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between performance and requirements of visiting nursing care in long-term care insurance using the OMAHA system. Methods: The subjects were 72 nurses who had worked in a visiting nursing care center in long-term care insurance. Data were collected from December 5, 2016 to January 31, 2017 using self-recorded questionnair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paired t-tests. Results: Four dimensions of the OMAHA system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erformance and requirements of visiting nursing care in long-term care insurance. The requirements of visiting nursing care were higher than was performance on all 40 items of the OMAHA system. The greatest difference was in environmental domain and then the psychosocial domain.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we found that the environmental and psychosocial domains were the largest gap areas. Therefore, with the reality of elderly people living alone and the increase in elderly couples, active intervention connected with the community is needed in residential areas. Further, we suggest that the OMAHA system can be utilized as an integrated conceptual framework for developing and enhancing visiting nursing care in long-term care insurance.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노인장기요양보험 | 노인장기요양보험은 무엇인가 ? |
노인장기요양보험은 65세 이상 노인 중 6개월 이상 혼자 일상생활이 불가능하거나 노인성 질환 등으로 진단받은 경우, 잔존 능력의 정도에 따라 등급을 판정하여 일정한 금액 내에서 가사지원, 인지재활, 건강관리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사회적 보험 제도이다
고령화에 따른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의 일환으로 2008년 우리나라 제 5대 사회보험으로 노인장기요양보험이 출범하였다. 노인장기요양보험은 65세 이상 노인 중 6개월 이상 혼자 일상생활이 불가능하거나 노인성 질환 등으로 진단받은 경우, 잔존 능력의 정도에 따라 등급을 판정하여 일정한 금액 내에서 가사지원, 인지재활, 건강관리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사회적 보험 제도이다(Long-Term Care Insurance, 2017). |
장기요양급여 | 장기요양급여는 어떻게 나뉘는가 ? |
시설급여와 재가급여로 나뉘는데, 이 중 재가급여 영역은 방문간호, 방문 요양, 방문목욕, 주·야간보호 그리고 복지용구대여로 구성된다
노인장기요양보험에서 제공하는 장기요양급여는 시설급여와 재가급여로 나뉘는데, 이 중 재가급여 영역은 방문간호, 방문 요양, 방문목욕, 주·야간보호 그리고 복지용구대여로 구성된다(The National Low Information Center, 2016). 현재는 다가올 2018년 노인장기요양보험 10주년을 대비하여 제도 전반을 재정비하고 있으며, 이를 위하여 2016년 간호사가 대상자 요구를 파악하여 대상자의 필요도에 따라 방문간호와 방문요양, 방문목욕에 대한 케어플랜을 작성하고 이를 통합적으로 제공하도록 하는 1차 통합재가서비스 시범사업을 추진하였다. |
노인장기요양보험 방문간호의 범위 | 노인장기요양보험 방문간호의 범위의 한계는 ? |
표준장기요양이용계획서에 제시되어 있는 방문간호는 상당 부분 치료적 간호에만 국한되어 있어, 지역사회 거주 재가 노인을 대상으로 한 방문간호에서 필요로 하는 자가투약관리, 건강관리교육, 자가운동훈련, 가족 지지 및 상담과 같은 간호를 수행하기에는 제한점이 있다
현행 노인장기요양보험 방문간호의 범위는 기본간호, 건강관리, 신체기능관리, 인지기능, 영양관리, 배설관리, 질병관리 등 7개 영역으로 한정되어 있다(Long-Term Care Insurance,2017). 이와 같이 표준장기요양이용계획서에 제시되어 있는 방문간호는 상당 부분 치료적 간호에만 국한되어 있어, 지역사회 거주 재가 노인을 대상으로 한 방문간호에서 필요로 하는 자가투약관리, 건강관리교육, 자가운동훈련, 가족 지지 및 상담과 같은 간호를 수행하기에는 제한점이 있다(Lim, Kim,Choi, Lee, & Noh, 2012). 따라서 앞으로 노인장기요양보험 방문간호의 기능 강화와 역할 확대를 위해서는 대상자의 요구를 총체적으로 담아낼 수 있는 보다 체계적인 방문간호 제공틀이 마련되어야 한다(Song & Song, 2015). |
원문 PDF 다운로드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
"" 핵심어 질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