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기-상대방 상호의존모형 분석을 적용한 임신부부의 건강증진행위에 관한 연구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Pregnant Couples: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Analysi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7 no.4, 2017년, pp.467 - 475  

김주희 (경희대학교 간호과학대학.동서간호학연구소) ,  송영아 (안산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actor and partner effects of self-efficacy, marital adjustment, and social support on the health promoting behavior of Korean pregnant couples. Methods: Participants were 132 couples who met the eligibility criteria. Data were collected from June to Novemb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자기효능감, 부부적응도, 및 사회적 지지가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효과를 한 시점에서 측정한 단면적 연구이므로 종단적 연구를 통해 심층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 그럼에도 본 연구는 임부의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할 때 임부의 요소 뿐 아니라 배우자에게까지 미칠 수 있는 상호효과까지 확인한 것에 그 의의가 있으며, 이러한 결과는 기초자료가 되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건강한 출산율의 증가에 이바지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임신한 부부의 건강증진행위에 부부가 상호보완적으로 영향을 주고받는 사이임이 확인되었으며, 추후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 즉, 임부와 남편의 부부적응도는 본인과 상대방의 건강증진행위에 모두 영향을 미쳤고, 자기효능감은 본인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임부과 남편의 사회적 지지는 임부에서만 본인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본 연구는 임부의 건강증진행위에 임부의 요소 뿐 아니라 배우자에게까지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임부의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계획시 부부단위로 계획하고 실행해야 하는 것의 기초자료를 제공한다.
  • 본 연구는 자기-상대방 상호의존모형(APIM) 분석을 적용하여 임신한 부부의 자기효능감, 부부적응도, 사회적 지지가 임부와 배우자의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자기효과(actor effect)와 상대방 효과(partner effect)를 분석하기 위한 서술적 인과관계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자기-상대방 상호의존모형(APIM) 분석을 적용하여 자기효능감, 부부적응도, 사회적 지지가 임신한 여성과 배우자의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 본 연구는 자기-상대방의존모형 분석(APIM)을 적용하여 임신한 부부의 자기효능감, 부부적응도 및 사회적 지지가 임부와 남편의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임신한 부부, 즉, 임부와 배우자를 대상으로 자기-상대방 상호의존모형 분석을 적용하여 선행연구에서 의미가 있다고 알려진 자기효능감, 부부적응도, 사회적 지지 변수들이 임부와 배우자의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자기효과(actor effect)와 상대방효과(partner effect)의 크기를 파악하고자 시도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임신한 부부의 건강증진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임신한 부부들이 건강증진행위에 관심을 갖고 이행하여 건강한 출산을 하는 것에 이바지 할 수 있을 것이다.

