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항암화학요법 폐암 환자의 증상경험과 기능상태간의 관계에 미치는 영양상태의 매개효과
Mediated Effects of Nutritional Statu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ymptom Experience and Functional Status in Patients with Lung Cancer undergoing Chemotherapy 원문보기

근관절건강학회지 =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v.24 no.2, 2017년, pp.130 - 139  

정경선 (동남권원자력의학원 중환자실) ,  민혜숙 (동아대학교 간호학과) ,  윤미정 (울산과학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mediating effect of nutritional statu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ymptom experience and functional status among in patients with lung cancer undergoing chemotherapy. Methods: Subject (N=139) were lung cancer patients visiting the D hospital in B ci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폐암 환자의 증상경험과 기능상태, 그리고 영양상태를 확인하고 영양상태가 증상경험과 기능상태 간에 영향을 주는 매개변수로 작용하는지를 확인함을 목적 으로 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증상경험과 기능상태 간의 관계에 대한 영양상태의 매개효과를 확인함으로서 항암화학요법중인 폐암 환자들의 기능상태 향상을 위한 영양의 중요성에 대한 임상적 근거를 제시하고 간호학적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 하는데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폐암이 다른 암과는 다르게 두드러지는 특징은 무엇인가? 폐암은 다른 암과는 달리 초기에는 증상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증상이 발생한 경우 이미 암이 상당히 진행된 상태로 발견되기 때문에 건강문제가 훨씬 심각하다(Oh, 2002). 폐암 환자들이 질병과정에서 경험하게 되는 증상들은 다른 암 환자에 비해 그 정도가 심각한데, 특히 진행성 폐암이거나 전이가 있는 경우, 또는 항암치료 중에는 더 심한 증상을 경험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Lee, 2013). 폐암 환자들은 주로 호흡곤란, 기침, 객담, 통증 등의 다양한 증상경험과 함께 화학요법이나 방사선 요법 등의 치료로 인해 피로, 오심, 구토, 식욕상실, 체중 감소, 우울 등의 증상을 더욱 심하게 경험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초래되는 환자들의 심각한 신체적, 정신적 기능상태의 저하 (Baker, Denniston, Smith, & West, 2005)는 일상생활을 유지 하는데 심각한 어려움을 초래하게 한다(Oh, 2002).
암 환자의 영양불량이 심각함을 나타낼 때 어떤 증상이 보이는가?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부인암 환자들의 열량 섭취량을 조사한 일 연구에서 50%의 환자에서 식욕부진을 경험하며, 이들의 음식섭취량이 성인 영양권장량의 45% 수준에 불과하고 특히 단백질 섭취량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것으로 조사되었다(Byun & Kim, 2012). 또한 영양불균형이 심각한 상태를 나타내는 악액질 상태의 암 환자에서는 피로, 통증, 입마름 등의 증상의 심각성과 발생률이 더욱 증가되고(Zhou et al., 2017) 있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암 환자의 영양불량은 무엇으로 인해 발생하는가? 일반적으로 암 환자의 영양상태 불량은 다른 질환자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은 편인데, 암 환자의 40~80%에서 영양장애가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Barrera, 2002). 암 환자의 영양불량은 일차적으로 암으로 인한 전신 대사성 변화로 인해 제지방 체중(lean body mass)과 단백질의 감소, 저알부민혈증, 그리고 암세포의 성장과 관련하여 에너지 소비의 증가 등으로 인해 발생한다(Nelson, Walsh, & Sheehan, 1994). 또한 암의 주요 치료방법인 항암화학요법이나 방사선요법 등의 적용은 환자에게 다양한 부작용을 유발하게 하는데, 이들 부작용 중 위장관계 점막의 손상으로 인한 오심, 구토, 식욕부진, 그리고 미각의 변화 등은 음식섭취와 영양흡수에 심각한 장애를 초래하여 영양불균형 상태에 놓이게 한다(Ravasco, 200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aker, F., Denniston, M, Smith, T., & West, M. M. (2005). Adult cancer survivors: How are they faring? Cancer, 104, 2565-2576. https://doi.org/10.1002/cncr.21488 

  2. Bark, S. M. (2011). Related factors on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lung cancer.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nam University, Gwangju. 

  3.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 1173-1182.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 

  4. Barrera, R. (2002). Nutritional support in cancer patients. Journal of Parenteral and Enteral Nutrition, 26(Suppl 5), S63-S71. https://doi.org/10.1177/014860710202600516 

  5. Bauer, J., Capra, S., & Ferguson, M. (2002). Use of scored Patient-Generated Subjective Global Assessment (PG-SGA) as a nutrition assessment tool in patients with cancer. Europe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56, 779-785. https://doi.org/10.1038/sj.ejcn.1601412 

  6. Byun, M. S., & Kim, N. H. (2012). Energy intake and fatigue in patients receiving chemotherapy.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14, 258-267. https://doi.org/10.7586/jkbns.2012.14.4.258 

  7. Choi, S., & Ryu, E. (2016). Effects of symptom clusters and depression on the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advanced lung cancer. European Journal of Cancer Care. Advance online publication. https://doi.org/10.1111/ecc.12508 

  8. Cleedland, C. S., Mendoza, T. R., Wang, X. S., Chou, C., Harle, M. T., Morrissey, M., et al. (2000). Assessing symptom distress in cancer patients-The M. D. Anderson Symptom Inventory. Cancer, 89(7), 1634-1646. https://doi.org/10.1002/1097-0142(20001001)89:7 3.0.CO;2-V 

  9. Degner, L., & Sloan, J. (1995). Symptom distress in newly diagnosed ambulatory cancer patients and as a predictor of survival in lung cancer. Journal of Pain and Symptom Management, 10, 423-431. 

