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개 대학 치위생학과의 치과의료커뮤니케이션 교육 과정 타당성에 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the Validity of Dental Communication Curriculum of a Dental Hygiene Department 원문보기

치위생과학회지 =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v.17 no.4, 2017년, pp.306 - 314  

최용금 (선문대학교 건강보건대학 치위생학과) ,  배수명 (강릉원주대학교 치과대학 치위생학과) ,  신보미 (강릉원주대학교 치과대학 치위생학과) ,  손정희 (대원대학교 치위생과) ,  박덕영 (강릉원주대학교 구강과학연구소) ,  최진선 (강릉원주대학교 구강과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에 본 연구에서는 양적 연구의 한계를 보완하여 정규치위생(학)과 교육과정에서 운영 중인 치과의료커뮤니케이션 교육내용에 대한 질적 평가를 통해 타당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치과의료커뮤니케이션 교과목은 인문사회학적 소양을 기반으로 한 전문가적 태도로 진료실에서의 환자와의 커뮤니케이션 역량 향상을 목적으로 하여, 치과위생사로서의 전문가적인 수행 및 태도를 함양하기 위해 자기이해를 통해 전문가적 태도를 함양하여 환자들과 소통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교육내용으로 구성하였다. 교육내용의 타당도는 전문가 3인에게 기재된 타당도 평가지를 제공하여 검토를 의뢰하였다. 주차별 교육내용 및 교육시기에 대한 타당도는 최소 4점, 최대 5점으로 전반적으로 타당하다는 평가와 인증평가 기준에도 합당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해당학년 수준에 맞는 학습내용으로 구성하되, 1개 학기에 그치는 교육과정이 아니라 단계적, 연계성을 갖고 이론과 실습 학습에 노출될 수 있는 부분이 보완되어야 한다고 분석하였다. 따라서 본 결과는 향후 치위생(학)과 커뮤니케이션 역량 달성을 위한 학습목표 및 교육내용을 개발하고, 향후 치과의료커뮤니케이션 교육과정 표준화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validity of the content of an educational curriculum by understanding the opinions of experts in the development of weekly educational content for dental communication or communication-related subjects. It was composed of educational content on how to co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따라서 본 교육과정에서는 치위생교육평가·인증 기준에 합당할 수 있도록 관련내용을 반영하여 개발하였고, 치과진료환경에서 환자와의 면담에서 필요한 치과의료커뮤니케이션 역량개발에 주안점을 두고, 치과의료커뮤니케이션 교육목적과 핵심역량, 세부역량을 달성할 수 있는 교육과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교과목 주차별 배정시간 및 교육목표는 Table 1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치과의료커뮤니케이션 교육과정에서 무엇을 가르쳐야 하는지를 중점적으로 평가하였다. 따라서 세부적인 실습모듈에 대한 평가, 커뮤니케이션 역량 평가 등과 같은 어떻게 가르치고, 가르친 후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에 대한 내용은 제시하지 못한 한계점이 있고, 3명의 전문가에 타당도를 평가한 부분이 연구의 한계점으로 지적된다.
  • 본 연구에서는 향후 치과위생사의 커뮤니케이션 역량 달성을 위한 학습목표 및 교육내용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정규 치위생(학)과 교육과정에서 운영 중인 치과의료커뮤니케이션 교육내용의 질을 분석 및 평가하여 타당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양적 연구의 한계를 보완하여 정규 치위생(학)과 교육과정에서 운영 중인 치과의료커뮤니케이션 교육내용에 대한 질적 평가를 통해 타당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치과의료커뮤니케이션 교과목은 인문사회학적 소양을 기반으로 한 전문가적 태도로 진료실에서의 환자와의 커뮤니케이션 역량 향상을 목적으로 하여, 치과위생사로서의 전문가적인 수행 및 태도를 함양하기 위해 자기이해를 통해 전문가적 태도를 함양하여 환자들과 소통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교육내용으로 구성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양적 연구의 한계를 보완하여 정규 치위생(학)과 교육과정에서 운영 중인 치과의료커뮤니케이션 교육내용에 대한 질적 평가를 통해 타당성을 검토하여 향후 치과위생사의 커뮤니케이션 역량 달성을 위한 학습목표 및 교육내용 개발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너무 많은 커뮤니케이션 또는 의사소통 관련 교육과정이 생겨나 생긴 문제점은 무엇인가? 2%인 것으로 나타났다5). 그러나 높은 개설 비율에 비하여 표준화된 교육과정이 마련되어 있거나 커뮤니케이션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그렇기 때문에 개설된 교과목의 수업운영방식이 서로 상이하고, 이론교육과 실습교육이 적절하게 운영되고 있지 못하며, 교수자에 따라 수업운영 방식의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4). Choi 등6)은 일부 치위생학과에서 치과의료커뮤니케이션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운영한 후 교육의 효과를 분석하여 보고하였으나 치과의료커뮤니케이션 관련 교육과정에 대한 타당성을 검토하고 분석한 연구는 이루어진 바 없다.
의료보건전문가의 중요한 핵심역량은 무엇인가? 사회적으로 여러 분야에서 의사소통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특히 환자와 대면하여 환자의 생명과 건강을 책임지는 의료보건전문가의 의사소통 역량은 매우 중요한 핵심역량이다1). 치위생학 교육과정에서도 예비 치과위생사로서 보건의료종사자 또는 환자를 포함한 다양한 인구집단 간에 효과적으로 커뮤니케이션을 하여 상호작용할 수 있는 역량을 반드시 갖추도록 하고 있다2).
치과 의료진의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중요한 이유는? 치위생학 교육과정에서도 예비 치과위생사로서 보건의료종사자 또는 환자를 포함한 다양한 인구집단 간에 효과적으로 커뮤니케이션을 하여 상호작용할 수 있는 역량을 반드시 갖추도록 하고 있다2). 치과 의료진의 커뮤니케이션 능력은 환자의 치료효과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병원 및 의료진과 신뢰관계를 형성하는 데 기여하여 환자와의 지속적인 관계 형성 및 유지에 중요하다3). 커뮤니케이션 관련 교육에 대하여 치위생(학)과에 재학 중인 학생들의 관심과 학습 요구도 역시 높게 나타난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Lee YH, Lee YM: Development of a patient-doctor communication skills model for medical students. Korean J Med Educ 22: 185-195, 2010. 

