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개인건강기록 (PHR)을 이용한 허약아 정보 수집 연구
Study on Weak Children Information Collection Using Personal Health Record (PHR) 원문보기

大韓韓方小兒科學會誌 = The journal of pediatrics of Korean medicine, v.31 no.3, 2017년, pp.46 - 63  

이승호 (한국한의학연구원 미병연구단) ,  김안나 (한국한의학연구원 미병연구단) ,  장현철 (한국한의학연구원 미병연구단) ,  정민정 (우석대학교 한의학대학 한방소아과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Korean Medicine (KM) PHR platform is a personalized healthcare service which allows individuals to keep and manage their own health records. When parents are reporting for their children from their memories, there is high possibility of recall errors. In these cases, it could be usef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만 3세~5세의 어린이집에 등록된 아동을 대상으로 하여, 아동의 주 양육자와 보육교사로부터 양방향으로 아동의 개인건강기록을 수집함으로써, 소아 특유의 특성을 반영한 한의 PHR 플랫폼의 실제 활용에 있어 개선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뿐만 아니라 허약아 설문 문항을 반영한 한의 PHR 플랫폼을 이용하여 아동의 개인건강기록을 수집하여, 허약아의 특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 만 3세~5세의 어린이집에 등록된 아동을 대상으로 하여, 아동의 주 양육자와 보육교사로부터 양방향으로 아동의 개인건강기록을 수집함으로써, 소아 특유의 특성을 반영한 한의 PHR 플랫폼의 실제 활용에 있어 개선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뿐만 아니라 허약아 설문 문항을 반영한 한의 PHR 플랫폼을 이용하여 아동의 개인건강기록을 수집하여, 허약아의 특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우석대학교부속한방병원 기관생명윤리위원회의 승인을 거친 후 진행되었다 (WSOH IRB 1604-03).
  • 상기 기준으로 분류한 허약아와 건강아 간의 신체 검진 및 진찰에서 차이가 나타나는지 분석해보았다. 차이를 보일 것이라 예상된 성별, 재태기간, 출생 시 체중, 출생 시 모성의 나이, 모유수유기간, 최근 양약 복용 일수를 비롯한 다양한 정보를 수집, 분석하였으나 뚜렷한 차이를 보이는 항목은 없었다 (Table 5).
  • 따라서 소아의 경우 일상생활에서의 정보의 수집이 더욱 필요하며, 변증을 위한 한의학 의료 정보 특성을 반영한 PHR의 개발과 그 활용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한방소아과영역 중에서도 소아미병군을 대상으로 한의 PHR 플랫폼을 활용하여 개인건강기록을 수집하여 임상적 의미를 확보해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허약아는 건강아에 비하여 ‘건강상의 이유로 조퇴 및 결석’이 잦고, 허약아 문항으로 조사된 ‘총 허약점수’가 높을 것이라는 가설 하에 분석을 진행하였다.
  • 허약아는 건강아에 비하여 ‘건강상의 이유로 조퇴 및 결석’이 잦고, 허약아 문항으로 조사된 ‘총 허약점수’가 높을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개인건강기록은 무엇인가? 개인건강기록 (PHR, Personal Health Record)은 1978년부터 사용되기 시작하여 Personally Controlled Health Record 등 다양한 용어와 혼재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그 중 The Healthcare Information and Management System Society (HIMMS)에서 발표한 정의를 참고하면, ‘개인이 본인이나 가족의 일생 동안 모든 건강 정보에 대해서 안전하게 보관하면서 관리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도구’이다1). PHR의 구축 유형은 종이 기반 (Paper-based PHR), 컴퓨터 기반 (PC-based PHR), 인터넷 기반 (Web-based PHR), 휴대장치 기반 (Handheld PHR)으로 나누거나, 또는 전자의무기록 (EMR, Electronic Medical Record)과의 공유방식에 따라 Stand-alone PHR, EMR-tethered PHR, Interconnected PHR의 세 종류로 구분되기도 한다2).
PHR의 구축 유형은 어떻게 구분되는가? 개인건강기록 (PHR, Personal Health Record)은 1978년부터 사용되기 시작하여 Personally Controlled Health Record 등 다양한 용어와 혼재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그 중 The Healthcare Information and Management System Society (HIMMS)에서 발표한 정의를 참고하면, ‘개인이 본인이나 가족의 일생 동안 모든 건강 정보에 대해서 안전하게 보관하면서 관리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도구’이다1). PHR의 구축 유형은 종이 기반 (Paper-based PHR), 컴퓨터 기반 (PC-based PHR), 인터넷 기반 (Web-based PHR), 휴대장치 기반 (Handheld PHR)으로 나누거나, 또는 전자의무기록 (EMR, Electronic Medical Record)과의 공유방식에 따라 Stand-alone PHR, EMR-tethered PHR, Interconnected PHR의 세 종류로 구분되기도 한다2). PHR은 건강정보기술 (HIT: Health Information Technology)과 건강 및 웰빙에 대한 소비자 참여의 교차점이라고 할 수 있으며 예방의학이나 현대의 질병을 위한 의료 섭생 (medical regimens)의 유용성을 장려함으로써 높은 건강관리 비용, 예방 가능한 질병의 만연 및 의료서비스의 품질 향상 등과 같은 건강관리위기의 해결책으로 주목을 받고 있어1), 최근 관련 산업분야가 활성화 되고 있으며2), 관련 논문들이 발표되고 있다3-8).
한방소아과 영역에서 PHR의 활용을 기대해볼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일차적으로는 성인의 건강기록을 목적으로 개발되었으나 한방소아과 영역에서 PHR의 활용을 기대해볼 수 있다. 소아의 경우 자기 보고가 힘든 문진의 특성상 보호자로부터 아동의 건강 정보를 수집하게 되는 경우가 많은데, 회상오류 등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또한 주 양육자가 아닌 보호자가 아동을 데리고 병원을 방문하는 경우도 많으며, 이런 경우 아동의 증상정보를 정확히 수집하는 데 어려운 점이 많다. 따라서 소아의 경우 일상생활에서의 정보의 수집이 더욱 필요하며, 변증을 위한 한의학 의료 정보 특성을 반영한 PHR의 개발과 그 활용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Miller HD, Yasnoff WA, Burde HA. Personal health records: the essential missing element in 21st century healthcare. J Healthc Inf Manag. 2009;47:166-7. 

