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연안암반대수층의 해수침투경향성 파악을 위한 전기전도도 시계열 분석과 예측
Time Series Analysis and Forecasting of Electrical Conductivity in Coastal Aquifers 원문보기

자원환경지질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50 no.4, 2017년, pp.267 - 276  

주정웅 ((주)지오그린21) ,  여인욱 (전남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전라남도는 연안지역은 농업활동과 상수도의 미보급으로 인하여 지하수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지하수의 과다사용은 지하수위 저하를 일으키며 그로 인한 해수침투가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따라서 지하수 사용에 따른 해수침투 관리가 매우 필요한 지역이다. 전라남도 무안군의 연안암반대수층에서 측정된 EC 자료를 이용하여 해안가 대수층에 적합한 시계열 모형을 구축하고, 해수침투의 지표인 EC를 예측하고자 시계열 분석을 수행하였다. 1년 이상 측정한 EC 시계열 자료는 짧은 주기적인 변동과 함께 추세적으로 증가하는 비정상 시계열의 특성을 보였다. 시계열 분석을 통해 시계열 모형 식별 결과 ARIMA 모형과 계절적인 요인을 고려 할 수 있는 SARIMA 모형 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두 모형 적용한 결과, EC의 주기적인 변동으로 인해 ARIMA보다는 EC 자료의 변동 특성을 잘 반영한 SARIMA 모형이 예측에 있어서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이 시계열 분석은 암반 대수층에서 해수침투로 인한 EC의 변화를 예측하는데 있어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eawater intrusion into coastal fractured rock aquifer, resulting in groundwater contamination, is of serious concern in coastal areas of Jeolla Namdo, Korea, which heavily depends on groundwater resources. Time series analysis and forecasting were carried out to analyze and predict EC which is a m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전라남도 무안군의 해안가 암반 대수층에서 측정한 전기전도도(EC: electrical conductivity)자료를 이용하여 시계열 분석을 통해 암반대수층에서의 해수침투 특성을 분석하고, 해당지역 연안대수층에 적합한 시계열 모형(time series model)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이 시계열 모형을 이용하여 해수침투의 지표인 전기전도도의 변동특성을 예측하고자 하였다.
  • 해수침투의 영향을 받고 있는 연안 대수층의 경우 지하수의 염수화로 인해 지하수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해수침투가 진행 중인 전남 무안 지역의 연안 암반 대수층에서 관측된 EC 자료를 이용하여 시계열 모형을 구축하고, 해수침투와 연관된 지표인 EC의 변동을 예측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전라남도 무안군의 해안가 암반 대수층에서 측정한 전기전도도(EC: electrical conductivity)자료를 이용하여 시계열 분석을 통해 암반대수층에서의 해수침투 특성을 분석하고, 해당지역 연안대수층에 적합한 시계열 모형(time series model)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이 시계열 모형을 이용하여 해수침투의 지표인 전기전도도의 변동특성을 예측하고자 하였다. 연안지역 지하수의 전기전도도 자료는 특정한 주기를 가지거나 계절적인 요인에 의해 주기적으로 변동하는 특성과 지속적인 해수침투에 의해 추세적인 변동특성을 보인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연안대수층의 염수화가 일어나는 원인은 무엇인가? , 1999). 이러한 연안대수층의 염수화는 연안지역에서 지하수의 과다양수로 인해 해수가 연안대수층으로 침투하여 발생한다. 최근 들어 국내 해안지역 및 도서지역에서는 과다 지하수양수에 의한 해수 침투로 인해 지하수 장애가 발생하고 있다.
제주도에서 해수 침투로 인해 지하수 장애가 일어나는 현황은 어떠한가? , 2003). 제주도의 경우 해수침투로 인해 지하수와 해수의 경계가 최대 8 km까지 내륙으로 들어오면서 인근 지역의 지하수 장애를 일으키고 있다(Kim et al.,2006).
연안대수층란? 연안대수층은 연안지역에서 지하수를 공급해주는 주요 공급원 이지만, 해수 침투로 인해 그 사용에 있어 제약을 받고 있다(Bear et al., 199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Bear, J., Cheng, A.H.-D., Soreek, S., Quazar, D. and Herrera, I. (1999) Seawater intrusion in coastal aquifersconcepts, methods, and practices. Kluwer Academic Publishers, p.625. 

