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서울시 유통 건강기능식품 중 츄어블제품 66건과 인삼홍삼제품 60건을 수거하여 분석하였다. 시료 전체의 1일 섭취량당 당함량 평균은 1.95 g이었고 범위는 N.D. ~ 12.61 g 이었다. 제품 유형별로는 츄어블 제품의 평균은 1.26 g 이었고 범위는 N.D. ~ 10.39 g이었다. 인삼홍삼제품의 평균은 2.70 g이었고 범위는 N.D. ~ 12.61 g이었다. 츄어블제품중 1일 섭취량당 당함량은 어린이용 제품이 평균 2.10 g으로 가장 높았고 영양소제품은 평균 1.43 g, 기능성원료 제품은 평균 0.35 g이였다. 어린이용 제품은 1일 섭취량당 당함량이 1.03 g ~ 5.33 g, 영양소 제품은 N.D. ~ 10.39 g, 기능성원료 제품은 N.D. ~ 2.61 g의 범위를 보였다. 인삼홍삼제품중 1일 섭취량 당 당함량은 액상 제품이 평균 4.25 g으로 가장 높았고 농축액 제품은 평균 1.51 g, 분말제품은 평균 1.49 g이었다. 액상 제품의 1일 섭취량당 당함량의 범위는 N.D. ~ 10.80 g, 농축액 제품의 범위는 N.D. ~ 12.61 g, 분말제품의 범위는 0.06 g ~ 5.64 g의 분포를 보였다. 인공감미료를 분석한 결과 3건에서 인공감미료가 검출되었다. 인삼홍삼제품에서는 인공감미료가 검출되지 않았으며 츄어블제품 중 영양소 제품 2건과 기능성원료 제품 1건에서 검출되었다. 검출된 인공감미료는 아스파탐으로 영양소 제품에서 3.09 g/kg, 기능성원료 제품에서 1.09 g/kg 검출되었고 3건 모두 허용량 이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and evaluate total sugar and artificial sweetener contents in health functional foods. In this study, HPLC with evaporative light scattering detector (ELSD) and HPLC-UV were used to determine the contents of total sugar and artificial sweetener in health fu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번 연구에서는 서울시에 유통 판매되고 있는 건강기능식품을 대상으로 총 당류(total sugar)와 아스파탐, 아세설팜 칼륨, 삭카린나트륨의 인공감미료 함량을 분석하여 건강기능식품 선택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강기능식품이란 무엇인가? 건강기능식품은 인체에 보건 목적의 유용한 효과를 얻기 위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정제·캅셀·분말·과립·액상·환 등의 형태로 제조·가공한 식품으로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에 정의되어 있다1). 현대 사회에서 식품 선택 시 식품의 건강 기여적인 측면이 중요한 기준이 되고 있으며, 안전하고 편리한 식품을 통해 평소 부족하기 쉬운 영양과 기능성 성분을 섭취하고자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2,3).
식품첨가물로 허용된 인공감미료의 특성은 무엇이며, 어디에 첨가되어 사용되는가? 인공감미료는 설탕의 수십 배 이상의 단맛을 내면서도 열량이 거의 없는 특성 때문에 당뇨, 고혈압과 같은 대사성 질환 예방을 위해 식품 및 의약품 등에 첨가되며, 특히 최근에는 저열량 다이어트 식품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수요가 증가하면서 음료, 과자류 등 다양한 식품에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22). 우리나라에서 식품첨가물로 허용된 인공감미료는 아스파탐, 아세설팜 칼륨, 삭카린나트륨, 수크랄로스, 자일리톨 등이 있으며 현행 식품첨가물 공전에서 사용 대상 식품과 건강기능식품의 사용량을 규제하고 있다23,24).
건강기능식품에 함유되어 있는 당류는 어떤 역할을 하는가? 건강기능식품에 함유되어 있는 당류는 자연적으로 존재하거나 가공과정에서 첨가되며6,7), 이는 풍미를 좋게 하고 저장기간을 연장시킬 뿐만 아니라 체내에서 중요한 에너지원으로 작용한다. 당류 함량은 일반적으로 총 당류(total sugar)를 뜻하며 식품에 존재하는 모든 단당류와 이당류의 함량을 합한 값으로, 일반적으로 단당류로는 fructose, glucose, 이당류로는 sucrose, maltose, lactose가 주로 검출된다8,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Korea Health Supplement Association, Dietary Health Supplement Act, Seoul (2012). 

  2. www.mfds.go.kr. Accessed Dec (2016). 

  3. Kim SH, Han JH, Kim WY.: Consumption of Health Functional Foods by Elementary Schoolchildren in Korea. Korean J Nutr., 43, 161-170 (2010). 