  2. Bae SM, Chung WG, Shin SJ, et al.: Implementation of assessment in a competency-based dental hygiene science education. Research report. Korean Association of Dental Hygiene Professors, Seoul, pp.4-25, 2014. 

  3. Park JW, Choi DC, Kang DW, Choi YG: Medical service marketing. 1st ed. Bomungak Publishing Company, Seoul, p.404, 2009. 

  4. Ryu DY, Yang HS, Choi YK: Needs and perception of medical communication course in the dental hygiene students. J Korean Soc Dent Hyg 14: 623-630, 2014. 

  5. Kim KM, Kim SI, Choi JS, Nam Kyung EJ, Choi YK, Park DY: Dental communication training courses in dental hygiene schools in Korea. J Korean Soc Dent Hyg 17: 123-132, 2017. 

  6. Choi YK, Shin BM, Son JH, Park DY: Effectiveness and learning experience of dental communication course training in dental hygiene schools. J Dent Hyg Sci 16: 134-141, 2016. 

  7. Park EW: Development of medical communication subject in medical school curriculum. Korean J Health Commun 4: 23-33, 2009. 

  8. Son HM, Kim, HS, Koh MH, Yu SJ: Analysis of the communication education in the undergraduate nursing curriculum of Korea. J Korean Acad Soc Nurs Educ 17: 424-432, 2011. 

  9. Bak YI, Park EW: Problems of the curriculum for the improvement of the medical communication in Korean medical schools. Korean J Health Commun 4: 34-42, 2009. 

  10. Park YS, Im SB, Kim HS: The effects of reinforced self-understanding in nursing communication curriculum. J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18: 361-368, 2009. 

  11. Yang EB: Teaching and learning communication skills in medical education. Korean J Med Educ 20: 99-107, 2008. 

  12. Kim S, Lee SJ, Choi CJ, Hur YR: The effectiveness of communication skills of pre-medical students. Korean J Med Educ 18: 171-182, 2006. 

  13. Janice MM: What's wrong with random selection? Qual Health Res 8: 733-735, 1998. 

  14. Patton M: Purposeful sampling. In: Patton M, ed. Qualitative evaluation and research methods. Sage Publications, Beverly Hills, pp.169-186, 1990. 

  15. Korean Dental Hygienists Association: Public discussion for establishment of evaluation and certification system for dental hygiene education. Korean Dental Hygienists Association, Seoul, pp.1-64, 2017. 

  16. Yang EB: Medical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Korean Med Educ Rev 16: 55-56, 2014. 

  17. Chang KW, Hwang YS, Kim JB, et al.: Chapter 3. Basic psychology for oral health education, oral health education. 5th ed. Komoonsa Publishing Company, Seoul, pp.91-137, 2014. 

  18. Johansson AC, Johannsen G, Uhlin L, Johanssen A: Dental hygienist students' learning about motivational interviewing. Dent J 2: 65-77, 2014. 

  19. Kang SK, Bae HS, Lim SR: Analysis of communication of dental hygienist in oral hygiene instruction during scaling. J Dent Hyg Sci 14: 546-553, 2014. 

  20. Park DY, Shin BM, Son JH, Choi YK: Communication skills in dental treatment procedures. 1st ed. Daehannarae Publi-Shing Company, Seoul, pp.11-49, 2015. 

  21. Kim SJ, Kim HH: Impact of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empathy abilities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ies among dental hygiene students. J Dent Hyg Sci 13: 304-313,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