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옴가열이 전분의 Pasting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Ohmic Heating on Pasting Property of Starche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30 no.4, 2017년, pp.689 - 695  

차윤환 (숭의여자대학교 식품영양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hmic heating is an internal heating method based on the principle that when an electrical current passes through food, electric resistance heat is uniformly generated internally by food resistance. Previous studies indicate that the thermal properties, external structure, internal structure, and s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RVA 내부 교반기의 교반 속도는 처음 10초간은 960 rpm으로 강하게 교반하였고, 그 후는 160 rpm으로 일정하게 유지를 시켰다. RVA 측정을 통해 얻어진 RVA viscogram에서 pasting temperature(PT), paste viscosity(PV), hot paste viscosity (HPV), cold paste viscosity(CPV), breakdown viscosity(PV-HPV) 및 setback viscosity(CPV-HPV)를 구하였다(Fig. 2).
  • Rapid visco-analyzer(RVA-4, Newport Scientific Pty Ltd, Australia)를 사용하여 가열처리한 전분의 pasting 특성을 측정하였다. 가열 처리한 전분 분말에 증류수를 넣어 전분현탁액(7.
  • 옴가열과 재래가열 처리 온도는 감자전분(55, 60, 65℃), 밀전분(45, 50, 55℃), 옥수수전분(45, 55, 60, 65℃), 그리고 고구마 전분(45, 55, 65, 70℃) 모두 각각 다르게 가열 처리하였다. 가열 처리시간은 12, 24, 72 h 동안 처리하였다.
  • 감자, 밀, 옥수수, 고구마 전분의 annealing 온도에서 옴가열과 재래가열 처리에 의한 RVA 특성 차이를 비교하였다. 감자(55℃), 밀(50℃), 옥수수(60℃), 고구마(65℃)로 72 h 처리한 시료의 RVA 값을 서로 비교하였다. A형 전분인 밀전분, 옥수수전분의 아밀로펙틴 사슬은 23~29개의 포도당으로 구성되어 있어, B형과 C형 전분에 비해 더 단단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 감자, 밀, 옥수수, 고구마 전분의 annealing 온도에서 옴가열과 재래가열 처리에 의한 RVA 특성 차이를 비교하였다. 감자(55℃), 밀(50℃), 옥수수(60℃), 고구마(65℃)로 72 h 처리한 시료의 RVA 값을 서로 비교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가열 처리한 전분의 pasting 특성을 RVA로 측정하였다. 결과적으로 옴가열 한 전분은 가열 온도가 증가할수록 PV(Paste Viscosity)가 현저히 감소하고, PT(PastingTemperature)는 증가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옴가열 처리한 감자, 밀, 옥수수, 고구마 전분의 pasting 특성을 측정하여 재래 가열한 전분과 비교하였다. 이 실험을 통해 옴가열이 전분의 pasting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정확히 판단하였다, 이런 옴가열에 의한 전분의 pasting특성 변화는 향후 옴가열 처리 전분의 실제 사용 가능성을 가늠하게 할 수 있는 중요한 정보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 설정 온도 이상으로 옴가열 온도가 올라갈 경우, 전압을 자동으로 차단하기 위한 온도 조절 장치는 전원 on/off 스위치(HiMC22, Hyundai industrial Co., Korea)와 T형 온도계가 부착되어 있는 온도 조절기 (DX9, Hanyoung Co., Korea)로 구성하였다. 옴가열 중 처리조의 온도(℃)와 처리 전압(V)과 전류(A)값은 data logger (Hydra 2625A, Fluke Co.
  • 옴가열 장치를 기본으로 재래가열 장치를 만들었다. 처리조의 구조는 동일하게 하였으나, 냉각수는 흐르지 않게 하였고, 드라이오븐 안에서 가열 처리하여 드라이오븐의 설정 온도로 가열 처리 온도가 유지되도록 하였다.
  • 옴가열 처리를 위해 사용된 처리조는 내경이 100 mm인 유리실린더로 용량이 1 L 정도 되도록 가공한 후 외부에 jacket을 설치하여 냉각수를 흘릴 수 있도록 고안하였다. 옴가열 처리시 냉각수를 계속 흐르게 하여 옴가열에 의해 온도가 과도하게 상승하는 것을 막고,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게 하였다. 옴가열에 사용한 전압은 상용 전압인 220 V를 슬라이닥스(DLC5K300, Dae-lim Co.
  • 옴가열과 재래가열 처리 온도는 감자전분(55, 60, 65℃), 밀전분(45, 50, 55℃), 옥수수전분(45, 55, 60, 65℃), 그리고 고구마 전분(45, 55, 65, 70℃) 모두 각각 다르게 가열 처리하였다. 가열 처리시간은 12, 24, 72 h 동안 처리하였다.
  • 옴가열 장치를 기본으로 재래가열 장치를 만들었다. 처리조의 구조는 동일하게 하였으나, 냉각수는 흐르지 않게 하였고, 드라이오븐 안에서 가열 처리하여 드라이오븐의 설정 온도로 가열 처리 온도가 유지되도록 하였다

