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재난 취약계층을 위한 GPS 기반 Self Triage 앱 개발
Development of GPS based Self Triage App for Disaster Vulnerable Populations 원문보기

기본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24 no.3, 2017년, pp.230 - 242  

박주영 (건양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elf triage application for rescue requests by disaster vulnerable populations. Literature was reviewed in order to define application trends and needs. Methods: Development of the self triage application was conducted in six stages as a hybrid mo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앱 화면과 기능의 구성에 있어서 시각에 의존하는 청각장애인 및 국내거주 외국인의 특성을 고려하여 앱 화면은 글자도 있으면서 아이콘을 함께 사용하도록 구성하고 긴급 연락처는 단순히 1개가 아닌 3개 이상 긴급연락을 설정 할 수 있는 기능이며, 재난상황에서의 의사소통방법은 도움요청을 할수 있는 긴급한 알람 소리를 이용하되 빛과 함께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의사소통의 어려움으로 인한 구조요청이 안 되는 문제점 해결에 기여 가능하리라 생각된다. 실제 본 연구에서 개발 된 앱의 사용자들은 통역의 도움 없이 가족에게 스스로 연락할 수 있다는 것만으로도 만족을 표현하였으며, 사용성 평가에서 특히 점수가 낮게 나온 영역은 대상자 중 3명이 65세 이상이었던 점을 감안할 때 수용성에 크게 제한되지 않는다고 여겨진다.
  • 또한 실제앱이 개발 되더라도 개발과정에서 체계성을 얻지 못하다고 평가하고 있어 연구로써 그 가치를 인정받지 못하고 있는 한계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재난 취약계층 중 높은 비율을 차지하면서도 언어적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겪는 청각장애인과 국내거주 외국인을 대상으로, 체계적 개발과정을 통하여 GPS 기반의 Self Triage App을 개발하여 대규모 재난발생시 적극적 대응에 기여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선행 연구를 통해 간호학에서의 앱 개발 현황을 분석하고 앱 개발 방향을 제안하여 앱을 개발하고 평가를 시행하였으며, 재난대응 상황시 취약계층 스스로 적극적인 구조요청을 할 수 있어 생존률 감소에도 크게 기여할 것이다.
  • 본 연구는 청각장애인 및 국내거주 외국인 등 언어적 의사소통이 어려운 취약계층을 위한 GPS 기반 재난 취약계층 대상 Self Triage App을 개발하기 위한 방법론적인 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는 대량 재난상황 발생 시 효과적인 의사를 전달할 수 있는 Triage Light 기능이 포함 된 GPS 기반의 Self TriageApp을 개발함으로써 청각장애인 및 국내거주 외국인 등의 재난 취약계층을 위한 특화된 재난안전 체계 구축에 기여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앱 개발방향 및 요구 사항 정의의 근거를 마련하기 위하여 간호학에서의 앱 개발 관련 문헌 19편을 분석하였다. 검색된 19편의 문헌 분석결과 자가관리, 교육, 건강증진,의사소통의 4개 영역 중심으로 앱 개발을 시행하였으나 재난대응과 구조 등과 관련된 영역을 포괄적으로 포함한 재난 영역의 연구는 한편도 없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재난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부족하다는 한계점을 인지하고 특히 언어적 의사소통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대상자를 위하여 정보기술을 활용한 적극적인 대응 시스템의 기초를 마련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앱 개발은 분석, 설계, 개발, 구현, 평가, 수정의 단계를 거쳐진행하였으며 이를 위주로 논의하고자 한다.
  • 다기관 상호협력을 위한 모바일 앱 활용에 대한 연구[21]에서는 재난 안전으로 부터 선제적 대응을 위하여 앱 역할을 강조하면서 개인 대응절차를 강조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재난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부족하다는 한계점을 인지하고 특히 언어적 의사소통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대상자를 위하여 정보기술을 활용한 적극적인 대응 시스템의 기초를 마련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앱 개발은 분석, 설계, 개발, 구현, 평가, 수정의 단계를 거쳐진행하였으며 이를 위주로 논의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메인 화면에서 실제 재난 상황에서 사용자가 자신의 상황을 알리기 위해 2가지의 어떤 신호를 발생하는가? 재난 시에는 메인화면을 사용하게 되며 메인화면의 디자인에서는 스스로 Triage를 하게 되므로 2가지 경우의 신호를 발생한다. 빨간색의 “도와주세요!”와초록색의 “걸을 수 있어요!”이며 외국인의 경우도 사용할 수 있도록 영문 화면을 지원한다. 실제 작동할 때의 화면은 언어선택 화면에서 선택한 언어에 따라 한글과 영어 두 가지 화면으로 표시된다.
재난 현장에서의 처치는 무엇으로 나누어지는가? 한편 국외연구에 의하면 Shan 등[11]은 지진 재난 지역 정보 수집 연구에서 스마트폰의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기능을 이용하여 지진 재해 데이터를 수집함으로써 재난 구조에 효과적 도움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실제 재난 현장에서의 처치는 구조, 환자분류, 초기 응급처치 및 후송으로 나눠지며 현장에서의 신속성과 효율성에 의해 생존이 결정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사상자구조와 이들의 중증도 분류(triage) 시행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재난약자의 범위는 어떻게 되는가? ‘재난약자(vulnerable people to disasters)’란 일반적으로 신체적 약자를 의미하며 시각장애인, 청각장애인 등을 포함하여 마찬가지로 방문 지역의 지리에 익숙하지 않은 여행자나 재해 정보 관련 커뮤니케이션이 원만하지 못한 국내거주 외국인과 같은 정보약자도 포함된다[4]. 2015년 말 장애인 등록현황에 따르면 전체 장애인은 249만 명으로 그 중 청각장애인 비율은 시각장애인, 뇌병변 비율과 마찬가지로 25만 명으로 전체의 10%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Kim TH, Yoon JH, Jeong WC, Kim DH, Ryu JN, Jeon HJ, et al. Establishment of capacity analysis method and risk register for local safety management. Development Research Phase Report. Sejong: Korea Environment Institute; 2015 November. Report No.: 11-1750140-000107-14. 

