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유아기 자녀를 둔 북한이탈여성의 자녀양육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Child-rearing Experience of North Korean Female Defectors with Young Children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3 no.1, 2017년, pp.85 - 106  

이주연 (전남대학교 생활복지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learn from Korean female defectors about their views of child-rearing experiences in South Korea. This study explored how 7 North Korean female defectors with young children developed child-rearing microideologies that acknowledge both North Korean cultura...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통일부에서 어떤 지원을 늘리고 있는가? 성별에 따른 이러한 차이는 2002년 이후 여성의 비율이 높아지면서부터 나타나 2016년 현재까지 그 차이가 더욱 커지고 있다. 북한이탈주민 중 여성의 비율이 높아짐에 따라 통일부에서는 2012년에 북한이탈주민정착지원사무소(제2하나원) 시설을 늘려 여성특화교육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등 북한이탈여성을 위한 정책적 지원을 늘리고 있다. 학계에서도 북한이탈여성에 대한 연구가 2000년에는 한두 편에 지나지 않았으나 그 이후부터 점차적으로 증가하여 2010년에는 10편 이상으로 조사되는 것 또한 이러한 북한이탈주민의 현황을 반영한다(이영선, 구혜완, 한인영, 2011).
북한 이탈주민 중 20~30대가 차지하는 비율이 높다는 것은 한국에 정착하는 과정에서 가족 형성기를 경험하는 비율이 높아지는데 이는 어떤 가능성을 시사하는가? 이처럼 북한이탈주민 중 20~30대가 차지하는 비율이 높다는 것은 북한이탈주민들이 한국에 정착하는 과정에서 가족형성기를 경험하는 비율이 높아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자녀와의 동반입국에 따른 북한이탈 아동의 증가와 더불어 북한이탈주민이 한국에서 출산하는 자녀의 수가 점차적으로 증가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이는 북한이탈여성은 물론 그들 자녀에 대한 관심을 확대할 필요성이 있음을 보여준다.
2016년 9월 현재 북한이탈주민 입국자 수는? 북한이탈주민의 수는 2000년 이후 연간 1,000명 이상씩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2016년 9월 현재 북한이탈주민 입국자 수는 29,830명으로 3만명에 육박한다. 그 중 여성이 21,114명, 남성은 8,716명으로 여성의 비율이 전체 북한이탈주민의 약 80%를 차지한다(통일부, 201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강차연 (2005). 재중 북한이탈여성들의 스트레스 대처방식.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0(1), 61-80. 

  2. 권정윤, 조혜영, 김미경 (2013). 북한이탈주민 어머니의 심리적 특성 및 양육 특성이 자녀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7(4), 275-296. 

  3. 김성남, 양옥경 (2015). 북한이탈주민 어머니들의 자녀양육과 교육의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사회복지 실천과 연구, 12(1), 5-38. 

  4. 김영수 (2000). 북한 이탈주민의 가족문제. 사회과학연구, 9, 102-117. 

  5. 김영하 (2010). 다문화사회와 새터민 청소년의 교육문제. 윤리교육연구, 21, 223-247. 

  6. 김재엽, 류원정, 김지민 (2014). 탈북여성의 생활사건스트레스와 우울에 관한 연구: 외상경험의 조절효과. 한국가족복지학, 46, 85-107. 

  7. 박현정, 김윤수, 박호란 (2011). 근거이론을 이용한 새터민 어머니의 양육경험의 변화과정. 아동간호학회지, 17(1), 48-57. 

  8. 이금순 (2006). 여성이주자의 사회적응과정 연구: 북한이탈주민 사례를 중심으로. 아시아여성연구, 45(1), 191-234. 

  9. 이기영, 김민경, 백정원 (2014). 중국 출생 자녀를 둔 한국 거주 북한이탈여성의 양육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9(3), 213-240. 

  10. 이기영, 성향숙 (2001). 탈북자 가족 구성원의 가족관계 인식에 관한 조사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47(11), 243-271. 

  11. 이부미 (2005). 남한사회에서의 탈북부모들의 역할적응 과정에 대한 질적 연구. 아동권리연구, 9(4), 691-726. 

  12. 이영선, 구혜완, 한인영 (2011). 학술논문분석을 통해 본 북한이탈주민 여성의 특수성. 통일문제연구, 23(2), 147-184. 