대상 데이터

  • 실험에 사용된 전분으로 20%(w/v) 전분 현탁액을 NaCl 용액(0.1%)을 혼합하여 만들었다. 전분현탁액을 만들 경우, 소량의 NaCl을 첨가하지 않으면 옴가열 처리 시 전류의 흐름이 제한된다.
  • 실험에 사용한 감자 전분(Junsei, Japan), 밀 전분과 옥수수전분(Sigma, USA), 고구마 전분(Wako, Japan)은 모두 시약급 이상을 사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체 식품의 경우 옴가열의 장점은? 옴가열(ohmic heating)은 교류 혹은 직류 전기를 이용한 가열법으로 전류가 전도체인 식품을 흐르면서 발생하는 내부저항을 이용하는 가열법으로(de Alwis & Fryer 1992) 식품의 발열이 내부에서부터 시작되고, 유입되는 전류량의 조절을 통해 온도 상승 정도를 쉽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고체 식품의 경우, 급속․균열가열이 가능하여 옴가열을 이용한 고품질의 제품생산이 가능하다(Rahman MS 1999). 고형분 식품과 액체 식품이 혼합되어 있는 경우 옴가열 시 고형분과 액체가 동시에 가열되어 효율적인 가열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Zareifard 등 2003).
옴가열이란 무엇인가? 옴가열(ohmic heating)은 교류 혹은 직류 전기를 이용한 가열법으로 전류가 전도체인 식품을 흐르면서 발생하는 내부저항을 이용하는 가열법으로(de Alwis & Fryer 1992) 식품의 발열이 내부에서부터 시작되고, 유입되는 전류량의 조절을 통해 온도 상승 정도를 쉽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고체 식품의 경우, 급속․균열가열이 가능하여 옴가열을 이용한 고품질의 제품생산이 가능하다(Rahman MS 1999).
옴가열 장치를 기본으로 만든 재래가열 장치의 구조는? 옴가열 장치를 기본으로 재래가열 장치를 만들었다. 처리조의 구조는 동일하게 하였으나, 냉각수는 흐르지 않게 하였고, 드라이오븐 안에서 가열 처리하여 드라이오븐의 설정 온도로 가열 처리 온도가 유지되도록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Cha YH. 2011. Effect of ohmic heating on characteristics of heating denaturation of soybean protein. Korean J Food & Nutr 24:740-745 

  2. Cha YH. 2012. Effect of ohmic heating at subgelatinization temperatures on thermal-property of potato starch. Korean J Food & Nutr 25:1068-1074 

  3. Cha YH. 2014. Effect of ohmic heating on thermal and water holding property of starches. Korean J Food & Nutr 27:112-119 

  4. Cha YH. 2015. Effect of ohmic heating on external and internal structure of starches. Korean J Food & Nutr 28:126-133 

  5. de Alwis AAP, Fryer PJ. 1992. Operability of the ohmic heating process: Electrical conductivity effects. J Food Eng 15:21-48 

  6. Jaspreet S, Owen JM, Harjinder S. 2006. Physico-chemical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New Zealand Taewa (Maori potato) starches. Carbohydr Polym 64:569-581 

  7. Kim JS, Pyun YR. 1995. Extraction of soybean milk using ohmic heating. Kor Soybean Digest 12:33-38 

  8. Rahman MS. 1999. Handbook of Food Preservation. pp.1-10, 521-532. Dekker. Inc. 

  9. Rastogi NK, Eshtiaghi, MN, Knorr D. 1999. Accelerated mass transfer during osmotic dehydration of high intensity electrical field pulse pretreated carrots. J Food Sci 64:1020-1023 

  10. Ravi R, Manohar RS, Rao PH. 1999. Use of rapid visco analyzer (RVA) for measuring the pasting characteristics of wheat flour as influenced by additives. J Sci Food Agric 79:1571-1576 

  11. Wang YJ, Wang L. 2003.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ommon and waxy corn starches oxidized by different levels of sodium hypochlorite. Carbohydr Polym 52:207-217 

  12. Zareifard MR, Ramaswamy HS, Trigui M, Marcotte M. 2003. Ohmic heating behavior and electrical conductivity of twophase food systems. Food Sci Emerg Technol 4:45-5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