  2. Bierkens, M.E.P., Knotters, M. and van Geer, F.C. (1999) Calibration of transfer function-noise models to sparsely or irregularly observed time series. Water Resource Research, v.35, p.1741-1750. 

  3. Box, G.E.P. and Jenkins, G.M. (1976) Time series analysis forecasting and control. Wiley, 579p. 

  4. Brockwell, P.J. and Davis, R.A. (2002) Introduction to time series and forcasting. 2nd(ed.), Springer, New York, 434p. 

  5. Cho, S.S., Son, Y.S. and Sung, B.C. (2002) Time series analysis using SAS/ETS 4th(ed.). Youlgok Press, 430p. 

  6. Durbin, J. (1960) The fitting of time-series models. Review of the International Statistical Institute, v.28, p.233-244. 

  7. Harvey, A.C. (1989) Forecasting, structural time series models and the Kalman filter. Cambridge Univ. Press, 554p. 

  8. Han, K.J. (2015) Prediction and time series analysis using SPSS. Baeksan Press, 568p. 

  9. Heo, M.H. (2005) Time series analysis and missing value analysis. SPSS, 49p. 

  10. Kim, H.J. and Yeo, I.W. (2014) Development of the autoregressive and cross-regressive model for groundwater level prediction at Muan costal aquifer in Korea,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v.19, p.23-30. 

  11. Kim, J.H., Lee, J.H., Cheong, T.J., Kim, R.H., Koh, D.C., Ryu, J.S. and Chang, H.W. (2005) Use of the time series analysis for the identification of tidal effect on groundwater in the coastal area of Kimje, Korea. Journal of Hydrology, v.300, p.188-198. 

  12. Kim, J.H., Yum, B.W., Kim, R.H., Koh, D.C., Cheong, T.J., Lee, J. and Chang, H.W. (2003) Application of cluster analysis for the hydrogeochemical factors of saline groundwater in Kimje, Korea, Geosciences Journal, v.7, p.313-322. 

  13. Kim, K.Y., Seoung, H.J., Kim, T.H., Park, K.H., Woo, N.C., Park, Y.S., Koh, G.W. and Park W.B. (2006) Tidal effects on variations of fresh saltwater interface and groundwater flow in multilayered coastal aquifer on a volcanic island (Jeju island, Korea). Journal of Hydrology, v.330, p.525-542. 

  14. Kim, Y.H. (2002) Time series prediction. Hyoungseol Press, 447p. 

  15. Knotters, M. and van Walsum, P.E.V. (1997) Estimating fluctuation quantities from time series of water-table depth using models with a stochastic component. Journal of Hydrology, v.197, p.25-46. 

  16. Lee, J.G. (2017) R program recipes for time series data analysis. Slow & Steady Press, 472p. 

  17. Lee, J.Y. and Lee, K.K. (2000) Use of hydrologic time series data for identification of recharge mechanism in a fractured bedrock aquifer system. Journal of Hydrology, v.229, p.190-201. 

  18. Lee, J.Y. and Lee, K.K. (2002) A comparative study on characteristics of water level responses to rainfall in the two aquifer systems.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v.7, p.3-14. 

  19. Lee, S.I., Lee, S.K. and Hamm, S.Y. (2009) A model For groundwater time-series from the well field of riverbank filtration,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42, p.673-680. 

  20. Park, H.Y., Jang, K.Y., Ju, J.W., and Yeo, I.W. (2012) Hydrogeological characterization of seawater intrusion in tidally-forced coastal fractured bedrock aquifer. Journal of Hydrology, v.446-447, p.77-89. 

  21. Salas, J.D. and Obeysekera, J.T.B. (1982) ARMA model identification of hydrological time series. Water Resource Research, v.29, p.2011-202. 

  22. Shumway, R.H. and Stoffer, D.S. (2011) Time series analysis and its applications. Springer, New York, 596p. 

  23. Wei, W.W.S. (2005) Time series analysis: univariate and multivariate methods. 2nd(ed.), Addison Wesley, New York, 614p. 

  24. Yi, M.J., Kim, G.B., Shon, Y.C., Lee, J.Y. and Lee, K.K. (2004) Time series analysis of groundwater level data obtained from national groundwater monitoring stations.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tey of Korea, v.40, p.305-329. 

  25. Yi, M.J. and Lee, K.K. (2004) Transfer function-noise modeling of irregularly observed groundwater heads using precipitation data. Journal of Hydrology, v.288, p.272-28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