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본 연구는 2016년 공표한 일본의 학습지도요령과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의 구성 방식을 비교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양국의 국가 수준 교육과정 구성을 비교하기 위해 구성 체계, 구체적인 내용과 더불어 정보과 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흐름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일본은 학습지도요령의 개정 원인, 목적, 목표 달성 방법 등을 제시함으로써, 해당 문서에 대한 당위성이 강조되었다. 한국은 총론과 각론의 분절적 개발에서 비롯된 괴리가 문서상에서도 파악되었고, 시대적 흐름이나 교과의 변화를 고려하지 않은 교육과정의 구성 및 방향설정의 오류를 발견할 수 있었다. 교육과정이 내용에 대한 충분성과 시대적 상황을 반영한 교육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전체 프레임에 대한 개선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내용에 대한 인식 없이 프레임을 구성하는 것은 교육에 대한 목적과 방향을 제대로 설정할 수 없음에 대한 성찰을 제공했다는 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composition of the government guidelines for the educational curriculum of Japan announced in 2016 with the outline of the 2015 revised educational curriculum of Korea. To compare the composition of the national level curricula of the two countries, the composition systems and content details were analyzed along with the trends of emphasis placed on informatics education. The analysis indicated that as for the Japanese government's guidelines, it was suggested that the causes of revisions, and purposes and methods of fulfilling goals be added, and thus the appropriateness of the guidelines was emphasized. As for Korea's revised curriculum, a gap caused by segmental development of the outline and details of the curriculum were found in addition to errors in curricular composition and direction setting which were carried out without consideration to the transition time required or changes of subjects. To ensure sufficiency of the curricular contents and education reflecting the situations of each time phase, the necessity to improve the overall curricular framework was suggested. This study holds significance as it provides the introspective insight that the goals and directions of education cannot be set properly when the curricular framework is established without recognition of the contents.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교육과정 개발 | 교육과정 개발은 무엇에 근거하는가? |
이전 교육과정에 대한 문제를 바탕으로 새롭게 개발해야 할 필요에 근거
교육과정 개발은 이전 교육과정에 대한 문제를 바탕으로 새롭게 개발해야 할 필요에 근거한다. 교육과정은 총론과 각론으로 구분되며, 총론 교육 과정은 단위학교의 교육과정 편성·운영에 대한 기준과 안내를 제시한다[1]. |
교육과정 | 교육과정의 각론이란? |
각론은 교과의 교육내용을 담은 문서로,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교과 교육에 대한 세부적인 내용과 학습방법 등을 포함
교육과정은 총론과 각론으로 구분되며, 총론 교육 과정은 단위학교의 교육과정 편성·운영에 대한 기준과 안내를 제시한다[1]. 각론은 교과의 교육내용을 담은 문서로,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교과 교육에 대한 세부적인 내용과 학습방법 등을 포함한다[2]. 따라서 총론과 각론의 연계는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여지지만, 제 7차 교육과정기 이후부터 총론과 각론의 괴리, 각론과 각론 내의 괴리 등으로 총론 불필요론까지 대두되었다[1]. |
교육과정 | 교육과정은 어떻게 구분되는가? |
총론과 각론
교육과정 개발은 이전 교육과정에 대한 문제를 바탕으로 새롭게 개발해야 할 필요에 근거한다. 교육과정은 총론과 각론으로 구분되며, 총론 교육 과정은 단위학교의 교육과정 편성·운영에 대한 기준과 안내를 제시한다[1]. 각론은 교과의 교육내용을 담은 문서로,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교과 교육에 대한 세부적인 내용과 학습방법 등을 포함한다[2]. |
원문 PDF 다운로드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
"" 핵심어 질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