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단순가공 패류의 수산물의 가공 공정 중 미생물학적 및 이화학적 위해요소 분석
Microbiological and Physicochemical Hazard Analysis in Processing Process of Simple-Processed Shellfish Products 원문보기

한국수산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v.50 no.4, 2017년, pp.352 - 358  

권기언 (부경대학교 식품공학과) ,  류대규 (부경대학교 식품공학과) ,  정민철 (부경대학교 식품공학과) ,  강은혜 (부경대학교 식품공학과) ,  신일식 (강릉원주대학교 해양식품공학과) ,  김영목 (부경대학교 식품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assess physicochemical and microbiological hazards involved during the processing of shellfish products such as oysters, clam, and mussels. Samples including raw materials, intermediates, and final products in the processing process were collected from seven simple-pr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단순가공 패류 수산물의 종류별 및 가공 유형별 식품위생안전성 확보를 위해 원료에서부터 최종 완제품 가공 공정 전반에 걸쳐 일반세균수, 대장균군, 식중독 세균, 중금속 이물 등의 미생물학적ㆍ이화학적 위해요소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주요 패류 가공품인 굴, 바지락 및 진주담치 가공업체 7곳을 방문하고 각 가공 공정별 시료, 가공용수 및 환경 분석 시료를 채취하였으며, 각 공정별로 식품위해요소를 분석하 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 패류 중 생산 및 유통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은 굴, 바지락 및 진주담치의 3종을 대상으로 이들 패류가공공장에서 가공 공정 중 시료를 채취하였다(MOF, 2016). 이러한 패류 수산물의 안전한 생산을 위한 패류가공공장의 미생물학적 위해요소의 기초 자료 확보를 위해 패류 수산물의 가공 공정 중의 미생물학적 위해요소들에 대해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패류의 서식지와 이동성, 먹이섭취 방식은? 1%를 차지하고 있다(MOF, 2016). 패류는 연안의 육상과 인접한 곳에서 서식하며 이동성이 거의 없고 여과섭이를 통해 먹이를 섭취한다. 이로 인해 하천 등의 배수 유역에서 유입되는 오염물질의 영향을 받기 쉬우며, 해수 중에 부유하는 세균들을 체내에 쉽게 축적하게 된다(Grimes, 1991; Feldhusen, 2000).
갯벌에서 양식하는 바지락의 검출율이 수하식으로 양식하는 굴보다 검출율이 높은 이유는? 5%)이 V. parahaemolyticus의 검출율이 높다고 보고하였으며, 이는 바지락과 진주담치가 양식되는 환경적 특성에 의해 미생물학적 오염도가 높은 것이 주된 원인 중의 하나로 판단된다. 이상의 냉장, 냉동 및 자숙 패류 등의 단순 패류 가공제품 생산을 위한 가공 공정 중의 미생물학적 위해요소 분석 결과, 공통적으로 탈각 공정에서 다소 일반세균수, 대장균군 및 대장 균이 증가하였다.
가열 조리 과정을 거치지 않은 오염된 패류의 섭취는 어떠한 이유로 식중독 발병의 원인이 될 수 있는가? 1%를 차지하고 있다(MOF, 2016). 패류는 연안의 육상과 인접한 곳에서 서식하며 이동성이 거의 없고 여과섭이를 통해 먹이를 섭취한다. 이로 인해 하천 등의 배수 유역에서 유입되는 오염물질의 영향을 받기 쉬우며, 해수 중에 부유하는 세균들을 체내에 쉽게 축적하게 된다(Grimes, 1991; Feldhusen, 2000). 또한 기후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잦은 폭우와 태풍 등에 인한 다량의 강우로 패류생산해역에 분변계 오염 물질이 대량으로 유입 되어 병원성 세균 및 바이러스에 의해 쉽게 오염될 수 있다(Park et al., 2011; Park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APHA). 2001. Compendium of methods for the microbiological examination of foods (4th Ed),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Washington DC, U.S.A., 26-35. 

  2. Bae HJ, Lee Jh and Oh SI. 2003. Effect of applying pretreatment methods before cooking for decreasing the microbiological hazard of cooked dried fish in foodservice establishments.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9, 231-240. 

  3. Bae HJ. 2006. Analysis of contamination of bacteria from raw materials, utensils and workers' hands to prepared foods in foodservice operations. Korean Soc Food Sci Nutr 35, 655-660. https://doi.org/10.3746/jkfn.2006.35.5.655. 

  4. Cho SK, Moon BY and Park JH. 2009. Microbial contamination analysis to assess the safety of marketplace shshi. Korean J Food Scl Technol. 41, 334-338. 