가설 설정

  • 즉, 본인의 자기효능감이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고[12,13,16,22], 본인이 지각하는 부부적응도가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며[17-20,23], 본인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가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친다[12,14,15,22]. 또한 배우자의 자기효능감을 강조한 Ayotte 등[24], Ko와 Shin [29]의 연구, 부부관계 및 기능을 강조한 Kiecolt-Glaser와 Newton [28]의 연구, 배우자 지지를 강조한 Kim과 Park [25], Benyamini 등[27]의 연구를 근거로 배우자의 자기효능감, 부부적응도 및 사회적 지지가 배우자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친다고 가설을 설정하였으며, 상호의존이론[26]에 근거하여 임부와 배우자의 자기효능감, 부부적응도, 사회적 지지, 건강증진행위가 상대 배우자의 자기효능감, 부부적응도, 사회적 지지 및 건강증진행위와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것으로 가정하여 가설적 경로를 설정하였다.
  • APIM 모형에서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는 동시에 고려되어 측정되며 상호의존적인 커플자료를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다[21]. 본 연구에서는 APIM의 형태에 따라 왼쪽에 임부와 배우자의 영향변수를, 오른쪽에 임부와 배우자의 결과변수인 건강증진행위 변수를 설정한 후, 각각의 경로는 선행연구를 참조하여 가설을 설정하였다. 즉, 본인의 자기효능감이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고[12,13,16,22], 본인이 지각하는 부부적응도가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며[17-20,23], 본인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가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친다[12,14,15,22].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임부의 건강증진행위에 대한 연구들이 개인이 아닌 부부 자체로 접근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하지만, 이러한 임부의 건강증진행위를 다루는 연구들은 부부의 관계에 대해 아내만의 응답만을 보고하거나[12,15,16], 부부를 쌍으로 인식하여 자료를 수집했다고 하더라도 분석에서 부부를 구분하여 한쪽의 영향변수가 결과변수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17]. 임신은 개인만의 문제가 아닌 부부가 공유하는 문제로서 배우자의 경험이 상대 배우자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17], 가족시스템이론(family system theory)에서도 개인은 사람들과의 관계를 통해 더 잘 이해될 수 있다고 말하고 있기에[20], 임신 문제는 개인보다는 부부로 접근해야한다. 또한, 커플자료(dyad)의 분석방법인 자기-상대방 상호의존모형(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APIM]) 분석방법을 제시한 Kenny에 의하면, 커플자료는 각각의 자료로 다루는 경우 커플의 상호 역동을 살펴볼 수 없고, 커플 모두로부터 자료를 수집했다고 하더라도 이 상호의존성 자료를 각각 독립적 자료형태로 분석하면 자료들이 독립적이라는 추리통계의 주요한 가설을 위반하여, 표준오차(standard error)가 실제보다 작게 측정되고, 제 1종 오류를 범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상호의존적 커플자료는 자기-상대방 상호의존모형(APIM)을 적용하여 분석해야 한다[21].
태내환경 관심이 증가한 이유는 무엇인가? 74%로 두 배 가까이 증가하였고, 쌍태아의 출생 또한 2000년에는 5,146명에서 2015년에는 7,811명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1]. 이렇게 고위험 출산 비율이 높아지면서 어떻게 하면 건강한 출생아를 낳을 수 있을지에 대한 태내환경(Prenatal Environment)에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2]. Barker 등[3]은 1993년에 건강과 질병의 발달기원설(Developmental Origins of Health and Disease hypothesis)에서 성인병들의 병태생리기전이 임신 중 모체의 자궁환경과 관련이 있다는 이론을 주장하며, 처음으로 태내환경의 중요성을 과학적으로 입증하였다.
임부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내 요인으로는 무엇이 있는가? 다양한 선행연구에서 임신 중부적절한 생활습관[7,8], 건강상태[9,10], 산전관리[11] 등이 저체중아, 미숙아 등의 고위험 출산 및 신생아 건강 같은 임신결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입증되고 있다. 또한, 임부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내(intrapersonal) 요인으로는 자기효능감, 우울, 결혼만족도 및 부부적응도 등[12-16]이, 개인 간(interpersonal)요인으로 배우자, 가족 및 사회적 지지 등이 알려져 있다[17-19]. 특히,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잘 알려진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는 임신과 출산 전후 여성의 건강증진행위에서도 주요한 요소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Demographic trend for Korea: 1995-2015 [Internet]. Daejeon: Statistics Korea; c2016 [cited 2016 Dec 7]. Available from: http://kosis.kr/statisticsList/statisticsList_01List.jsp?vwcdMT_ZTITLE&parmTabIdM_01_01. 

  2. Choi GY. Fetal origins of adult disease. Kore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2010;53(6):475-488. http://dx.doi.org/10.5468/kjog.2010.53.6.475 

  3. Barker DJ, Gluckman PD, Godfrey KM, Harding JE, Owens JA, Robinson JS. Fetal nutrition and cardiovascular disease in adult life. The Lancet. 1993;341(8850):938-941. http://dx.doi.org/10.1016/0140-6736(93)91224-A 

  4. Faa G, Manchia M, Pintus R, Gerosa C, Marcialis MA, Fanos V. Fetal programming of neuropsychiatric disorders. Birth Defects Research Part C: Embryo Today: Reviews. 2016;108(3):207-223. http://dx.doi.org/10.1002/bdrc.21139 

  5. Sim K, Chun WY. The relationships between indicators of the prenatal environment and behaviors associated with HPA axis dysfunction. The Korean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2015;28(3):1-28. 

