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타인평정 공감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The Development and Validity of the Empathy Rating Scale by a Third Party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7 no.8, 2017년, pp.435 - 453  

김성지 (가톨릭대학교 심리학과) ,  조성호 (가톨릭대학교 심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타인평정 공감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 예비연구를 통해 개발된 15개의 예비 문항은 연구 1의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공감의 시작', '공감의 과정', '공감의 결과'라는 세 개의 하위요인으로 유목화되었다. 연구 2에서는 척도의 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분석판별분석이 시행되었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3요인 모형에 양호한 적합도를 나타내었고, 상관분석을 통해 진정성, 정서 명확성, 친밀감과는 정적 상관이, 불안 및 거부 애착과는 부적 상관이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수렴 타당도가 검증되었다. 따라서 개발된 타인평정 공감 척도는 11개의 최종 문항과 세 개의 하위요인으로 구성된 척도로 보는 것이 타당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본 척도가 갖는 의의와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의 방향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Empathy Rating Scale by a third party and examine the validity of the scal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ilot study, the study 1 focused on developing Empathy Rating Scale by a third party. From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n a total of 15 preliminar...

주제어

표/그림 (10)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타인과 공존하기 위해서 무엇이 필수적인가? 공감(共感)이란 타인의 정서적 상태와 경험을 이해하고 그것에 정서적으로 반응하는 과정으로 정의된다[1-3]. 타인과 공존하기 위해서는 상대방의 욕구와 의도를 정확히 파악하는 동시에 그가 처한 상황을 느끼는 정서적 감응 능력이 필수적이다. 조성호[4]는 인간 사회에서 공감이 결여된다면 무한 경쟁이 심화하여 인간에게 고립과 소외가 초래되고, 이러한 상황은 인간의 삶과 생존을 위협할 수 있다고 하였다.
내담자의 보고와 상담자 추측의 일치 정도를 확인하는 방법인 공감 정확도 측정이 지니고 있는 문제점은? 이와 같은 자기보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Ickes[18]는 내담자의 보고와 상담자 추측의 일치 정도를 확인하는 방법인 공감 정확도 측정을 개발하였다. 그러나 인지적 일치성만을 다루고 있어 실제 공감을 측정해 내지 못한다는 문제를 안고 있다. 한편, 제시된 사진 장면을 통해 공감을 측정하는 방식인 다면적 공감 검사(Multifaceted Empathy Test: MET)[19]와, 국내에서 개발된 정서인식력 검사[20]는 실제 공감장면을 조성하여 평가하지 못하고 있고, 이 또한 공감의 인지적 측면을 주로 확인한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공감이란 무엇인가? 공감(共感)이란 타인의 정서적 상태와 경험을 이해하고 그것에 정서적으로 반응하는 과정으로 정의된다[1-3]. 타인과 공존하기 위해서는 상대방의 욕구와 의도를 정확히 파악하는 동시에 그가 처한 상황을 느끼는 정서적 감응 능력이 필수적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0)

  1. J. Decety and J. Grezes, "The power of simulation: imagining one's own and other's behavior," Brain research, Vol.1079, No.1, pp.4-14, 2006. 

  2. N. Eisenberg, "Emotion, regulation, and moral development," Annual review of psychology, Vol.51, No.1, pp.665-697, 2000a. 

  3. T. Singer, "The social neuroscience of empathy," Annals of the New York Academy of Sciences, Vol.1156, pp.81-96, 2009. 

  4. 조성호, "공감의 이해," 가톨릭대학교 학생생활상 담소 학생생활상담, 제22권, pp.5-31, 2004. 

  5. S. D. Preston and F. B. M. De Waal, "Empathy: Its ultimate and proximate bases," Behavioral and Brain Sciences, Vol.25, No.1, pp.1-20, 2002. 

  6. M. Pines and M. Marrone, "Sensitive responsiveness," Marrone(eds.) Attachment theory and the Psychoanalytic process, Whurr Publishers, 2003. 

  7. P. Fonagy, M. Steele, H. Steele, T. Leigh, R. Kennedy, G. Mattoon, and M. Target, Attachment theory, NY. Analytic Press, 1995. 

  8. C. R. Rogers, "The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s of therapeutic personality change,"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2, pp.95-103, 1957. 

  9. A. F. Carlozzi, K. S. Bull, G. T. Eells, and J. D. Hurlburt, "Empathy as Related to Creativity, Dogmatism, and Expressiveness," The journal of psychology: Interdisciplinary and applied, Vol.129, No.4, pp.365-373, 1995. 

  10. S. A. Peabody and C. J. Gelso, "Countertransference and empathy: the complex relationship between two divergent concepts in counseling,"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29, No.3, pp.240-245, 1982. 