  10. Fayers, P. M., Aaronson, N. K., Bjordal, K., Groenvold, M., Curran, D., & Bottomley, A. (2001). EORTC-C30 Scoring Manual(3rd ed.). Brussels: EORTC. 

  11. Faul, C., Gerszten, K., Edwards, R., Land, S., D'Angelo, G., Kelley III, J., et al. (2000). A phase I/II study of hypofractionated whole abdominal radiation therapy in patients with chemoresistant ovarian carcinoma: Karnofsky score determines treatment outcome. International Journal Radiation Oncology Biology Physics, 47, 749-754. https://doi.org/10.1016/S0360-3016(00)00446-6 

  12. Kim, H. J., Kim, S. H., Lee, H. G., & Oh, S. E. (2014). Factors affecting symptom experiences of breast cancer patients -Based on the theory of unpleasant symptoms-. Asian Oncology Nursing, 14, 7-14. https://doi.org/10.5388/aon.2014.14.1.7 

  13. Kim, J. H., Lee, N. R., Cho, Y. A., Wiw, J. A., Ko, Y. H., Lee, S. D., et al. (2011). The effect of nutritional status on clinical course and quality of life in cancer patients. Korean Society for Parenteral and Enteral Nutrition, 2011(-), 64. 

  14. Kim, K. S., Yi, M. S., Bang, K. S., Cho, Y, A., & Lee, E. (2013). Relationships among Activity status, anxiety, depression, social support, symptom experience, and functional status in lung cancer patients based on the theory of unpleasant symptoms. Perspective in Nursing Science, 10, 87-96. 

  15. Ko, Y. H., Park, S. J., Jo, Y, A., Wie, G. A., Lee, N. R., Kim, J. Y., et al. (2012). The 11th symposium of KSPEN: 3-4;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carcinoma, nutritional status, clinical course and quality of life in cancer patients. Korean Society for Parenteral and Enteral Nutrition, 2012(-), 101. 

  16. Lee, H. E. (2014). Review of methods for testing mediating effects in recent HRD research. Korean Journal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16(3), 225-249. 

  17. Lee, J. L. (2013) Quality of life non-small cell lung cancer patients: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pproach.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University, Seoul. 

  18. Mendoza, T. R., Wang, X. S., Lu, C., Palos, G. R., Liao, Z., Mobley, G. M., et al. (2011). Measuring the symptom burden of lung cancer: The validity and utility of the lung cancer module of the M. D. Anderson Symptom Inventory. Oncologist, 16, 217-227. https://doi.org/10.1634/theoncologist.2010-0193 

  19. National Cancer Information Center. (2015, June 24). Cancer in statistics. Retrieved June 24, 2017, from http://www.cancer.go.kr/mbs/cancer/subview.jsp?idcancer_040102000000 

  20. Nelson, K. A., Walsh, D., & Sheehan, F. A. (1994). The Cancer anorexia-cachexia syndrome.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12, 213-225. https://doi.org/10.1200/JCO.1994.12.1.213 

  21. Nho, J. H., Kim, S. R., Kang, G. S., & Kwon, Y. S. (2014). Relationships among malnutrition,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gynecologic cancer receiving chemotherapy.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 117-125. https://doi.org/10.4069/kjwhn.2014.20.2.117 

  22. Oh, E. G. (2002). Functional status in lung cancer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14, 491-500. 

  23. Ottery, F. D. (1996). Definition of standardized nutritional assessment and interventional pathways in oncology. Nutrition, 12 (1/Sup), 15-19. https://doi.org/10.1016/0899-9007(95)00067-4 

  24. Ravasco, P. (2005). Aspects of taste and compliance in patients with cancer. European Journal of Oncology Nursing, 9S, 84-91. https://doi.org/10.1016/j.ejon.2005.09.003 

  25. Senesse, P., Assenat, E., Schneider, S., Chargari C., Magne, N., Azria, D., et al. (2008). Nutrition support during oncologic treatment of patients with gastrointestinal cancer: Who could benefit? Cancer Treatment Reviews, 34, 568-575. https://doi.org/10.1016/j.ctrv.2008.03.003 

  26. Wang, D., & Fu, J. (2014). Symptom clusters and quality of life in China patients with lung cancer undergoing chemotherapy. African Health Sciences, 14(1), 49-55. https://doi.org/10.4314/ahs.v14i1.8 

  27. Wilson, I. B., & Cleary, P. D. (1995). Linking clinical variables with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 conceptual model of patient outcom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73, 59-65. https://doi.org/10.1001/jama.1995.03520250075037 

  28. Yu, J. Y. (2016). Symptom experience and physical activity as predictors of resilience among patients with advanced lung cancer.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29. Yun, Y. H., Park, Y. S., Lee, E. S., Bang, S. M., Heo, D. S., Park, S. Y., et al. (2004).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EORTC QLQC30. Quality Life Research, 13, 863-868. https://doi.org/10.1023/B:QURE.0000021692.81214.70 

  30. Zhou, T., Yang, K., Thapa, S., Liu, H., Wang, B., & Yu, s. (2017). Differences in symptom burden among cancer patients with different stages of cachexia. Journal of Pain and Symptom Management, 53, 919-926. https://doi.org/10.1016/j.jpainsymman.2016.12.32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