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염 보조 초음파 분무 열분해 공정으로 합성된 TiO2 나노입자의 특성에 열분해 온도가 미치는 영향
Effect of Pyrolysis temperature on TiO2 Nanoparticles Synthesized by a Salt-assisted Ultrasonic Spray Pyrolysis Process 원문보기

한국분말야금학회지 = Journal of Korean Powder Metallurgy Institute, v.26 no.3, 2019년, pp.237 - 242  

유재현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신소재공학과) ,  지명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신소재공학과) ,  박우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신소재공학과) ,  이영인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신소재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ultrasonic spray pyrolysis combined with salt-assisted decomposition, a process that adds sodium nitrate ($NaNO_3$) into a titanium precursor solution, is used to synthesize nanosized titanium dioxide ($TiO_2$) particles. The added $NaNO_3$ prevents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USP 및 SA-USP 공정은 입자를 형성하기 위한 반응이 초음파에 의해 형성된 각각의 미세 액적 내에서만 한정되어 진행되며, 이 때 반응이 진행되는 온도는 미세 액적 내의 핵생성과 결정성장 그리고 결정화 수준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써, 온도 변화에 의해 합성되는 분말의 크기와 결정화도는 크게 변화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NaNO3를 희생물질로 활용한 SA-USP 공정을 이용하여 TiO2 나노입자의 합성을 시도하였고, 이 과정에서 열분해 온도가 TiO2 나노입자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더 나아가 제조된 나노입자의 광촉매 특성을 분석하여 공정 변수에 따른 재료의 구조 및 특성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SA-USP 공정 변수 중에 열분해 온도가 합성되는 나노입자의 크기와 결정학적 특성 및 광학적 성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고찰하였다. 질화나트륨(NaNO3)을 희생물질로 도입하는 SA-USP를 이용하고, 열분해 온도를 450oC에서 800oC로 변화시켜 TiO2 나노입자를 성공적으로 합성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TiO2 나노입자란? 이산화티타늄(titanium dioxide, titania, TiO2)의 저가격, 내부식성, 비독성 및 물리, 화학 안정성에, 나노입자가 갖는 큰 비표면적(specific surface area)이라는 장점이 더해진 TiO2 나노입자는 고도산화처리(advanced oxidation process)용 광촉매(photocatalyst)로써 가장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소재이다[1-3]. 최근 대기와 수질 오염이 큰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가운데, TiO2 나노입자는 공기 정화와 수질 개선을 위한 핵심 소재로 그 중요성이 더해지고 있다.
TiO2 나노입자를 합성하는 대표적인 방법론은? 졸-겔법(sol-gel method)과 수열(hydrothermal) 또는 용매열(solvothermal) 합성법은 TiO2 나노입자를 합성하기 위해 널리 활용되는 방법론이다[6-8]. 하지만 sol-gel법의 경우, 결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고온의 열처리가 요구되어 미세한 입자를 구현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초음파 분무 열분해법의 문제점과 개선된 방법은? 초음파 분무 열분해법(ultrasonic spray pyrolysis, USP)은 전술한 화염 분무 열분해법과 달리, 초음파에 의해 형성된 액적을 관상 로(tube furnace) 내부로 이송하여 열분해하는 방식이며, 제어된 온도 및 분위기에서 분말을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이다. 하지만 초음파에 의해 생성된 액적의 크기가 수 백 나노미터에서 수 십 마이크로미터 수준이기 때문에, 열분해에 의해 생성된 입자도 수십 나노미터 수준의 1차 입자가 강하게 응집된 조대한 2차 입자의 형태를 갖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9-11]. 최근 이러한 USP의 한계를 질화나트륨(NaNO3)을 희생물질로 도입하는 염 보조 초음파 분무 열분해 공정(salt-assisted ultrasonic spray pyrolysis, SA-USP)을 통해 극복하고 약 10 nm 수준의 TiO2 나노입자를 성공적으로 합성하고, 티타늄 전구체에 대한 NaNO3의 비율이 입자의 크기와 형상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한 연구가 보고된 바 있다[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10.1021/cr5001892 J. Schneider, M. Matsuoka, M. Takeuchi, J. Zhang, Y. Horiuchi, M. Anpo and D. W. Bahnemann: Chem. Rev., 114 (2014) 9919. 

  2. 10.1021/cr500422r X. Chen and A. Selloni: Chem. Rev., 114 (2014) 9281. 

  3. 10.1016/j.jphotochemrev.2012.06.001 K. Nakata and A. Fujishima: Photochemistry Rev., 13 (2012) 169. 

  4. 10.1039/C4RA13734E S. Dong, J. Feng, M. Fan, Y. Pi, L. Hu X. Han, M. Liu, J. Sun and J. Sun: Rsc Adv., 5 (2015) 14610. 

  5. 10.1166/jnn.2014.9445 Y.-I. Lee, J.-S. Lee, E.-S. Park, D.-H. Jang, J.-E. Lee, K. Kim, N. V. Myung and Y.-H. Choa: J. Nanosci. Nanotechnol., 14 (2014) 8005. 

  6. 10.1021/ja4100723 W. Li, F. Wang, S. Feng, J. Wang, Z. Sun, B. Li, Y. Li, J. Yang, A. A. Elzatahry, Y. Xia and D. Zhao: J. Am. Chem. Soc., 135 (2013) 18300. 

  7. 10.1016/j.molcata.2012.06.013 R. Thapa, S. Maiti, T. H. Rana, U. N. Maiti and K. K. Chattopadhyay: J. Mol. Catal. A: Chem., 363-364 (2012) 223. 

  8. 10.1021/la100121n Q. Qu, H. Geng, R. Peng, Q. Cui, X. Gu, F. Li and M. Wang: Langmuir, 26 (2010) 9539. 

  9. 10.1016/j.ceramint.2016.11.177 Z. Cheng, P. Foroughi and A. Behrens: Ceram. Int., 43 (2017) 3431. 

  10. 10.1111/j.1151-2916.1993.tb04007.x G. L. Messing, S. C. Zhang and G. V. Jayanthi: J. Am. Ceram. Soc., 76 (1993) 2707. 

  11. 10.1021/ie070821d W. N. Wang, A. Purwanto, I. W. Lenggoro, K. Okuyama, H. Chang and H. D. Gang: Ind. Eng. Chem. Res., 47 (2008) 1650. 

  12. 10.4150/KPMI.2019.26.1.34 M.-J. Ji, W.-Y. Park, J.-H. Yoo and Y.-I. Lee: J. Korean Powder Metall. Inst., 26 (2019) 34. 

  13. 10.1021/cm900225p D. Lin, H. Wu, R. Zhang and W. Pan: Chem. Mater., 21 (2009) 3479. 

  14. 10.1016/j.apcatb.2006.07.018 H. Lin, C. P. Huang, W. Li, C. Ni, S. I. Shah and Y. H. Tseng: Appl. Catal. B, 68 (2006) 1. 

  15. 10.1021/jp204364a S. G. Kumar and L. G. Devi: J. Phys. Chem. A, 115 (2011) 132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