  11. N. Eisenberg and R. Lennon, "Sex differencess in empathy and related capacities," Psychological Bulletin, Vol.94, pp.100-131, 1983. 

  12. 김은하, "상담학에서 공감 연구에 대한 고찰: 국내 주요 상담학술지를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제14권, 제5호, pp.2851-2867, 2013. 

  13. M. L. Hoffman, Empathy and moral development: implications for caring and justi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14. S. D. Hodges and D. M. Wegner, Empathy accuracy, New York, US: Guilford Press, 1997. 

  15. M. H. Davis, "A multidimensional approach to individual differences in empathy," JSAS Catalog of Selected Documents in Psychology, Vol.10, p.85, 1980. 

  16. S. Baron-Cohen and S. Wheelwright, "The empathy Quotient: An investigation of adults with Asperger syndrome of high-functioning autism, and nomal sex differences," Journal of Autism and Developmental Disorder, Vol.34, pp.164-175, 2004. 

  17. G. T. Barrett-Lennard, Dimensions of perceived therapist response related to therapeutic change, Doctoral disseration, University of Chicago, 1959. 

  18. W. Ickes, Everyday mind reading: Understanding what other people think and feel, Prometheus Books, 2003. 

  19. I. Dziobek, K. Rogers, S. Fleck, M. Bahnemann, H. R. Heekeren, O. T. Wolf, and A. Convit, "Dissociation of cognitive and emotional empathy in adults with Asperger syndrome using the Multifaceted Empathy Test (MET)," Journal of Autism and Developmental Disorders, Vol.38, No.3, pp.464-473, 2008. 

  20. 이수정, "문제해결과제를 이용한 정서인식능력검사의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제15권, 제3호, pp.65-86, 2001. 

  21. R. Elliott, H. Filiporvich, L. Harrigan, J. Gaynor, C. Reimschuessel, and J. K. Zapadka, "Measuring response empathy : The development of multicomponent rating scale," Journal of Counselling Psychology, Vol.129, pp.379-387, 1982. 

  22. L. S. Greenberg and R. Elliott, Empathy reconsidered: New directions in psychotherapy,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997. 

  23. R. Elliott, A. Bohart, J. Watson, and L. S. Greenberg, "Empathy," Psychotherapy, Vol.48, No.1, pp.43-49, 2011. 

  24. E. Blake and T. Gannon, "Social perception deficits, cognitive distortions, and empathy deficits in sex offenders: A brief review," Trauma, Violence, & Abuse, Vol.9, pp.34-55, 2008. 

  25. W. D. Pithers, "Empathy: Definition, enhancement, and relevance to the treatment of sexual abusers," Journal of Interpersonal Violence, Vol.14, pp.257-284, 1999. 

  26. M. H. Davis, "Measuring individual differences in empathy: Evidence for a multidimensional approach," Journal of Personalty and Social Psychology, Vol.44, pp.113-126, 1983a. 

  27. C. A. Williams, "Biopsychosocial elements of empathy: A multidimensional model," Issues in Mental Health Nursing, Vol.11, pp.155-174, 1990. 

  28. N. D. Feshbach, "Empathy in children: Some theoretical and empirical considerations," Counseling Psychologist, Vol.5, pp.25-30, 1975. 

  29. M. L. Hoffman, "Developmental synthesis of affect and cognition and its implications for altruistic motivation," Developmental Psychology, Vol.11, pp.607-622, 1975. 

  30. M. H. Davis, Empathy: A Social Psychological Approach, Boulder,CO: Westview Press, 1996. 

  31. G. T. Barrett-Lennard, "The empathy scale M : Refinement of a nuclear concept,"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28, pp.91-100, 1981. 

  32. G. H. Mead, Mind, Self and Society, Chicago University Press, 1934. 

  33. J. H. Flavell, P. I. Botkin, C. L. Fry, J. W. Wright, and P. E. Jarvis, The development of role taking and communication skills in children, New York: Wiley, 1968. 

  34. N. D. Feshbach, Progress in experimental personality research(Vol.8) New York : Academic Press, 1978. 

  35. J. Piaget, The moral judgement cf the child, London, Kagan Paul Trench, 1932. 

  36. R. J. R. Blair, "Responding to the emotions of others: Dissociating forms of empathy through the study of typical and psychiatric populations," Consciousness and Cognition, Vol.14, No.4, pp.698-718, 2005. 

  37. A. Smith, "Cognitive empathy and emotional empathy in human behavior and evolution," Psychological Record, Vol.56, No.1, pp.3-21, 2006. 

