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육과정 총론의 문서 체제에 나타난 고등학교 정보과 교육과정의 변천
Changes in the high school informatics curriculum appearing in the document system of the general guidelines of the national curriculum 원문보기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v.19 no.5, 2016년, pp.27 - 40  

김자미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컴퓨터교육전공) ,  이원규 (고려대학교 정보대학 컴퓨터학과)

초록

교육의 변화나 교육과정의 변화는 시대적 필요와 지식의 변화로 인한 필요에 근거한다. 본 연구는 두 가지 필요 모두를 내재한 고등학교 정보과 교육과정의 변천 분석을 통해 교육과정 총론 구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연구 진행에 따라 교육과정 총론의 분석을 통해 2007, 2009 개정 시기,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구성, 정보과 교육과정의 위상 변화, 그리고 정보 과목의 크기를 분석하였다. 교육과정 총론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측면에서 개선이 요구되었다. 첫째, 이수단위에 대한 명확성, 둘째, 진로선택과목의 타당한 구성, 셋째, 사용하는 용어에 대한 명확한 정의 등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세계 각국에서 강조되는 SW교육의 관점을 고려하고, 교육과정 총론에서는 고등학교 정보과에 대해 어떤 편성과 운영을 제시하고 있는지를 분석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hanges in education or curriculum are based on the needs of the times and needs to address changes in knowledg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implications regarding the general guidelines of the national curriculum by analyzing changes made in the high school informatics curriculum in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세계 각국이 초·중등 교육 전반에서 정보 교육을 강화하고 있으면서 우선적으로 고등학교에서의 정보 교육 강화에 중점을 두고 있는 실정을 고려하였다. 따라서 한국의 고등학교 정보 과목의 관점에서 교육과정 총론 문서 내용 및 기술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은 학교교육과정의 편성과 운영에 대한 구성에서 초등학교와 중학교는 시수로, 고등학교는 단위로 구성하였다. 본 논의는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구성하고 있으므로 단위의 관점에서 제시하였다.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의 구성 및 해석에 대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2007 개정 교육과정을 통해 과목명을 ‘정보’로 설정하고, 변화하는 사회에 대한 대처 능력 강화를 제시한 ‘정보’를 국가수준의 교육과정 총론에 제시된 문서체제의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둘째, 진로선택과목의 타당성이다. 총론의 ‘4.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가교육과정에서 문서의 형식는 어떤 요소인가? 국가교육과정에서 문서의 형식은 교육과정 기준 자체의 성격을 결정짓는 주요 요소 중 하나이다. 따라서 교육과정 개선이 교육과정에 어떤 내용을 넣을 것인가에 집중한다면, 총론의 개선은 교육과정 문서의 형식과 항목 등에 대한 내용에 집중한다[3][4].
2007 개정 교육과정의 특징인 국민공통기본 교육과정을 설정한 이유는 무엇인가? 2007 개정 교육과정의 특징인 국민공통기본 교육과정은 제7차 교육과정(1997~2007) 시기에 처음 도입되어, 명칭과 성격을 그대로 적용하였다[16][18]. 국민공통기본 교육과정의 설정 이유는 첫째, 모든 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의무교육 기간이 확대되고 있다는 점, 둘째, 산업 사회로부터 후기 산업 사회로 넘어가면서 단순 노동·기능직보다는 고등 정신력과 판단력을 요하는 직종이 우선시 되고 있고, 국민 모두에게 공통이 되는 기본 교육에 충실해져야 한다는 요구 때문이다.
교육과정 총론이 단위학교의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기준과 안내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되는가? 교육과정 총론이 단위학교의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기준과 안내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기 위해서는 문서를 구성할 때, 교육과정 요소 및 활동에 대한 타당성이 충분히 고려되어야 한다[5]. 즉, 사회를 살아가는 참된 인간상을 표방하기 위해, 사회의 구성원을 양성하는 측면에서 교육의 방향이 어떠해야 하는지에 대한 본질적인 측면을 갖추어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손민호(2016). 2015 개정 교육과정이 남긴 문제들. 교육비평, 37, 35-47. 

  2. 교육부(2015).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고시 제 2015-80호 별책 1(교육부 고시 제 2015-74호의 부칙개정). 

  3. 김진숙(2006) 제 7차 교육과정의 문서 체재(體裁)개선 연구. 교육과정연구, 24(1). 121-151. 

  4. 김진숙, 박순경, 민용성, 문미옥, 김영옥, 양옥승, 이기숙, 나정, 임재택(2006). 유치원 총론 교육과정 개정 시안 개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CRC 2006-4-1. 

  5. 정영근, 서근원, 주철안, 황성원, 조재식, 남궁상운(2009). 국가 교육과정 관련 문서 체제 개선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09-5. 

  6. 임유나, 홍후조(2014). 국제비교를 통한 국가교육과정 기준 총론 구성 체제의 개선. 한국교육학연구, 20(1), 41-66. 