  2. Heo Y, Yang JS, Park KH, Cha SJ, Choi DJ, Hwang KH. PD issue report: personal health record (PHR) service technology and industry trends. Korea Evaluation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2013;11(4):71, 91-4. 

  3. Jung EY, Jeong BH, Yoon ES, Kim DJ, Park YY, Park DK. Personalized diet and exercise management service based on PHR. J Kor Soc Comput Inf. 2012;17(9):113-25. 

  4. Baek EH, Lim SW, Kim HK, Rhee HS. The comparison of recognizing personal health record between healthcare students and medical students. J Digit Converg. 2012;10(10):373-82. 

  5. Seo JS, Kim AN, Kim SK, Jang HC. Study on daily living symptom record and utilization. J Physiol Pathol Korean Med. 2015;29(5):386-93. 

  6. Ko IS, Chang HJ. Development of exte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on the intention of using PHR. J Health Info Stat. 2013;38(1):26-38. 

  7. Seo JS, Kim AN, Kim SH, Lee SH, Nam BR, Lee MK, Jang HC. Study on Korean medicine personal health record platform. J Physiol Pathol Korean Med. 2016;30(6):458-65. 

  8. Yun YH, Ahn JH, Lee BR, Kim HH, Jung WM, Jang BH, Ko SG. The status of mobile personal health records of atopic dermatitis: an evaluation of features and functionality. Soc Prev Korean Med. 2015;19(2):103-12. 

