribution estimates for Salmonella, Escherichia coli O157, Listeria monocytogenes, and Campylobacter using outbreak surveillance data. Available from: http://www.cdc.gov/foodsafety/pdfs/ifsac-project-report-508c.pdf, Accessed Dec. 01, (2016). 

  13. National Digital Science Library (NDSL). Available from: http://www.ndsl.kr/index.do, Accessed Dec. 01, (2016). 

  14. Namgung M., Kim B.S., Heo S.J., Choi Y.B., Hur J.H., Park D.H.: Assessment of Pre-Harvest Environmental Factors in Domestic Production of Organic Lettuce. Korean J. Society Pestic. Sci., 18, 88-94 (2014). 

  15. Jung J.Y.: Analysis of Microbial Diversity in Salted Cabbage and Recycled Brine Solution. Master of Science Thesi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2010). 

  16. Seol H.R.: Microbial Hazards Analysis of Raw Materials and Manufacturing Processes for Chinese Cabbage Kimchi. Master of Science Thesis Chung-Ang University (2010). 

  17. Lee S.M.: Safety assurance method of Kimchi. The Korea Society of Food Service Sanitation, Yonsei University Nov. 25, 2016 (2016). 

  18. Kim S.R., Lee S.H., Kim W.I., Kim B.S., Kim J.H., Chung D.H., Yun J.C., Ryu K.Y.: Effect of Medium, Soil, and Irrigation Water Contaminated with Escherichia coli and Bacillus cereus on the Microbiological Safety of Lettuce. Korean J. Hortic. Sci., 30, 442-448 (2012). 

  19. Kim S.R., Lee J.Y., Lee S.H., Kim W.I., Park K.H., Yun H.J., Kim B.S., Chung D.H., Yun J.C., Ryu K.Y.: Evaluation of Microbiological Safety of Lettuce and Cultivation Area. J. Food Hyg. Saf., 26, 289-295 (2011). 

  20. Good Agricultural Practices of Lettuce (2016). Available from: http://www.nongsaro.go.kr/portal/ps/psb/psbk/kidofcomdtyPrdlstCode.ps?menuIdPS00067&sStdPrdlstCodeVC021005&sStdTchnlgyCodeGC05&kidofcomdtyNo16229&totalSearchYnY, Accessed Nov. 30, (2016). 

  21.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Final Rule on Produce Safety. Available from: http://www.fda.gov/downloads/internationalprograms/partnerships/ucm507920.pdf, Accessed Nov. 30, (20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