  7. 이은정(2012). 중학교 집중이수제 평가준거 및 평가내용 개발 연구.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8. 소경희(2010). 우리 나라 교육과정 개정에 있어서 총론과 각론의 괴리 문제에 대한 고찰. 한국교육과정학회, 18(1), 201-218. 

  9. Department for Education(2011). The Framework for National Curriculum : A report by the Expert panel for the National Curriculum review. London: Department for Education. 

  10. 文部科學性(2016). 次期?習指導要領等に向けたこれまでの審議のまとめ( 第1 部) http://www.mext.go.jp/b_menu/shingi/chukyo/chukyo3/004/gaiyou/1377051.htm 

  11. Finish National Board of Education.(2016). National Core Curriculum for Basic Education 2014. 

  12. Bobbitte, J. F. (1918). The curriculum. Boston : Houghton Mifflin company. 

  13. Bobbitte, J. F. (1924). How to make a curriculum. Boston : Houghton Mifflin company. 

  14. 허경철, 차우규, 김선주, 권혁준(2005). 세계 각국의 최근 교육동향 및 교육과정 국제비교.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05-14. 

  15. 한국교육과정정보센터. www.ncic.re.kr. 

  16. 교육인적자원부(2007).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 2007-79호 별책 1. 교육인적자원부. 

  17. 교육과학기술부(2011).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1-361호 별책 1. 

  18. 교육인적자원부(2007).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 2007-79호 별책 10. 

  19. 교육인적자원부(2007). 과학계열 전문 교과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2007-79호 별책 24. 

  20. 교육과학기술부(2009). 2009 개정 교육과정,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과학 기술부 고시 제 2009-41호. 

  21. 교육과학기술부(2011).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1-361호 별책9. 

  22. 교육과학기술부(2011).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1-361호 별책 10. 

  23. 교육부(2015). 과학계열 전문교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2015-74호 별책 20. 

  24. 교육부(2015). 실과(기술.가정)/정보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2015-74호 별책10. 

  25. 교육부(2015). 정보.통신 전문교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2015-74호 별책 36. 

  26. 소경희(2013). 총론 연구자의 관점에서 본 국가 교육과정 개정의 주요 문제와 개선 방향. 교육연구와 실천, 79, 87-100. 

  27. 소경희(2000). 우리나라 교육과정 개정에 있어서 총론과 각론의 괴리 문제에 대한 고찰. 교육과정연구, 18(1), 201-218. 

  28. 김진숙, 최정아, 지혜영, 김주현(2011). 국가교육과정 총론 항목의 제시 방식에 대한 국제 동향 분석. 교육과정연구, 29(3), 49-73. 

  29. 모경환, 강대현(2012). 사회과 교육과정과 성취기준 : 일반사회 영역의 특징과 문제점. 사회과교육, 51(2), 61-76. 

  30. Oates, T.(2011). Could do better : using international comparisons to refine the National Curriculum in England. The Curriculum Journal. 22(2), 121-150. 

  31. 허예지, 소경희(2014). 한국, 영구, 뉴질랜드, 일본 고등학교 학생들의 과목 선택권 비교. 비교교육연구, 24(1), 181-201. 

  32. 소경희(2015).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개정안이 남긴 과제 : 각론 개발의 쟁점 탐색. 교육과정 연구, 33(1), 195-214. 

  33. Biesta, G. & Priestley, M. (2013). A Curriculum for the twenty-first century? In M. Priestley & G. Biesta(Eds.). Reinventing the curriculum : New trends in curriculum Policy and Practice(pp. 229-234). London: Bloomsbury. 

  34. Lambert. D.(2011). Reviewing the case for geography, and the 'knowledge turn' in the English National Curriculum. The Curriculum Journal, 22(2), 243-264. 

  35. Young, M. & Muller, J.(2010). Three Educational Scenarios for the Future : lessons from the sociology of Knowledge. European Journal of Education, 45(1), 11-27. 

  36. Pring, R.(2010). What is Education for? In B. Little(Ed.). Radical futrue : Politics for the next generation. London : Lawrence & Wishart. 

  37. 교육인적자원부(2005). 초.중등학교 정보통신기술교육 운영지침 개정안 및 해설서. 교육인적자원부 RM 2005-51. 

  38. 교육과학기술부(2008). 학교자율화 추진계획발표 - 다양하고 질 높은 교육을 위한 학교 중심의 자치기반 마련 -. 교육과학기술부 보도자료 2008.4.15. 

  39. 경상남도교육청(2008). 학교자율화 세부 추진계획. 경상남도 교육청. 

  40. 장미은, 김자미, 김현철(2016). 대지털 세계의 관점에서 직업의 변화에 기초한 초등학교 교과서 삽화 분석.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9(2), 115-124. 

  41. 2016년 9월 27일 교육전문 신문(VERITAS ${\alpha}$ ) 대학진학률 60%대 하락..2010년 이래 처음. http://www.veritas-a.com /news/articleView.html?idxno63819 

  42. Walker, D. F. (2002). Fundamentals of curriculum : Passion and professionalism. Routledg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