  2. Korea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Some amend ments to the basic act on disaster and safety management [Internet]. Sejong: Korea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2016 [cited 2017 January 20]. Available from: http://www.lawmaking.go.kr/lmSts/nsmLmSts/out/detailR?lawb_seq2000898 

  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Disaster emergency medical emergency response manual. Manual report.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6 January. Report No.: 11-1352000-001556-14. 

  4. Lee HS. A study on the emergency relief design with consideration for weak person of disaster [dissertation]. Chungju: Konkuk University; 2014. p. 29-30. 

  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tatus of handicapped person registration at the end of 2015 [Internet].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6[cited 2017 January 20]. Available from: http://www.mohw.go.kr/front_new/policy/policy_bd_vw.jsp?PAR_MENU_ID06&MENU_ID06370501&CONT_SEQ334667&page1 

  6. Korea Immigration Service. Immigration and foreign policy statistical monthly report 2016 March and November [Internet]. Sejong: Korea Immigration Service; 2016 [cited 2017 January 20]. Available from: http://www.immigration.go.kr/HP/COM/bbs_003/BoardList.do?strNbodCdnoti0097&strRtnURLIMM_6070&strOrgGbnCd104000&strThisPage1&strAllOrgYnN 

  7. Kim SW, Nor SM, Kim HS, Lee SY, Lee KM. Development of disaster comprehensive disaster crisis management manual. Primary report. Seoul, Korea Disabled people's Development Institute, 2016 November. Report No.: ISBN 978-89-6921-226-993330 

  8.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Incheon strategy to "Make the Right Real"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Asia and the Pacific. Manual report.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3 January. 