  6. Freathy RM, Weedon MN, Bennett A, Hypponen E, Relton CL, Knight B, et al. Type 2 diabetes TCF7L2 risk genotypes alter birth weight: a study of 24,053 individuals. American Journal of Human Genetics. 2007;80(6):1150-1161. http://dx.doi.org/10.1086/518517 

  7. Bailey BA, Byrom AR. Factors predicting birth weight in a low-risk sample: the role of modifiable pregnancy health behaviors. Maternal and Child Health Journal. 2007;11(2):173-179. http://dx.doi.org/10.1007/s10995-006-0150-7 

  8. Cheng TS, Loy SL, Cheung YB, Godfrey KM, Gluckman PD, Kwek K, et al. Demographic characteristics, health behaviors before and during pregnancy, and pregnancy and birth outcomes in mothers with different pregnancy planning status. Prevention Science. 2016;17(8):960-969. http://dx.doi.org/10.1007/s11121-016-0694-8 

  9. Xu J, Barinas-Mitchell E, Kuller LH, Youk AO, Catov JM. Maternal hypertension after a low-birth-weight delivery differs by race/ethnicity: evidence from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NHANES) 1999-2006. PLoS One. 2014;9(8):e104149. http://dx.doi.org/10.1371/journal.pone.0104149 

  10. Ornoy A, Reece EA, Pavlinkova G, Kappen C, Miller RK. Effect of maternal diabetes on the embryo, fetus, and children: congenital anomalies, genetic and epigenetic changes and developmental outcomes. Birth Defects Research Part C: Embryo Today: Reviews. 2015;105(1):53-72. http://dx.doi.org/10.1002/bdrc.21090 

  11. Herbst MA, Mercer BM, Beazley D, Meyer N, Carr T. Relationship of prenatal care and perinatal morbidity in low-birth-weight infants. Americ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2003;189(4):930-933. http://dx.doi.org/10.1067/S0002-9378(03)01055-X 

  12. Zhang HL, Li CY, Kim HL. Status and influencing factors of health behavior in pregnant women in Yanbian area.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5;16(11):7863-7869. http://dx.doi.org/10.5762/kais.2015.16.11.7863 

  13. Tilden EL, Caughey AB, Lee CS, Emeis C. The effect of childbirth self-efficacy on perinatal outcomes. Journal of Obstetric, Gynecologic & Neonatal Nursing. 2016;45(4):465-480. http://dx.doi.org/10.1016/j.jogn.2016.06.003 

  14. Buttram ME, Kurtz SP, Surratt HL. Substance use and sexual risk mediated by social support among black men. Journal of Community Health. 2013;38(1):62-69. http://dx.doi.org/10.1007/s10900-012-9582-8 

  15. Hui Choi WH, Lee GL, Chan CH, Cheung RY, Lee IL, Chan CL. The relationships of social support, uncertainty, self-efficacy, and commitment to prenatal psychosocial adaptation.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12;68(12):2633-2645. http://dx.doi.org/10.1111/j.1365-2648.2012.05962.x 

  16. Mihelic M, Filus A, Morawaska A. Correlates of prenatal parenting expectations in new mothers: is better self-efficacy a potential target for preventing postnatal adjustment difficulties? Prevention Science. 2016;17(8):949-959. http://dx.doi.org/10.1007/s11121-016-0682-z 

  17. Cohen K, Capponi S, Nyamukapa M, Baxter J, Crawford A, Worly B. Partner involvement during pregnancy and maternal health behaviors. Maternal and Child Health Journal. 2016;20(11):2291-2298. http://dx.doi.org/10.1007/s10995-016-2048-3 

  18. Korja R, Piha J, Otava R, Lavanchy-Scaiola C, Ahlqvist-Bjorkroth S, Aromaa M, et al.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associated with the quality of mother-father-child triadic interaction. Scandinavian Journal of Psychology. 2016;57(4):305-312. http://dx.doi.org/10.1111/sjop.12294 

