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어린이집 교사의 창의적 인성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스트레스 대처전략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Stress-coping Strategies of Childcare Teachers' Creative Personality on Teacher Efficacy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3 no.4, 2017년, pp.19 - 35  

이강재 (가천대학교 유아교육전공) ,  이유미 (가천대학교 유아교육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stress-coping strategies of childcare teachers' creative personality on teacher efficacy. Methods: Study subjects were 204 childcare teachers working at nursery schools located in S city of Gyeonggi province, and this study collect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집 교사의 창의적 인성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스트레스 대처전략의 매개효과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 결과는 어린이집 교사가 지녀야하는 전문적 자질로서 스트레스 대처전략의 중요성을 제고할 것이며 이를 토대로 어린이집 교사의 창의적 인성과 교사효능감 증진을 위한 실제적인 방안이 마련되길 기대한다.
  • 본 연구는 스트레스 대처전략의 매개효과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그러나 어린이집 교사 개인의 심리적 환경적 요인을 사용하는 스트레스 대처전략을 자기보고서의 질문지내용만으로 살펴보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 본 연구는 어린이집 교사의 창의적 인성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 창의적 인성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스트레스 대처전략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에 기초하여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어린이집 교사의 바람직한 역량과 자질이 매우 중요한 이유는? 이에 어린이집의 질적 제고를 위하여 시행되고 있는 평가인증제도에서도 교사의 질이 반영되는 보육과정운영과 상호작용 및 교수법에 대한 내용이 더욱 강화되고 있다(보건복지부,2017). 영유아기 교육 및 보육은 초, 중, 고등학교의 교육과는 달리 정해진 교과서가 없기 때문에 어린이집 교사가 스스로 판단하고 수많은 결정을 하고 있다(김희정, 서현아, 2016). 교사의 역량에 따라 교육의 성과는 차이를 보이며(최지혜, 2012) 영유아의 발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이은화, 배소연, 조부경, 1995). 이러한 맥락에서 어린이집 교사의 바람직한 역량과 자질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평가인증제도는 왜 시행되었나? 보육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다룬 많은 연구들(서문희, 이미화, 조미진, 2006; 신혜영, 2004)은 보육서비스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교사 즉, 어린이집 교사의 역량과 자질이 높아질 때 보육이 질적으로 향상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이에 어린이집의 질적 제고를 위하여 시행되고 있는 평가인증제도에서도 교사의 질이 반영되는 보육과정운영과 상호작용 및 교수법에 대한 내용이 더욱 강화되고 있다(보건복지부,2017). 영유아기 교육 및 보육은 초, 중, 고등학교의 교육과는 달리 정해진 교과서가 없기 때문에 어린이집 교사가 스스로 판단하고 수많은 결정을 하고 있다(김희정, 서현아, 2016).
교사효능감이 낮은 교사의 특징은? 유아와의 상호작용에 직접적인 도움을 주고, 아동과의 상호작용의 빈도도 높아(신혜영, 2004) 유아의 참여, 수업 전략이나 학습경영 등에 보다 적극적이라는 것이 확인되었다(황유경, 2010). 반면 교사효능감이 낮은 교사는 교사효능감이 높은 교사에 비해 획일적인 전통교수활동을 수행할 가능성이 높으며, 규칙을 엄격하게 적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신혜영, 2004). 즉, 교사효능감의 차이에 따라서 영유아에게 우호적이며 학급을 창의적으로 운영하거나 반대로 권위적이고 획일적인 학급분위기가 될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 주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2)

  1. 강이슬, 김민경 (2011). 영아보육교사의 교수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7(4), 325-352. 

  2. 권연희 (2010). 사회적지지,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직장보육시설을 중심으로. 한국생활과학회지, 19(3), 487-498. doi:10.5934/kjhe.2010.19.3.487 

  3. 권정숙, 유재경, 조혜영 (2016). 예비유아교사의 공감능력과 자아인식이 창의.인성에 미치는 영향: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매개효과.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20(1), 82-105. 

  4. 김순남 (2000). 유치원교사의 교사효능감에 따른 역할수행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정숙, 이종향, 박영숙, 조현정 (2011). 유치원 교사, 학부모, 일반인이 인식하는 유치원 교사의 직업 이미지. 유아교육학논집, 15(3), 459-484. 

  6. 김정희 (1987). 지각된 스트레스 요인 및 대처양식의 우울에 대한 작용.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김창기 (2011).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문제중심적 대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영유아보육학, 69, 315-336. 

  8. 김호, 이수연, 윤민아 (2014). 유치원 수업 동영상에 나타난 창의적 수업 특성 탐색. 교원교육, 30(4), 273-293. doi:10.14333/KJTE.2014.30.4.273 

  9. 김희정, 서현아 (2016). 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과 교수수행의 관계에서 창의적 인성의 매개효과. 유아교육연구, 36(1), 253-272. 

  10. 문태형 (2003). 유치원 교사의 사회성 효능감과 스트레스대처양식 및 내외통제소재간의 관련성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7(1), 27-42. 

  11. 박영태, 이경님, 하수연 (2009).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직무만족도 및 창의적 인성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6(1), 275-298. 

  12. 박상희, 김경의, 이효숙 (2005). 유아교사의 창의적 인성과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 역할 수행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2(4), 165-182. 

  13. 박순주, 배다은 (2015). 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수준에 따른 대인불안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차이.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5(10), 305-315. doi:10.5392/jkca.2015.15.10.305 

  14. 박윤조, 임명희, 안정숙 (2015). 보육교사의 인성이 직무스트레스 및 스트레스 대처유형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5(3), 129-148. 

