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장기요양보험 방문간호서비스 수행도와 필요도 : 오마하시스템 문제분류체계를 이용하여
Performance and Requirements of Visiting Nursing Care in Long-Term Care Insurance Using the OMAHA System 원문보기

가정간호학회지, v.24 no.2, 2017년, pp.181 - 188  

박선아 (수원대학교 간호학과) ,  임지영 (인하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between performance and requirements of visiting nursing care in long-term care insurance using the OMAHA system. Methods: The subjects were 72 nurses who had worked in a visiting nursing care center in long-term care insurance. Data were collected from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오마하시스템의 문제분류체계를 이용하여 노인장기요양보험 방문간호의 수행도와 필요도를 파악하고, 수행도와 필요도 간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함이고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오마하시스템의 문제분류체계를 이용하여 노인장기요양보험 방문간호의 수행도와 필요도를 파악함으로써 향후 노인장기요양보험 방문간호 제공틀 개발의 근거자료를 마련하고자 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 따라서 앞으로 노인장기요양보험 방문간호의 기능 강화와 역할 확대를 위해서는 대상자의 요구를 총체적으로 담아낼 수 있는 보다 체계적인 방문간호 제공틀이 마련되어야 한다(Song & Song, 2015).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오마하시스템의 문제분류체계를 이용하여 노인장기요양보험 방문간호의 수행도와 필요도를 파악함으로써 향후 노인장기요양보험 방문간호 제공틀 개발을 위한 근거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인장기요양보험은 무엇인가 ? 고령화에 따른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의 일환으로 2008년 우리나라 제 5대 사회보험으로 노인장기요양보험이 출범하였다. 노인장기요양보험은 65세 이상 노인 중 6개월 이상 혼자 일상생활이 불가능하거나 노인성 질환 등으로 진단받은 경우, 잔존 능력의 정도에 따라 등급을 판정하여 일정한 금액 내에서 가사지원, 인지재활, 건강관리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사회적 보험 제도이다(Long-Term Care Insurance, 2017).
장기요양급여는 어떻게 나뉘는가 ? 노인장기요양보험에서 제공하는 장기요양급여는 시설급여와 재가급여로 나뉘는데, 이 중 재가급여 영역은 방문간호, 방문 요양, 방문목욕, 주·야간보호 그리고 복지용구대여로 구성된다(The National Low Information Center, 2016). 현재는 다가올 2018년 노인장기요양보험 10주년을 대비하여 제도 전반을 재정비하고 있으며, 이를 위하여 2016년 간호사가 대상자 요구를 파악하여 대상자의 필요도에 따라 방문간호와 방문요양, 방문목욕에 대한 케어플랜을 작성하고 이를 통합적으로 제공하도록 하는 1차 통합재가서비스 시범사업을 추진하였다.
노인장기요양보험 방문간호의 범위의 한계는 ? 현행 노인장기요양보험 방문간호의 범위는 기본간호, 건강관리, 신체기능관리, 인지기능, 영양관리, 배설관리, 질병관리 등 7개 영역으로 한정되어 있다(Long-Term Care Insurance,2017). 이와 같이 표준장기요양이용계획서에 제시되어 있는 방문간호는 상당 부분 치료적 간호에만 국한되어 있어, 지역사회 거주 재가 노인을 대상으로 한 방문간호에서 필요로 하는 자가투약관리, 건강관리교육, 자가운동훈련, 가족 지지 및 상담과 같은 간호를 수행하기에는 제한점이 있다(Lim, Kim,Choi, Lee, & Noh, 2012). 따라서 앞으로 노인장기요양보험 방문간호의 기능 강화와 역할 확대를 위해서는 대상자의 요구를 총체적으로 담아낼 수 있는 보다 체계적인 방문간호 제공틀이 마련되어야 한다(Song & Song, 20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Burnes, D., Pillemer, K., Caccamise, P. L., Mason, A., Henderson, C. R., Berman, J., & Powell, M. (2015). Prevalence and risk factors for elder abuse and neglect in the community: A population-based study.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63(9), 1906-1912. 

  2. Byeon, D. H., & Hyun, H. J. (2013). Importance and performances of visiting nurse services provided under the long term care insurance system for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4(3), 332-345. 

  3. Cho, W. J., Yoo, I. Y., Chai, S. M., Ham, O. K., & Seo, K. M. (2002). Needs assessment of community health service using OMAHA system. Korean Journal of Nursing Query, 11(1), 168-190. 

  4. Faul, F., Erdfelder, E., Buchner, A., & Lang, A. G. (2009). Statistical power analyses using G*Power 3.1: Tests f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Behavior Research Methods, 41(4), 1149-1160. 

