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염 보조 초음파 분무 열분해 공정을 이용한 BaTiO3 나노입자의 합성과 광학적 성질
Synthesis and Optical Property of BaTiO3 Nanoparticles Using a Salt-assisted Ultrasonic Spray Pyrolysis Process 원문보기

한국분말야금학회지 = Journal of Korean Powder Metallurgy Institute, v.24 no.4, 2017년, pp.326 - 331  

황보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신소재공학과) ,  이영인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신소재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ructural formation of inorganic nanoparticles dispersed in polymer matrices is a key technology for producing advanced nanocomposites with a unique combination of optical, electr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Barium titanate ($BaTiO_3$) nanoparticles are attractive for increasing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또한 열분해 온도에 따른 입자의 크기와 결정구조의 변화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고, 특히 합성된 입자의 광학적 성질과 광촉매 특성에 대해서는 보고된 바가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BaTiO3를 합성하기 위한 Ti 전구체로, 상대적으로 저가이고, 물에 대한 용해도가 크며, 수용액 상태에서 안정성이 우수한 불화티탄산(hydrofluotitanic acid,H2TiF6)을 전구체로 선택하여 BaTiO3 나노입자의 합성을 시도하였다. 또한 온도에 따른 입자의 크기와 결정구조의변화, 합성된 나노입자의 광학적 성질 및 광촉매 특성을 체계적으로 고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BaTiO3 나노입자는 무엇을 이용해 합성되는가? 일반적으로 BaTiO3 나노입자는 졸-겔법(sol-gel method),수열 합성법(hydrothermal method) 또는 용매열 합성법(solvothermal method)과 같은 습식 기반 공정을 이용해 합성된다[9-11]. 하지만 이와 같은 용액 기반의 합성 공정은 고가의 티타늄 알콕사이드(alkoxide) 또는 환경오염원인 유기용매(organic solvent)를 사용해야 하고, 결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열처리 공정이 요구되는 단점이 있다.
티탄산 바륨의 장점은? 61로 높은 굴절률을 나타내지만 TiO2의 우수한 광촉매 특성으로 인해 UV 경화 공정 및 사용 환경에서 고분자 기지의 광분해를 유발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3-5]. 티탄산 바륨(BaTiO3)는 결정 구조에 따라 굴절률이 상이하기는 하나,TiO2와 유사한 수준의 굴절률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고있으며, TiO2와 비교하여 광촉매 효율이 현저하게 낮고, 특히 유전율이 매우 높기 때문에 터치 패널, 전자 종이 등과같은 디스플레이 소자에서 요구하는 전기적 특성을 만족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6-8].
BaTiO3 나노입자의 용액 기반 합성 공정의 단점은? 일반적으로 BaTiO3 나노입자는 졸-겔법(sol-gel method),수열 합성법(hydrothermal method) 또는 용매열 합성법(solvothermal method)과 같은 습식 기반 공정을 이용해 합성된다[9-11]. 하지만 이와 같은 용액 기반의 합성 공정은 고가의 티타늄 알콕사이드(alkoxide) 또는 환경오염원인 유기용매(organic solvent)를 사용해야 하고, 결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열처리 공정이 요구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분말의 크기 및 형상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전구체 농도를 낮은 수준으로 유지해야 하고, 제조 가능한 분말의 양이 반응기의 크기에 의존하는 배치(batch)형 공정이기 때문에, 연속생산 및 대량생산에 한계를 가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J. G. Liu and M. Ued: J. Mater. Chem., 19 (2009) 8907. 

  2. P. Tao, Y. Li, A. Rungta, A. Viswanath, J. Gao, B. C. Benicewicz, R. W. Siegel and L. S. Schadler: J. Mater. Chem., 21 (2011) 18623. 

  3. C. Liu, T. J. Hajagos, D. Chen, Y. Chen, D. Kishpaugh and Q. Pei: ACS Appl. Mater. Interfaces, 8 (2016) 4795. 

  4. T. Higashihara and M. Ueda: Macromolecules, 48 (2015) 1915. 

  5. S. Maeda, M. Fujita, N. Idota, K. Matsukawa and Y. Sugahara: ACS Appl. Mater. Interfaces, 8 (2016) 34762. 

  6. J. Lott, C. Xia, L. Kosnosky, C. Weder and J. Shan: Adv. Mater., 20 (2008) 3649. 

  7. K. Abe, D. Nagao, A. Watanabe and M. Konno: Polym. Int., 62 (2013) 141. 

  8. G. S. Liou, P. H. Lin, H. J. Yen, Y. Y. Yu and W. C. Chen: Polym. Int., 48 (2010) 1433. 

  9. M. Niederberger, N. Pinna, J. Polleux and M. Antonietti: Angew. Chem., 116 (2004) 2320. 

  10. M. L. Moreira, G. P. Mambrini, D. P. Volanti, E. R. Leite, M. O. Orlandi, P. S. Pizani, V. R. Mastelaro, C. O. Paiva- Santos, E. Longo and J. A. Varela: Chem. Mater., 20 (2008) 5381. 

  11. S. I. Ohara, A. Kondo, H. Shimoda, K. Sato, H. Abe and M. Naito: Mater. Lett., 62 (2008) 2957. 

  12. J. W. Overcash and K. S. Suslick: Chem. Mater., 27 (2015) 3564. 

  13. J. H. Bang and K. S. Suslick: Adv. Mater., 22 (2010) 1039. 

  14. K. K. Lee, Y. C. Kang, K. Y. Jung and J. H. Kim: J. Alloys. Compd., 395 (2005) 280. 

  15. Y. Itoh, I. W. Lenggoro, K. Okuyama, L. Madler and S. E. Pratsinis: J. Nanopart. Res., 5 (2003) 191. 

  16. H. Yoneyama, Y. Toyoguchi and H. Tamura: J. Phys. Chem., 76 (1972) 3460. 

  17. S. Saha, T. P. Sinha and A. Mookerjee: Phys. Rev. B, 62 (2000) 882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