  38. M. A. Barnett, J. A. Howard, L. M. King, and G. A. Dino, "Helping behavior and the transfer of empathy," The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Vol.115, No.1, pp.125-132, 1981. 

  39. T. Lipps, "Das Wissen von Fremden Ichen," Psychologischen Untersuchungen, Vol.1, pp.694-722, 1907. 

  40. M. L. Hoffman, Moral development and behavior Theory, research and social issues, New York : Holt, Rinehart, & Winston, 1976. 

  41. R. L. Reniers, R. Corcoran, R. Drake, N. M. Snryane and B. A. Vollm, "The QCAE: A questionnaire of cognitive and affective empathy,"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Vol.93, No.1, pp.84-95, 2011. 

  42. A. P. Goldstein and C. J. Michaels, Empathy : Development, training, and consequences, Hillsdale, NJ : Erlbaum, 1985. 

  43. C. B. Truax and R. R. Carkhuff, Toward effective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Chicago: Aldine publishing company, 1967. 

  44. C. R. Rogers, "Empathic: An unappreciated way of being," The Counseling Psychologist, Vol.5, pp.2-10, 1975. 

  45. R. F. Hasse and D. T. Tepper, "Nonverbal components of empathic communication,"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19, pp.417-424, 1972. 

  46. S. Baron-Cohen, "The extreme-male brain theory of autism," Trends in Cognitive Sciences, Vol.6, pp.248-254, 2002. 

  47. A. B. Bakker, H. J. Sixma, and W. Bosveld, "Burnout contagion among general practitioners,"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Vol.20, No.1, pp.82-98, 2001. 

  48. A. Mehrabian and N. Epstein, "A measurement of emotional empathy," Journal of Personality, Vol.40, pp.525-543, 1972. 

  49. J. L. Herman, P. R. Aschbachcr, and L. Winters, A Practical guide to alternative assessment. Alexandria, VA: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ium Development, 1992. 

  50. 박진희, 가족기능평가를 위한 임상평정척도 개발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51. J. L. Fleiss, The design and analysis of clinical experiments, New York, NY: John Willy & Sons Inc, 1986. 

  52. 탁진국, 심리검사: 개발과 평가방법의 이해, 서울: 학지사, 1996. 

  53. 송보라, 이기학, "한국형 진로신념척도(K-CBI) 개발과 타당화 연구," 진로교육연구, 제23권, 제2호, pp.1-22, 2010. 

  54. A. Anastasi, Psychological Testing, New York: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1988. 

  55. 김계수,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서울: 한나래 아카데미, 2010. 

  56. 홍세희, "특별기고: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제19권, 제1호, pp.161-177, 2000. 

  57. 홍정순, 진정성 척도개발 및 상담자의 진정성과 작업동맹간의 관계모형 검증, 가톨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58. R. J. Sternberg, "A triangular theory of love," Psychological Review, Vol.93, No.2, pp.119-135, 1986. 

  59. C. D. Batson, "How social an animal?: The human capacity for caring," American Psychologist, Vol.45, pp.336-346, 1990. 

  60. 권석만, 젊은이를 위한 인간관계의 심리학, 서울: 학지사, 1997. 

  61. 최지영, 성인기 미혼남녀의 자아분화, 자기개방이 이성간 친밀감에 미치는 영향, 상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62. P. Salovey, J. D. Mayer, S. L. Goleman, C. Turney, and P. Palfai, Emotion, Disclosure, and Health, Wasington, DC.: APA, 1995. 

  63. 이수정, 이훈구, "Trait Meta-Mood Scale의 타당화에 관한 연구: 정서지능의 하위요인에 대한 탐색,"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제11권, 제1호, pp.95-116, 1997. 

  64. P. Salovey and J. D. Mayer, "Emotional intelligence," Imagination, Cognition, and Personality, Vol.9, pp.185-211, 1990. 

  65. 장정주, "정서자각과 정서표현이 정서조절과 공감에 미치는 영향," 정서.행동장애연구, 제28권, 제1호, pp.147-170, 2012. 

  66. C. Hazan and P. Shaver, "Romantic love conceptualized as an attachment proc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ersonality, Vol.52, No.3, pp.511-524, 1987. 

  67. K. Bartholomew and L. M. Horowits, "Attachment styles among young adult: A test of a four category model,"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61, pp.226-224, 1991. 

  68. N. L. Collins and S. J. Read, "Adult attachment, working models and relationship quality in dating coupl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8, pp.644-633, 1990. 

  69. D. Griffin and K. Bartholomew, "Models of the self and Other: Fundamental Dimens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67, No.3, pp.430-445, 1994. 

  70. 장휘숙, "성인애착의 3범주 모델과 4범주 모델의 비교,"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제10권, 제2호, pp.123-138, 1997.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