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Social Adapt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원문보기

韓國保健看護學會誌 =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31 no.2, 2017년, pp.341 - 351  

이인희 (메가병원 간호부) ,  최희정 (가야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social adjustment of North Korean defectors. The participants were 156 North Korean defectors over 20 years old residing in G and C cites.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1 to October 31, 2014, and analyzed usin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북한이탈자의 일반적 특성과 함께 우울, 불안, 자아존중감, 희망이 사회적응에 어느 정도 영향력이 있는지 확인하고, 지역사회와 나아가 우리사회의 한 구성원으로서 사회적응을 돕는 간호중재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하였다.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아존중감, 불안, 우울, 희망, 비정규직이 아닐수록, 건강, 직업 없음 순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는 북한이탈주민이 국내에 정착할 때, 사회적응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고찰함으로써 이들이 우리사회의 한 구성원으로서 생활할 수 있도록 사회적응을 돕는 간호중재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응을 돕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의 자료수집기간은 2014년 8월 1일에서 10월 31일까지었다. 설문지는 본 연구자가 경남지역의 G시와 C시의 북한이탈주민 관할경찰서와 북한이탈주민자치협의회를 방문하여 기관장에게 연구의 목적을 설명하고 승인을 받았다. 기관장의 도움을 받아 북학이탈주민 모임에 연구자가 직접 방문하여 연구의 취지를 설명하여 동의한 자를 연구 대상자에 포함 시켰다.

가설 설정

  • 첫째, 북한이탈자들의 높은 자아존중감과 희망은 긍정적인 정서로서 사회적응에 좋은 영향을 미친다. 그러므로 입국 후 하나원에서의 첫 12주 동안만이 아니라 지속적인 사회적 지지체계가 마련되어야 하며, 또한 북한이탈자들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과 태도는 이들의 사회적응에 어려움을 줄 수 있으므로 북한이탈자들을 우리사회의 한 구성원의 받아들이도록 하는 인식전환 교육이 필요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탈북의 이유는 무엇인가? 지금까지 북한을 탈북하여 우리나라에 입국한 인원이 약 2만 9천여명 정도(Ministry of Unification, 2016)이고, 한국에 입국하기 위해 제 3국, 주로 중국이나 태국 등의 아시아 국가권에 머물고 있는 북한이탈자 수도 많다고 한다(Rho & Won, 2009). 이들이 한국으로 탈북하는 이유는 외부사회에 대한 정보획득과 이에 따른 가치관 변화 때문이다. 그리고 심각한 식량난과 경기침체로 인한 미래에 대한 희망감 상실 등이 주원인이다(Rho & Won, 2009).
북한이탈자가 입국했을 때 먼저 머무는 곳은 어디인가? 북한이탈자들의 수가 증가되면서 우리사회도 정착지원을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가고 있으나 이들의 생활 상태는 우리나라 일반국민 평균 생활수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Ministry of Unification, 2016). 북한이탈자가 우리나라에 입국하면 먼저 12주 동안 하나원에 머문다. 이곳은 사회적응을 돕는 시설로써, 탈북자들의 정서안정과 문화적 이질감을 해소하도록 하며, 사회적 자립 동기 등에 대한 사회적응 교육을 한다(Song & Kim, 2015).
한국사회부적응 현상의 심리적 원인은 무엇이 있는가? 그러나 하나원에서 도움을 받는다 하더라도 여전히 한국사회부적응 현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Rho & Won, 2009). 그 심리적 원인으로는 문화적 차이에서 오는 충격과 정체성 혼란, 한국 사회에서 지각하는 차별감, 자신의 탈북으로 인해 북한에 있는 가족, 친지가 받게 될 처벌로 인한 죄책감, 좌절감, 우울, 불안 등이 있다(Rho & Won, 2009). 또한 사회적 관계망 부족, 언어문제로 겪는 곤란, 대인관계, 북한보다 낮은 사회적 지위, 취업의 어려움 등으로 낮은 자아존중감, 불안감을 많이 경험하고 있으며(Lee & Bae, 2006), 이것으로 인해 우울한 정서상태가 유지되면서 한국 사람들과 공동체를 형성하는 것에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Lee, 200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Beck, A. T., Ward, C. H., Mendelson, M., Mock, J., & Erbaugh, J. (1961). An inventory for measuring depression.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127(4), 561-571. 

  2. Chin, M. J., & Lee, S. H. (2006). Social-cultural adjustment of North Korean defectors by self-esteem and internal attribution.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4(7), 141-152. 

