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직 라인 관측시스템을 이용한 제주 동부 해안대수층에서 해수침투 모니터링 평가
Saltwater Intrusion Monitoring Evaluation through Automatic Vertical Line Method in a Costal Aquifer of the Eastern Part of Jeju Island 원문보기

지하수토양환경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v.26 no.3, 2021년, pp.1 - 13  

장호준 (씨앤에치아앤씨) ,  하규철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환경연구본부) ,  황인욱 (씨앤에치아앤씨) ,  김기표 (제주특별자치도) ,  박원배 (제주연구원 지하수연구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roundwater monitoring is commonly practiced with real-time sensors placed in several depth spots in aquifer. However, this method only provides monitoring data at the point where the sensors are installed.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vertical line monitoring system (VLMS) that can provide continu...

주제어

표/그림 (1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지하수의 수직적 수질분포를 연속적으로 관측하기 위해 범용 수질 센서를 자동으로 상하 운동할 수 있도록 수직 라인(line) 관측시스템을 개발하고, 이를 제주 동부 해안대수층에 적용하였다. 그리고, 지하수의 수직적 수질 관측을 통해 해안 지역 지하 수위와 수질변동, 해수면 변동과의 연관성, 그리고, 담 염수 경계면 또는 혼합대가 시기별로 어떻게 달라지는 지를 규명해보고자 하였다.
  • 그러나, 이러한 물리검층 방법이 장기간 현장에서 운영하기 위해서는 손데를 연속적으로 구동하고, 실시간적으로 관측 자료를 송수신하여 장기간 동안 운영할 수 있는 시스템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지하수의 수직적 수질분포를 연속적으로 관측하기 위해 범용 수질 센서를 자동으로 상하 운동할 수 있도록 수직 라인(line) 관측시스템을 개발하고, 이를 제주 동부 해안대수층에 적용하였다. 그리고, 지하수의 수직적 수질 관측을 통해 해안 지역 지하 수위와 수질변동, 해수면 변동과의 연관성, 그리고, 담 염수 경계면 또는 혼합대가 시기별로 어떻게 달라지는 지를 규명해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Chang, S.W., 2014, A review of recent research into coastal groundwater problems and associated case studies, J. Eng. Geol., 24(4), 597-608. 

  2. Freeze, R.A. and Cherry, J.A., 1979, Groundwater, Prentice-Hall, Inc., Englewood Cliffs, NJ, 604p. 

  3. Hwang, S., Shin, J., Park, I.H., and Park, G.-H., 2007, Assessment of seawater intrusion using geophysical well logging in eastern coasts, Jeju, Proceedings of the 6th Jeju-KIGAM Joint Workshop,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Jeju City, 3-33. 

  4. Lee, B.J., Park, K., Koo, M.-H., Koh, G.W., and Park, Y.S., 2006, Hydraulic diffusivity and possibility of conduit-flow of groundwater in eastern part of Jeju island, J. Geol. Soc. Korea, 42(3), 439-454. 

  5. Kim, K.-H., Shin, J.-Y, Koh, E.-H., Koh, G.-W., and Lee, K.-K. 2009, Sea level rise around Jeju island due to global warming and movement of groundwater/seawater interface in the eastern part of Jeju island, J. Soil Groundw. Environ., 14(3), 68-79. 

  6. Kim, K.-Y., Shim, B.-O., Park, K.-H., Kim, T.-H, Seong, H.-J, Park, Y.-S., Koh, G.-W., and Woo, N.-C., 2005, Analysis of hydraulic gradient at coastal aquifers in eastern part of Jeju island, Econ. Environ. Geol., 38(1), p.79-89. 

  7. Koh, C.-S., Yoon, S.-H., Hwang, S., and Shin, J., 2020, Origin and characteristics of glassy breccias from the boreholes in the Woljeong-Haengwon area of northeastern Jeju Island, Korea, J. Geol. Soc. Korea, 56(1), 17-29. 

  8. MAFRA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KRC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2019, Annual report on the Seawater Intrusion Monitoring Network in Korea (2019), 724p. 

  9. MCT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KAIA (Korea Agency for Infrastructure Technology Advancement), 2020, Prediction technique development of fresh/salt water interface of Eastern Jeju Island, Korea, Final Report of Land, Transport, and Infrastructure Technology for Regional Specialization, 201p. 

  10. ME (Ministry of Environment), K-water, 2018, Complementary Basic Groundwater Survey of Jeju Island, 220p. 

  11. NIMS (National Institute of Meteorological Sciences), 2018, Climate change of 100 years in Korean Peninsula, 31p. 

  12. Park, N., Koh, B.-R., and Lim, Y., 2013, Impacts of fresh and saline groundwater development in Sungsan watershed, Jeju Island, J. Korea Water Resour. Assoc., 46(7), 783-794. 

  13. Park, Y.S., Koh, G.W., Kang, B.-R., and Park, W.B., 2002, Jeju saltwater intrusion monitoring network establishment in 2001 - Songdang-ri, Gujwa-eup, Northern Jeju County, Proceedings of the Academic Seminar on the 10th Jeju World Water Forum, "Jeju Water, the property of the people of the Province",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Jeju City, 73-1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