  13. 장정은, 최정숙 (2015). 북한이탈여성의 청소년자녀 양육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사회복지연구, 46(4), 375-419. 

  14. 정진경, 정병호, 양계민 (2004). 탈북청소년의 남한학교 적응. 통일문제연구, 16(2), 209-239. 

  15. 최희, 강현민 (2016). 탈북학부모의 자녀 학교교육참여 실태에 관한 연구. 열린부모교육연구, 8(3), 87-100. 

  16. 통일부 (2016). 북한이탈주민 입국인원 현황. http://www.unikorea.go.kr/content.do?cmsid1440에서 2016년 11월 30일 인출 

  17. 홍나미, 이인정, 김고은, 박근혜, 최여희 (2010). 북한이탈여성의 자녀양육경험에 관한 근거이론접근. 사회복지연구, 41(1), 307-343. 

  18. 홍누리, 김희진 (2013). 영유아기 자녀를 둔 북한이주민가정 어머니와 일반 저소득가정 양육태도와 사회적지지.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0(4), 217-236. 

  19. 홍승아 (2013). 가족 관점에서 본 북한이탈여성의 정착과제: 자녀양육을 중심으로. 통일문제연구, 25(2), 173-205. 

  20. Berry, J. W. (1997). Immigration, acculturation, and adaptation. Applied Psychology, 46(1), 5-68. 

  21. Berry, J. W. (2002). Conceptual approaches to acculturation. In K. M. Chun, P. B. Organista, & G. Marin (Eds.), Acculturation: Advances in theory, measurement, and applied research (pp.15-38).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2. Bigner, J. J., & Gerhardt, C. (2013). Parent-child relations: An introduction to parenting (9th ed.). Upper Saddle River, NJ: Pearson Merrill Prentice Hall. 

  23. Castro, V. S. (2003). Acculturation and psychological adaptation. Westport, CT: Greenwood Press. 

  24. Creswell, J. W. (2012).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Thousand Oaks, CA: Sage. 

  25. Creswell, J. W., & Maietta, R. C. (2002). Qualitative research. In D. C. Miller & N. J. Salkind (Eds.), Handbook of research design and social measurement (6th ed., pp.143-197). Thousand Oaks, CA: Sage. 

  26. Denzin, N. K., & Lincoln, Y. S. (2011).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Thousand Oaks, CA: Sage. 

  27. Fontana, A., & Frey, J. H. (2000). The interview: From structured questions to negotiated text. In N. K. Denzin & Y. S. Lincoln (Eds.),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pp. 645-672). Thousand Oaks, CA: Sage. 

  28. Lee, J. (2004). The social construction of gender in contemporary South Korea: Gender microideologies and gender socialization in the context of societal chang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Madison, USA. 

  29. Lieber, E., Chin, D., Nihira, K., & Mink, I. T. (2001). Holding on and letting go: Identity and acculturation among Chinese immigrants. Cultural Diversity and Ethnic Minority Psychology, 7(3), 247-261. 

  30. Mason, J. (2002). Qualitative researching. Thousand Oaks, CA: Sage. 

  31. Morse, J. M., & Field, P. A. (1995). Qualitative research method for health professionals. Thousand Oaks, CA: Sage. 

  32. Moustakas, C. (1994).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s. London, UK: Sage. 

  33. Papalia, D. E., Olds, S. W., & Feldman, R. D. (2013). A child's world: Infancy through adolescence (13th ed.). NY: McGraw-Hill. 

  34. Patton, M. (2014). Qualitative research and evaluation methods. Newbury Park, CA: Sage. 

  35. Phinney, J. S. (1990). Ethnic identity in adolescents and adults: A review of research. Psychological Bulletin, 108(3), 499-514. 

  36. Phinney, J. S., Ferguson, D., & Tate, J. (1997). Intergroup attitudes among ethnic minority adolescents: A causal model. Child Development, 68(5), 955-969. 

  37. Uttal, L. (1996). Custodial care, surrogate care, and coordinated care: Employed mothers and the meaning of child care. Gender & Society, 10(3) 291-311. 

  38. Ward, C., & Rana-Deuba, A. (1999). Acculturation and adaptation revisited. Journal of Cross-Cultural Psychology, 30(4), 422-44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