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저탄소 녹색도시 조성을 위한 정책 우선순위 연구
Study on the Policy Priority for Low Carbon Green City 원문보기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 한국환경과학회지, v.26 no.8, 2017년, pp.977 - 991  

신연희 (인하대학교 지속가능경영학전공) ,  민미연 (인하대학교 지속가능경영학전공) ,  황은주 (인하대학교 지속가능경영학전공) ,  김종대 (인하대학교 지속가능경영학전공)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common indicators that constitute a "low-carbon green city" and determine their priorities from the perspective of Incheon Metropolitan City with a view to help develop its climate change strategy strategic city. Several major cities, domestic and oversea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저탄소 녹색도시 조성을 위한 전략적 개발계획을 추진하는데 있어 적용가능한 공통지표 체계를 구축하고, 인천광역시 관점에서 AHP 기법을 활용한 중요도 분석을 실시하여 저탄소 녹색도시 조성을 위한 지표간 우선순위를 선정하는데 목적이 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인천이 가지고 있는 환경적인 취약성을 저탄소 녹색도시로 재구상하는 계기로 마련하기 위하여 “저탄소 녹색도시”를 구성하는 공통지표를 설정하고, 우선순위를 선정함으로써 지역특성에 맞는 전략적 도시개발을 조성하는데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저탄소 녹색도시는 무엇인가? 이러한 기후변화에 맞서는 국제 정세변화와 우리나라의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전략의 일환으로 도시 공간 전반을 저탄소 녹색도시로 전환하는 도시 형태들이 제안되었다. 저탄소 녹색도시는 “기존의 생태보전, 자연공생, 청정 환경을 내세웠던‘친환경도시’와 지속가능발전, 에너지자립, 자원순환 개념의 ‘지속가능도시’에 탄소저감, 탄소흡수, 신재생에너지 등 ‘탄소저감도시’가 망라된 총괄 개념”으로(Cho, 2015), “기존의 경제성장 패러다임을 친환경적으로 전환함으로써 시너지효과를 극대화 한다”고 할 수 있다(Wang et al., 2013).
저탄소 녹색도시에 대한 정부차원의 가이드라인은 무엇인가? 정부차원의 가이드라인으로 Korea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2015)는 「저탄소 녹색도시 조성을 위한 도시·군 계획수립 지침」 을 훈령으로 발표하였다. 이는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에 의해 도시·군 관리계획 수립기준을 정하여 저탄소 녹색도시 조성을 위한 종합적인 공간계획 수립을 유도하기 위한 지침이다.
유엔에서 파리협정을 채택한 배경은 무엇인가? 최근 전 지구적 이상기후와 생태계의 변화는 지구촌 환경을 급속도로 위협하고 있다. 특히 대기 중 온실가스(CO2, CH4, N2O, HFCs, PFCs, SF6 등)는 이상기후뿐만 아니라 식량 부족, 자원과 에너지 고갈 등 심각한 글로벌 사회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유엔(UN)은 제21차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1,2015년)에서 196개 회원국의 신(新)기후체제 합의를 이끌어내고 이른바 “파리협정(Paris Agreement”을 채택하여 공동 대응하기에 이르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Busan Metropolitan City, 2012, The 2030 Busan plan. 

  2. Chang, W. Y., 2010, A Study on eliciting planning indicators of low-carbon green city and $CO_2$ reduction plan responding to climate change, Master's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Seoul. 

  3. Cho, K. D., 2015, Vision design and the issue analysis for future green city, Incheon Development Institute. 

  4. Choi, K. H., 2016, A Study on legislation trends of logistics in selected countries for coping with climate change, Korea Legislation Research Institute. 

  5. Hong, J. K., 2011, Development of indicators for measuring carbon-neutrality level of local government, Ph.D.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6. Incheon Metropolitan City, 2015, The 2030 Incheon plan. 

  7. Kim, J. Y., Nam, Y. W., 2014, A Study on the planning factors of domestic and foreign carbon neutral city for carbon reduction, J. of Korea Institute of Spatial Design, 8(4), 103-112. 

  8. Kim, T. H., Choi, H. S., Shin, Y. C., Park, C. H., 2013, Promoting strategies and case study of development for low carbon, green growth, J.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61(4), 46-54. 

  9. Kim, Y. M., 2013, A Study on the planning indicators and evaluation criteria for carbon neutral green city, Ph.D.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Korea. 

  10. Korea Ministry of Environment, 2010, Guideline and evaluation indicator for low carbon and green city. 

  11. Korea Ministry of Environment, 2011, Enlargement of low carbon and green city. 

  12. Korean Government, 2014, Second five-year-plan for green growth. 

  13. Land & Housing Institute, 2009, Study on green city development for low carbon green growth. 

  14. Lee, J. H., 2013,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quantitative assessment indicators for low-carbon green city, Ph.D. Dissertati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Korea. 

  15. Lee, M. Y., 2011, The implications based on review to foreign green logistics industry,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16. Min, Y. J., Jang, H. J., 2010, Korea's GHG mitigation strategies and initiatives for green logistics, J. of Korea Transportation Research Society, 7(5), 15-26. 

  17.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5, Guideline for planning low carbon green city development. 

  18. Presidential Committee on Green Growth, 2009, National strategy for green growth. 

  19. Suwon City, 2014, The 2030 Suwon plan. 

  20. Wang, K. I., 2010, A Study of formulation of plans for green city composition,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21. Wang, K. I., Yoo, S. C., Rho, K. S., Min, K. J., 2013, A Study on the strategic plan for developing carbon neutral environment-friendly city,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22. Yoon, S. S., 2010, A Study on the urban planning elements for low carbon green city, Master's Dissertation, Daegu University, 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