  19. Alio AP, Lewis CA, Scarborough K, Harris K, Fiscella K. A community perspective on the role of fathers during pregnancy: a qualitative study. BMC Pregnancy and Childbirth. 2013;13:60. http://dx.doi.org/10.1186/1471-2393-13-60 

  20. Peterson BD, Newton CR, Rosen KH. Examining congruence between partners' perceived infertility-related stress and its relationship to marital adjustment and depression in infertile couples. Family Process. 2003;42(1):59-70. http://dx.doi.org/10.1111/j.1545-5300.2003.00059.x 

  21. Kenny DA. Models of non-independence in dyadic research.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 Relationships. 1996;13(2):279-294. http://dx.doi.org/10.1177/0265407596132007 

  22. Fahey JO, Shenassa E. Understanding and meeting the needs of women in the postpartum period: the perinatal maternal health promotion model. Journal of Midwifery & Women's Health. 2013;58(6):613-621. http://dx.doi.org/10.1111/jmwh.12139 

  23. Henriksen RE, Thuen F. Marital quality and stress in pregnancy predict the risk of infectious disease in the offspring: the Norwegian mother and child cohort study. PLoS One. 2015;10(9):e0137304. http://dx.doi.org/10.1371/journal.pone.0137304 

  24. Ayotte BJ, Margrett JA, Patrick JH. Dyadic analysis of self-efficacy and perceived support: the relationship of individual and spousal characteristics with physical activity among middle-aged and young-older adults. Psychology and Aging. 2013;28(2):555-563. http://dx.doi.org/10.1037/a0032454 

  25. Kim YM, Park HS.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pouse support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the breast cancer patient with mastectomy. Asian Oncology Nursing. 2014;14(4):203-211. http://dx.doi.org/10.5388/aon.2014.14.4.203 

  26. Kelley HH, Thibaut JW. Interpersonal relations: a theory of interdependence. New York, NY: WIiley; 1978. p. 25. 

  27. Benyamini Y, Ashery L, Shiloh S. Involving husbands in their wives' health behavior: Does it work? Health and Well-Being. 2011;3(1):66-86. http://dx.doi.org/10.1111/j.1758-0854.2010.01041.x 

  28. Kiecolt-Glaser JK, Newton TL. Marriage and health: his and hers. Psychological Bulletin. 2001;127(4):472-503. http://dx.doi.org/10.1037/0033-2909.127.4.472 

  29. Ko SJ, Shin SH. Effects of dementia knowledge, self-efficacy and depression on dementia preventive behavior in elderly couples: dyadic data analysis.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2013;43(2):276-286. http://dx.doi.org/10.4040/jkan.2013.43.2.276 

  30. Hair JF, Black WC, Babin B, Anderson RE, Tatham RL. Multivariate data analysis. 6th ed. Upper Saddle River, NU: Pearson Prentice Hall; 2006. p. 217. 

  31. Sherer M, Maddux JE, Mercandante B, Prentice-Dunn S, Jacobs B, Rogers RW. The self-efficacy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Psychological Reports. 1982;51(2):663-671. http://dx.doi.org/10.2466/pr0.1982.51.2.663 

  32. Spanier GB. Measuring dyadic adjustment: new scales for assessing the quality of marriage and similar dyad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1976;38(1):15-28. http://dx.doi.org/10.2307/350547 

  33. Choi SI. Revision dyadic adjustment scale: reliability and validity (Ko Hwang Thesis No.35, 97-114) [eoul: Graduate School, Kyung Hee University; 2004. p. 24. 

  34. Cohen S, Hoberman HM. Positive events and social supports as buffers of life change stres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1983;13(2):99-125. http://dx.doi.org/10.1111/j.1559-1816.1983.tb02325.x 

  35. Walker SN, Sechrist KR, Pender NJ. The health-promoting lifestyle profile: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characteristics. Nursing Research. 1987;36(2):76-81. http://dx.doi.org/10.1097/00006199-198703000-0000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