  15. 박은아, 김원 (2015). 유아교사의 성격강점과 행복과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매개효과. 교육치료연구, 7(3), 545-562. 

  16. 변은경, 장경오 (2015). 보육교사의 자아존중감, 직무스트레스가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6(6), 3982-3990. doi:10.5762/KAIS.2015.16.6.3982 

  17. 보건복지부 (2017). 어린이집 평가인증 안내. 서울: 한국보육진흥원. 

  18. 서문희, 이미화, 조미진 (2006). 보육시설 종사자 직무 및 근무 환경 실태 분석. 서울: 여성가족부. 

  19. 석은조, 신성철 (2008). 유아교사가 지각한 유아교육기관의 조직문화유형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방안.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5(1), 327-347. 

  20. 성은현 (2005). 자아존중감, 일반적 자기효능감과 창의적 인성의 관계. 아동학회지, 26(1), 217-228. 

  21. 신혜영 (2004).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효능감이 교사 행동의 질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2. 오현숙, 백영숙 (2015).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및 소진과 교수창의성과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유아교육학논집, 19(6), 31-53. 

  23. 이분려 (1998). 유치원 조직풍토와 직무만족 및 교사효능감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이유미 (2009).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적 인성과 교사효능감의 관계. 한국보육지원학회, 5(2), 1-20. 

  25. 이은화, 배소연, 조부경 (1995). 유아교사론. 서울: 양서원. 

  26. 이정현, 안효진 (2012).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와 교사효능감 및 직무스트레스의 관계 연구. 아동학회지, 33(4), 129-141. doi:10.5723/kjcs.2012.33.4.129 

  27. 이진화 (2011).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 정서지능, 스트레스 대처방식 간의 관계. 육아지원연구, 6(1), 127-144. 

  28. 이형민 (2009).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 및 교사신념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56, 187-208. 

  29. 임옥희 (2006). 보육교사-영아 상호작용과 보육 교사 신념 및 효능감과의 관계.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0. 정희정, 김정희 (2016).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관련 국내 학술지 연구동향 분석.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7(3), 293-317. doi:10.22154/jcle.17.3.13 

  31. 조방제 (2004). 보육교사의 역할수행 요구 분석을 통한 양성교육 프로그램 개선을 위한 연구-보육교사 역할에 대한 인식 차이 및 양성 교육 프로그램 교과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아동교육연구, 3(1), 79-94. 

  32. 최은혜 (2015). 사립유치원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의사소통능력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2), 39-57. doi:10.14698/jkcce.2015.11.2.039 

  33. 최지혜 (2012). 유아특수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교수수행도와의 관계.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최형성 (2016). 보육교사의 우울과 교사효능감과의 관계: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및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3(2), 71-90. doi:10.22155/jfece.23.4.199.216 

  35. 최형심 (2005). 어머니 및 교사가 인식한 유아의 창의적 성향과 유아의 창의적 사고와의 관계.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하주현 (2000). 창의적 인성검사 개발. 교육심리연구, 14(2), 187-210. 

  37. 허수윤, 서현아 (2014). 예비유아교사의 자기표현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인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0(2), 5-19. doi:10.14698/jkcce.2014.10.2.005 

  38. 황유경 (2010). 유아교육기관의 원장의 변혁적.거래적 리더십과 교사효능감의 관계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9. 황신숙 (2012). 보육교사의 성취목표성향과 교사효능감 및 교직 헌신도의 관계 연구.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0. Amabile, T. M., Dejong, W., & Lepper, M. R. (1976). Effects of externally imposed deadlines on subsequent intrinsic motiv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4(1), 92-98. doi:10.1037/0022-3514.34.1.92 

  41. Bandura, A. (1977). Self-efficacy: Towards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2), 191-215. doi:10.1037/0033-295X.84.2.191 

  42.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a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doi:10.1037/0022-3514.51.6.1173 

  43. Cropley, A. J. (2001). Creativity in education & learning. UK: Kogan page. 

  44. Folkman, S., & Lazarus, R. S. (1986). Stress processes and depressive sympto-matology. Journal of Almormal Psyclology, 95(2), 107-113. doi:10.1037/0021-843X.95.2.107 

  45. Howkins, J. (2001. 11). 영국에서의 디지털TV 정책 이슈(Digital TV in Br itain: A Product in Sear ch of a Str ategy).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세미나 및 공청회, 서울. 

  46. Lazarus, R. S., & Folkman, S. (1984).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Y: Springer Publishing Company. doi:10.1017/s0033291700031652 

  47. Lapierre, L. M., & Allen, T. D. (2006). Work-supportive family, family-supportive supervision, use of organizational benefits, and problem-focused coping: Implications for work-family conflict and employee well-being.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11(2), 169-181. doi:10.1037/1076-8998.11.2.169 

  48. Enochs, L. G., & Riggs, I. M. (1990). Further development of an elementary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 A pre-service elementary scale.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90(8), 694-706. doi:10.1111/j.1949-8594.1990.tb12048.x 

  49. Reilly, E., Dhingra, K., & Boduszek, D. (2014). Teacher' self-efficacy beliefs, self-esteem, and job stress as determinats of job satisfac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al Management, 28(4), 365-378. doi:10.1108/ijem-04-2013-0053 

  50. Sobel, M. E. (1982). Asymptotic confidence intervals for indirect effect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s. Sociological Methodology, 13, 290-312. doi:10.2307/270723 

  51. Toffler, A. (1997). Future shock, 미래의 충격(장을병 옮김). 서울: 범우사(원판 1970). 

  52. Torrance, E. P. (2005). Why fly?: A philosophy of creativity. 토랜스의 창의성과 교육(이종연 옮김). 서울: 학지사(원판 199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