  9. Jeong YS. An efficient IoT healthcare service management model of location tracking sensor.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2016;14(3):261-267. https://doi.org/10.14400/JDC.2016.14.3.261 

  10. Park J. Design and evaluation of real-time patient location control system in emergency case using GPS [master's thesis]. Seoul: Yonsei University; 2007. p. 1-41. 

  11. Shan W, Feng, J, Chang J, Yang F, Li Z. Collecting earthquake disaster area information using smart phone. In Proceedings of the 2012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ystem Science and Engineering; 2012 June 30-July 2; Dalian, China: 310-314. 

  12. Fraunhofer Institute for Applied Information Techn FIT. Better first response medical care during catastrophes. Fraunhofer-Gesellschaft Research News. 2013 December: 13-14. 

  13. Jeon JH.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smartphone application for self-care performance of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 B [dissertation]. Seoul: Chung-Ang University; 2015. p. 1-178. 

  14. Shin DH, Kim YM. Activation strategies of the disaster public-app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Contents Association. 2014;14(11):644-656. https://doi.org/10.5392/JKCA.2014.14.11.644 

  15. Brooke J. SUS - A quick and dirty usability scale. Usability Evaluation in Industry. 1996;189(194):4-7. 

  16. Jin M.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health care smart phone application evaluation tool [master's thesis].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4. p. 31-36. 

  17. Bertini E, Gabrielli S, Kimani S. Appropriating and assessing heuristics for mobile computing. From Conference on Advanced Visual Interfaces; 2006 May 23-26; University of Rome. Venezia: Advancing Computing as a Science & Profession 2006. p. 119-126. 

  18. Inostroza R, Rusu C, Roncagliolo S, Rusu V, Collazos CA. Developing SMASH: A set of smartphone's usability heuristics. Computer Standards & Interfaces. 2016;43(1):40-52. https://doi.org/10.1016/j.csi.2015.08.007 

  19. Sauro J, Dumas JS. Comparison of three one-question, posttask usability questionnaires. From Conference on Human Factors in Computing Systems; 2009 April 4-9; Boston, Massachusetts: Advancing Computing as a Science & Profession; 2009. p. 1599-1608. 

  20. Doll WJ, Torkzadeh G. The measurement of end-user computing satisfaction. MIS Quarterly, 1998;12(2):259-274. 

  21. Lee MS. Mobile app utilization for multi-institutional cooperation in the event of disaster [master's thesis]. Seoul: Dongguk University; 2016. p. 1-89. 

  22. Noh SH. Development of app-based self care program for kidney transplantation patients [master's thesis]. Daegu: Keimyung University; 2016. p. 1-71. 

  23. Lee JY. Development and testing of postpartum care mobile app for primiparous mother [master's thesis]. Daegu: Keimyung University; 2016. p. 1-65. 

  24. Park JH, Han SH, Park, JH, Park WK, Kim HK, Hong SW. Comparison of usability evaluation methods for mobile application. Ergonomic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Proceedings. 2012;5:154-157. 

  25. Kang HN.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hypertension management mobile system based on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master's thesis].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4. p. 1-125. 

  26. Te'eni D, Carey JM, Zhang P. Human-computer interaction: Developing effective organizational information systems. Hoboken, NJ: John Wiley & Sons; 2005. 

  27. Park SW.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verification of infection prevention self-care app with focus on cancer patients who are receiving chemotherapy [master's thesis]. Daegu: Keimyung University; 2016. p. 1-91. 

  28. Park JE. Development of m-health application for relapse prevention of alcohol use disorder [dissertation]. Daegu: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2016. p. 1-51. 

  29. Shan W, Feng J, Chang J, Yang F, Li Z. Collecting earthquake disaster area information using smart phone. Paper presented at: International Conference of System Science and Engineering; 2012 June 30-July 2; Liaoning. China. 

  30. Kwon BT, Kim TW. Development of civil defense evacuation app to secure national security. Paper presented at: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2012 November 16; Seoul Dongbu Securities Center. Seoul.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