  9. Kim BS, Lim JH, Lee MH, Yun YJ. Reliability study of the pattern identification questionnaire developed by Korean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J Kor Inst Orient Med Diagn. 2013;17(1):29-44. 

  10. Park KM, Park JH. A methodology for representation of clinical data in oriental medicine. Korean J Orient Physiol Pathol. 2002;16(5):845-50. 

  11. Jin HJ, Baek YH, Lee YS, Lee JC, Jin M, Kim SH. Network analysis of “Mibyung” research. Korean J Orient Physiol Pathol. 2012;26(4):546-50. 

  12. Yu TS, Kim YS, Bae JY, Kim DG. A literary investigation of weak children. J Korean Orient Med. 1990;4(1):67-78. 

  13. Jeong MJ, Lim JH, Hwang BM, Yun YJ, Kim KB. Set the cut off values for diagnosing heart weak children; by using K-CBCL total behavior problems score. J Pediatr Korean Med. 2010;24(3):58-67. 

  14. Kim MJ, Lee SH, Lee JY. A study on sleep habits of weak children groups. J Pediatr Korean Med. 2015;29(4):1-11. 

  15. Lee HL, Han JK, Kim YH. A study on comparison between growth indices of weak children groups via analyzing bone age and body composition. J Pediatr Korean Med. 2014;28(2):1-22. 

  16. Lee HL, Han JK, Kim YH. The characters of autonomic nervous system in heart weak children through analysis of heart rate variability. J Pediatr Korean Med. 2013;27(3):1-11. 

  17. Park YJ, Yoon JY, Myoung SM. The relationships between allergy and weakness in children in Seong-Dong district. J Pediatr Korean Med. 2010;24(2):112-25. 

  18. Son MJ, Han JK, Kim YH. Oriental medical research about school life maladjustment by study of the weak children symptoms. J Pediatr Korean Med. 2009;23(3):55-69. 

  19. Gok SY, Lyu SA, Lee SY. The correlation study between interference test with the weak children (虛弱兒) symptoms. J Pediatr Korean Med. 2009;23(3):71-88. 

  20. Lee H, Lee JY, Kim DG. Clinical study on weak children. J Pediatr Korean Med. 2000;14(1):127-36. 

  21. Shin JN, Shin YG. An observation of the chief complint and a weak child of pediatric outpatients. J Pediatr Korean Med. 2000;14(2):149-68. 

  22. Kim DG, Kim YS, Jeong GM. A clinical study on feeble children. J Pediatr Korean Med. 1989;3(1):79-83. 

  23. Ajunews. [Uptated 2016 Nov; cited 2017 Jul 10]. Available from: http://www.ajunews.com/view/20161101091003497 

  24. Mjmedi. [Uptated 2016 Feb; cited 2017 Jul 10]. Available from: http://www.mjmedi.com/news/article-View.html?idxno30603 

  25. Lee WJ. Development of integrated health care model for childcare center. Gachon University. 2015. 

  26. Zhou YY, Leith WM, Li H, Tom JO. Personal health record use for children and health care utilization: propensity score-matched cohort analysis. J Am Med Inform Assoc. 2015;22(4):748-54. 

  27. Korean academy of pediatric allergy and respiratory disease. Pediatric allergy immunology pulmonology 2nd ed. Seoul: Yeomungak. 2013:15. 

  28. Kim GB, Kim DG, Kim YH, Kim JH. Oriental medicine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Vol 2. Seoul: Uiseongdang. 2015:208. 

  29. Hong WS. Jeong-gyohwangjenaegyeongsomun. Seoul: Traditional culture research society. 1992:146. 

  30. Kim JW, Ji GY, Kim KC, Lee IS, Eun JW, Kim KK, Lee YT. Inquiry on post surgery induced consumption in Hyungsang medicine view. Korean J Orient Physiol Pathol. 2008;22(5):1035-4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