  3. Chin, M. J., & Lee, S. H. (2007). The family characteristics affecting the socio-cultural adjustment of North Korean defectors.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5(5), 63-74. 

  4. Cho, Y. A., Jeun, W. T., Yu, J. J., & Um, J. S. (2005). Predictors of depression among North Korean defectors: A 3-year follow-up study.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17(2), 467-484. 

  5. Han, I. Y. (2001). Depression traits of North Korean defectors. Mental Health & Social Work, 11(6), 78-94. 

  6. Ha, Y. S. (2009). A study on the support policy and adaptation of North Korean refugees. Korean Political Science Society, 17(1), 125-141. 

  7. Herth, K. (1992). Abbreviates instrument to measure hope: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evaluation. Journal of Advance Nursing, 14, 743-753. 

  8. Jang, H. K., & Kim, Y. R. (2001). Family stability and social adjustment and the role of women by family of North Korean defectors. Women's Studies Forum, 60(17), 175-199. 

  9. Jang, K. Y. (2009).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self-esteem of North Korea defectors on their social adjustment in South Korea. Journal of Social Welfare Development, 15(2), 165-195. 

  10. Jeon, B. G. (1974). Self-esteem: A test of its measurability. Yonsei Journal, 11(1), 107-130. 

  11. Jin, E. Y., Kang, M. J., & Eom, T. W. (2013). A study on adaptation in South Korea society of adolescents moved from North Korea : The rebirth toward hope from helplessness. Youth Culture Forum, 34, 121-152. 

  12. Kang, C. G. (2010). North Korean refugee supporting policy based on barrier factor analysis. The Korean Journal of Unification Affairs, 53, 261-290. 

  13. Kim, B. C. (2010). North Korean Defectors panel study (Economic adaptation.mental health.physical health). Seoul: North Korean Refugees Foundation. 

  14. Kang, Y. S., Ha, Y. M., & Eun, Y. (2012). Health status and health-promoting lifestyle profile II of North Korean immigra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3(3), 231-243. 

  15. Kim, J. T., & Shin, D. G. (1978). A study based on the standardization of the STAI for Korea. The New Medical Journal, 21(11), 69-75. 

  16. Kim, M. J., & Cho, H. I. (2015). A meta-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hope and adjustment related variables.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29(2), 331-360. http://dx.doi.org/10.17286/KJEP.2015.29.2.08 

  17. Kim, Y. H., Jeon, W. T., & Cho, Y. A. (2010). A study on to prevalence and the influencing factors of the mental health problems among recent migrant North Koreans: A focus on 2007 entrants. Journa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s, 19(2), 141-174. 

  18. Lee, K. Y., & Bae, S. W. (2006). Identifying factors affecting the settlement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South Korea.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s, 15(2), 1-28. 

  19. Lee, S. M. (2015). The effect of variables an the North Korean refugees’ quality of life. Journal of Diaspora Studies, 9(1), 155-187. 

  20. Lee, Y. G., & Song, J. G. (1991). A study of the reliability and the validity of the BDI, SDS, abd MMPI-D scales.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0(1), 98-113. 

  21. Ministry of Unification. (2016). North Korean refugees residential settlement support manual 2016. Retrieved November 25, 2016, from: http://www.unikorea.go.kr/content.do?cmsid1566&modeview&cid46899 

  22. Park, S. S. (2006). A study on the life stress, self-esteem and depression status of saeteomins in Gwangju city and jeonnam provi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Jeonnam. 

  23. Rho, I. S., & Won, J. S. (2009). The relations of depression, anxiety, post-traumatic stress, self-esteem and social adjustment among North Korean refuge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8(1), 69-77. 

  24. Rogenberg, M. (1965). Society and adolescent self-image. New Jersey: Princeton University Press. 

  25. Spielberger, C. D., Gorsuch, R. L., & Lushene, R. E. (1970). STAI: Manual for the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California: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26. Song, U. S., & Kim, M. S. (2015).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s for North Korean refuges in relation to their adjustment in the South Korean society: Focusing the mediating effect of their self-efficacy. The Journal of Pubic Policy & Governance, 9(1), 54-90. 

  27. Tae, Y. S., & Kim, M. Y. (2009). Influencing factors on hope among patients with breast cancer. Journal Korean Oncology Nursing, 9(2), 86-94. 

  28. Yoon, I. J. & Kim, S. (2005). Health and medical care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South Korea. Health and Social Science, 17, 149-182. 

  29. Youn, S. J. (2004). The effects of forgiveness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on forgiveness and mental health in patients with advanced women cancer.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sin University, Bus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