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옴가열이 전분의 외부와 내부 구조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Ohmic Heating on External and Internal Structure of Starche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8 no.1, 2015년, pp.126 - 133  

차윤환 (숭의여자대학교 식품영양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hmic heating uses electric resistance heat which occurs equally and rapidly inside food when the electrical current is transmitted into. Prior to the study, we have researched the potato starch's thermal property changes during ohmic heating. Comparing with conventional heating, the gelatinizatio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X-선 회절분석을 통해 호화점이 낮고 전분의 크기가 큰 감자 전분의 내부 구조 변화와 팽윤력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이런 비교 관찰을 통해 옴가열이 전분의 외부와 내부 구조에 주는 변화를 밝히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옴가열이란 무엇인가? 옴가열(ohmic heating)은 전기를 이용하는 가열 방법으로, 전류가 전류저항체인 식품을 통과하는 과정 중 내부 저항에 의해 발생하는 저항열을 이용하는 가열법(de Alwis & Fryer 1992)으로, 식품의 내부 전기 저항에 의해 식품의 내부부터 열이 발생하고, 전류량의 조절을 통해 내부 온도 상승의 조절이 가능하다. 고체 식품을 옴가열할 경우, 급속가열과 균열가 열이 가능하여 고품질의 제품 생산이 가능하며(Rahman MS 1999), 또한 액체와 고체 혼합물의 경우에는 액체와 고체를 동시에 가열할 수 있기 때문에 고품질의 살균 제품을 생산하 는데 이용할 수 있다(Zareifard 등 2003).
55℃에서 감자 전분을 옴가열한 경우, 감자 전분의 외부 구조 변화는? 호화점이 65℃인 감자 전분을 55℃에서 재래가열 처리할 경우, 감자 전분의 외부 구조에는 큰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으나, 옴가열한 경우는 작은 전분 입자가 일부 파괴되었고, 이들 입자가 여러 개 엉켜 붙어 덩어리를 이루거나, 큰 입자 주위에 작은 입자들이 붙어 있는 형태가 관찰되었다. 60℃에서 옴처리한 감자 전분은 전분 입자가 터져서 내부에 있던 성분 들은 빠져나가고 껍데기만 있는 전분의 외부 구조 변화가 관찰되었다.
전분은 무엇으로 구성되어 있는가? 화학적으로 전분은 많은 수의 포도당이 α-D-(1,4)와 α-D-(1,6) 결합으로 결합되어 있는 고분자․다당류로서 아밀로 오스(amylose)와 아밀로펙틴(amylopectin)으로 구성되어 있다.아밀로오스는 전분의 15%에서 20% 정도를 차지하며, 간단하게 표현하기 위해 직쇄상이라 표현하나, 실제로는 나선형 구조를 나타내는 경우가 많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Biliaderis CG, Grant DR, Vose JR. 1981. Structural characterization of legume starches. II. studies on acid-treated starches. Cereal Chem 58:502-507 

  2. Boltz KW, Thompson DB. 1999. Initial heating temperature and native lipid affects ordering of amylose during cooling of high-amylose starches. Cereal Chem 76:204-212 

  3. Cha YH. 2011. Effect of ohmic heating on characteristics of heating denaturation of soybean protein. Korean J Food & Nutr 24:740-745 

  4. Cha YH. 2012. Effect of ohmic heating at subgelatinization temperatures on thermal-property of potato starch. Korean J Food & Nutr 25:1068-1074 

  5. Cha YH. 2014. Effect of ohmic heating on thermal and water holding property of starches. Korean J Food & Nutr 27: 112-119 

  6. Cura JA, Jansson PE, Krisman CR. 1995. Amylose is not strictly liners. Starch/Starke 47:207-209 

  7. de Alwis AAP, Fryer PJ. 1992. Operability of the ohmic heating process: electrical conductivity effects. J Food Eng 15:21-48 

  8. Eerlingen RC, Jacobs H, Block K, Delcour JA. 1997. Effect of hydrothermal treatments on the rheological properties of potato starch. Carbohydrate Res 297:347-256 

  9. Fenenema OR. 1985. Food Chemistry. pp.23-67. New York: Marcel Dekker. 

  10. Hung PV, Morita N. 2005.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hydroxypropylated and cross-linked starches from A-type and B-type wheat starch granules. Carbohydr Polym 59:239-246 

  11. Jenkins PJ, Donld AM. 1997. Breakdown of crystal structure in potato starch during gelatinization. J Appl Polymer Sci 66: 225-232. 

  12. Kim JS, Pyun YR. 1995. Extraction of soybean milk using ohmic heating. Kor Soybean Digest 12:33-38 

  13. Rahman MS. 1999. Handbook of Food Preservation. pp.1-10, 521-532. Dekker. Inc. 

  14. Rastogi NK, Eshtiaghi MN, Knorr D. 1999. Accelerated mass transfer during osmotic dehydration of high intensity electrical field pulse pretreated carrots. J Food Sci 64:1020-1023 

  15. Sajilata MG, Singhal RS, Kulkarni PR. 2006. Resistant starch - a review. Comprehensive Reviews in Food Science and Food Safety 5:1-17 

  16. Swinkels JJM. 1985. Composition and properties of commercial native starches. Starch/Staerke 37:1-5 

  17. Tester RF, Debon SJJ, Karkalas J. 1998. Annealing of wheat starch. J Cereal Sci 28:259-272 

  18. Thomas DJ, Atwell WA. 1999. Starches. pp.1-11. Eagan Press 

  19. Waduge RN, Hoover R, Vasanthan T, Gao J, Li J. 2006. Effect of annealing on the structure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barley starches of varying amylose content. Food Res Intern 39:59-77 

  20. Wu HC, Sarko A. 1978. The double helical molecular structure of crystalline amylose. Carbohydr Res 61:7-25 

  21. Zareifard MR, Ramaswamy HS, Trigui M, Marcotte M. 2003. Ohmic heating behavior and electrical conductivity of twophase food systems. Food Sci Emerg Technol 4:45-5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