  5. Hong, H. S., Lee, I. K., Hong, S. J., & Kim, H. S. (2010). Developing a smart phone application for the OMAHA system guidelin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1(4), 512-521. 

  6. Kerr, M. J., Flaten, C., Honey, M. L., Gargantua-Aguila, S. D. R., Nahcivan, N. O., Martin, K. S., & Monsen, K. A. (2015). Feasibility of using the OMAHA system for community-level observations. Public Health Nursing, 33(3), 256-263. 

  7. Kim, D. S., & Hong, G. R. (2016). Sexuality and sexual life experience of community. dwelling older adult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18(3), 128-137. 

  8. Kim, J. N. (2006). Application of OMAHA system to community health nursing in Korea. Korean Society of Public Health Nursing Symposium. Dec. 106-112. Korean Society of Public Health Nursing press. 

  9. Kim, J. H., & Song, M. S. (2015). The health service performance frequency and educational needs among the visiting nurses of public health center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Home Care Nursing, 22(1), 22-37. 

  10. Kim, Y. J., & Im, M. Y. (2010).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elder abuse and suicide risk. The Korean Journal of Community Living Science, 21(3), 351-364. 

  11. Kreitzer, M. J., Monsen, K. A., Nandram, S., & de Blok, J. (2015). Buurtzorg Nederland: A global model of social innovation, change, and whole-systems healing. Global Advances in Health and Medicine, 4(1), 40-44. 

  12. Lee, H. Y., & Moon, Y. P. (2016). A delphi analysis of enhancement plans for long-term care insurance coverage. Korean Social Security Studies, 32(2), 219-243. 

  13. Lim, J. Y., Kim, E. J., Choi, K. W, Lee, J. S., & Noh, W. J. (2012). Analysis of barriers and activating factors of visiting nursing in long-term care insurance.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2(8), 283-299. 

  14. Long-Term Care Insurance. (2017. March). Long-term care insurance introduction. Retrieved March 3, 2017, from Long-Term Care Insurance Web site: http://www.longtermcare.or.kr/npbs/ 

  15. Martin, K. S. (2005). The OMAHA system: A key to practice. documentation, and information management (2nd ed.). St Louis: Elsevier Saunders. 

  16. Martin, K. S., & Scheet, N. J. (1992). The OMAHA system: Applications for community health nursing. Philadelphia: Saunders. 

  17. Melton, G. B., Westra, B. L., Raman, N., Monsen, K. A., Kerr, M. J., Hart, C. H., & Timm, J. E. (2010). Informing standard development and understanding user needs with OMAHA system signs and symptoms text entries in community-based care settings. Poster session presented at the American Medical Informatics Association Annual Symposium Publishing, Washington, DC. 

  18.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17, May). Long-term care service for the elderly. Retrieved March 5, 2017, from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Web site : http://www.nhis.or.kr/wbdy/ 

  19. Park, I. H., et al. (2016). Community health nursing (7th ed.), Seoul: Hyunmoonsa. 

  20. Statistics Korea. (2016, December). Life table. Retrieved March 3, 2017, from Statistics Korea Web site: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 

  21. Song, M. S., & Song, H. J. (2015). A study of the factors associated with home-based benefit recommendation of the standard utilization plan in long-term care insurance : Focusing on adequacy of standard utilization plan.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69, 31-49. 

  22. The National Low Information Center. (2016, December). Act on long-term care insurance for the aged. Retrieved March 3, 2017, from The National Low Information Center Web site: http://www.law.go.kr/ 

  23. Westra, B. L., Oancea, C., Savik, K., & Marek, K. D. (2010). The feasibility of integrating the OMAHA system data across home care agencies and vendors. Computer Informatics Nursing, 28(3), 162-171. 

  24. Won, Y. O., & Kwak, J. H. (2014).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among the cognition, satisfaction level of sex life and life satisfaction level of the elderly. Journal of Social Welfare Management, 1(1), 109-130. 

  25. Yoo, A. J., Lee., J. S., Han, E. J., & Nah, Y. G. (2016, December). Operation and evaluation of the first pilot project for benefits of long-term care insurance integrated assistance. Retrieved March 3, 2017, from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Web site: http://www.nhis.or.kr/ 

  26. Yoo, I. Y., Cho, W. J., Chae, S. M., & Kim, M. J. (2004). Community health service needs assessment in Korea using OMAHA classification system.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41(6), 697-702. 

  27. Yoo, S. H., & Kang, S. Y. (2003). A study on the maintenance and frequency of sexual activity among older married couples.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Institute, 20, 139-15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