  5. Choi JD, Jeong WG and Kim PH. 1998. Bacteriological study of sea water and oyster in Charan bay, Korea. J Korean Fish Soc 31, 429-436. 

  6. Emswiler BS, MD Pierson and SP Shoemaker. 1976. Sublethal heat stress of Vibrio parahaemolyticus. Appl Environ Microbiol 32, 792-798. 

  7. Feldhusen F. 2000. The role of seafood in bacterial foodborne disease. Microbes Infect 2, 1651-1660. 

  8.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FAO). 2016. The state of world fisheries and aquaculture 2016. FAO, 171-182. Retrieved from http://www.fao.org/publications/sofia/2016/en/?platform on Jun 2, 2017. 

  9. Grimes DJ. 1991. Ecology of estuarine bacteria capable of causing human disease: A review. Estuaries 14, 345-360. https://doi.org/10.2307/1352260. 

  10. Kang KT, Kim MJ, Park SY, Choi JD, Heu MS and Kim JS. 2016. Risk assessment of oyster crassostrea gigas processing site for an HACCP system model. Korean J Fish Aquat Sci 49, 533-540. http://dx.doi.org/10.5657/KFAS.2016.0533. 

  11. Kim HY, Choi JK and Shin IS. 2015. Bactericidal effects of hypochlorous acid water against Vibrio parahaemolyticus contaminated on raw fish and shellfish. Korean J Fish Aquat Sci 47, 719-724. http://dx.doi.org/10.9721/KJFST.2015.47.6.719. 

  12. Kim JH, Im CW, Kim PJ and Park JH. 2003. Heavy metals in shellfishes around the south coast of Korea. J Food Hyg Saf 18, 125-132. 

  13. Kim YM and Lee TS. 2016. International status of sanitary controls system in marine shellfish growing area. Safe Food 11, 37-49. 

  14. Park K, Jo MR, Lee HJ, Kwon JY, Son KT and Lee TS. 2011. Evaluation of the effect of the discharged water from Bong stream after events on the bacteriological water quality in Gangjinman, Korea. Korean J Fish Aquat Sci 44, 622-629. http://dx.doi.org/10.5657/KFAS.2011.0622. 

  15. Park K, Jo MR, Kim YK, Lee HJ, Kwon JY, Son KT and Lee TS. 2012. Evaluation of the effects of the inland pollution sources after rainfall events on the bacteriological water quality in Narodo area, Korea. Korean J Fish Aquat Sci 45, 414-422. http://dx.doi.org/10.5657/KFAS.2012.0414. 

  16. Son KT, Thea Lach, Jung Y, Kang SK, Eom SH, Lee DS, Lee MS and Kim YM. 2014. Food hazard analysis during driedlaver processing. Fish Aquat Sci 17, 197-201. https://doi.org/10.5657/fas.2014.0197. 

  17. Song KC, Lee DS, Shim KB, Lim CW, Mog JS, Byun HS, Park YJ and Cho KC. 2008. Evaluation of bacteriological safety for the shellfish growing waters in Taean area, Korea. Korean J Fish Aquat Sci 41, 155-162. http://dx.doi.org/10.5657/kfas.2008.41.3.155. 

  18. Statistics Korea. 2017. Seafood Consumption, The Fishery Production Statistics. Retrieverd from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317 on Jun 3, 2017. 

  19.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FDS). 2016a. Korean Food Standards Codex. Retrieved from http://www.foodsafetykorea.go.kr/foodcode/01_01.jsp on Jun 17, 2017. 

  20.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FDS). 2016b. Principle and application for establishing food standards. The Korean Governmental Publication Registration, Cheongju, Korea, 75-85. 

  21.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MOF). 2016. Statistical Yearbook of Fisheries Production. Retrieved from http://www.fips.go.kr/jsp/sf/ss/ss_kind_law_list.jsp?menuDepth070104 onJun 1, 2017. 

  22. UK Health Protection Agency. 2009. Guidelines for assessing the microbiological safety of ready-to-eat foods placed on the market. Health Protection Agency, London, UK 

  23. Yoo HD, Ha KS, Shim KB, Kang JY, Lee TS and Kim JH. 2010. Microbiological quality of the shellfish-growing waters and mussels in Changseon, Namhae, Korea. Korean J Fish Aquat Sci 43, 298-306. https://doi.org/10.5657/kfas.2010.43.4.298. 

  24. Yu HS, Oh EG, Shin SB, Park YS, Lee HJ, Kim JH and Song KC. 2014. Distribution and antimicrobial resistance of Vibrio parahaemolyticus isolated from Korean shellfish. Korean J Fish Aquat Sci 57, 508-515. http://dx.doi.org/10.5657/KFAS.2014.050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