  4. 2013 National Health Statistics.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2014). 

  5. American Dietetic association. Position of American Dietetic association: Food Fortification and Dietary supplements. J Am Diet Assoc., 101, 115-125 (2001). 

  6. Mettews R, Pehrsson P, Fahat-Sabet M. Sugar content of selected foods: individual and total sugars. In Home Economics Research Repot No. 48.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USDA), Hyattsville, MD, USA.(1987). 

  7. Havel PJ. Dietary fructose: implications for dysregulation of energy homeostasis and lipid/cardohydrate metabolism. Nutr Rev., 63, 133-157 (2005). 

  8. Oh HS, Park HO.: A study on dietry intakes of elementary school chilren according to school foodservice type in Won-Ju. Korean J Dietary Culture., 15, 338-348 (2000). 

  9. Kim GH.: Investigation of sugar contents in children's foods.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Report, Seoul, Korea. p.7 (2007). 

  10. Ahn BC, Joung H.: Socioeconomic cost of obesity in Korea. Korean J Nutr., 38, 133-157 (2005). 

  11. Choi HM.: 21 Century nutrition. Kyomunsa, Paju, Korea. p. 51 (2006). 

  12. Chung CE.: Association of total sugar intakes and metabolic syndrome from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1-2002. Korean J Nutr, 40, 29-38 (2007). 

  13. Lustig RH, Schmidt LA, Brindis CD. Public health: The toxic truth about sugar. Natur, 482, 27-29 (2012). 

  14. Nakamura J, Hamada Y, Sakakibara F, Hara T, Wakao T, Mori K, Nakashima E, Naruse K, Kamijo M, Koh N, Hotta N.: Phygiological and morphometric analyses of neuropathy in sucrose-fed OLETF rats. Diabetes Res Clin Pract, 51, 9-20 (2001). 

  15. Cho SH, Chung CE, Kim SH, Chung HK.: Establishment of total sugar referance value for Koreans. Korean J Nutr., 40, 3-8 (2007). 

  16. Welsh JA, Sharma A, Cunningham SA, Vos MB.: Consumption of added sugars and indicators of cardiovascular disease risk among US adolescents. Circulation 123, 249-257 (2011). 

  17. WHO. Population nutrient intake goals for preventing dietrelated chronic disease. World Health Organization, Geneva, Swtzerland. pp. 57 (2009). 

  18. USDA. Dietary guidelines for Americans. Appendix 7.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Washington, DC, USA. http://www.cnpp.usda.gov/Publications/DietaryGuidelines/2010/PolicyDoc/Appendices.pdf (accessed Dec 2016). 

  19. Kim YJ, Mun JA, Min HS.: Supplement dose and healthrelated life style of vitamin/mineral supplement user among Korean midle-aged. Korean J Community Nutr., 9, 303-314 (2004). 

  20. Kim SH.: Pattern of vitamin/mineral supplement usage among the midle-aged in Korea. Korean J Nutr., 30, 236-252 (1994). 

  21. Song BC, Kim MK,: Pattern of vitamin/mineral supplement usage by elderly in Korea. Korean J Nutr., 30, 139-146 (1997). 

  22. Kim MY, Cho HY, Park JY, Lee SM, Suh DS, Chung SJ, Kim HS, Kim KO.: Relative sweetness of sucralose in beverage system and sensory properties of calorie beverage containing sucralose.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425-430 (2005). 

  23. KOREAN FOOD COD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5. 

  24. Korean Food Additives Code. MFDS., Seoul, Korea (2016). 

  25. Choi SH, Lee MS, Park EY, Won J, Kim SH, Park SK, Lim HS.: Assessment of estimated daily intake of sweetners in the Korean popul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43, 387-395 (2011). 

  26. Kim MS, Doo OJ, Park YH, Park HW, Keum JY, Kim YC, Chae YZ.: Survey on contents of sugars and sodium in bakery products sild at bakeshops located in seoul area. J. Food Hyg. Saf., 26, 82-88 (2011). 

  27. Kum JY.: A study on contents of sugars and sugar alcohols in processed foods met to children's taste. J. Food Hyg. Saf., 29, 241-247 (2014). 

  28.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2005). 

  29. Kim DG, Lee MY, Kim YS, Choi SJ, Shin JM, Hwang YS, Yun ES, Kim JH, Oh YH, Jung K.: Survey of the current status of beverages sold from vending machines in subway station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nd their sugar content. Analytical science&technology., 29, 249-254 (2016). 

  30. World Health Organization, Global report on diabetes(ISBN 978-92-4-156525-7) (20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