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요양시설 노인의 사회적지지, 신체적 및 정신적 건강수준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공분산구조분석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Social Support, Physical and Mental Health Status on Quality of Life among the Elderly at Care Facilitie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8 no.8, 2017년, pp.210 - 220  

임영아 (충남대학교 대학원 보건학과) ,  조영채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요양시설 노인의 사회적지지(MOS-SSS), 신체적(ADL, IADL) 및 정신적(CES-D, MMSE-K) 건강수준이 삶의 질(WHOQOL-BREF)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 하고자 시도하였다. 조사대상은 D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15개소의 요양시설에 입소하고 있는 65세 이상 노인 52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5년 11월부터 2016년 1월까지의 기간 동안에 조사원이 조사대상 요양시설을 직접 방문하여 면접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삶의 질 평균 점수는 사회적지지 총점이 낮은 군일수록, ADL 및 IADL이 정상범위노인 군보다 기능장애노인 군에서, CES-D가 정상상태 군보다 우울상태 군에서, MMSE-K가 정상상태 군보다 인지기능장애 군에서 유의하게 낮았다. 조사대상자의 삶의 질은 사회적지지, 일상생활수행능력, 도구적 일상생활수행능력 및 인지기능장애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낸 반면, 우울과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공분산 구조분석 결과, 신체적 기능은 정신적 기능이나 사회적지지 보다 삶의 질에 더 큰 영향을 미쳤으며, 신체적 기능, 정신적 기능 및 사회적지지가 낮을수록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요양시설 노인의 삶의 질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신체적 기능의 향상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MOS-SSS), and physical (ADL, IADL) and mental (CES-D, MMSE-K) function on the quality of life (WHOQOL- BREF) among the elderly at care facilities. The survey respondents were 524 elderly aged 65 and older living in 15 care facilities located in 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요양시설 노인을 대상으로 삶의 질 수준을 파악해 보고, 공분산구조분석 모형을 이용하여 사회적지지, 신체적 및 정신적 건강수준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해 보고자 시도하였다.
  •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 노인에 대한 삶의 질 수준을 파악해 보고 사회적지지, 신체적 및 정신적 건강수준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해 보고자 시도하였다. 본연구에서 사용된 도구로써 삶의 질은 WHOQOLBREF[25]를 사용하였고, 사회적 지지는 Sherbourne과 Stewart[18]에 의해 개발된 MOS-SSS를 사용하였다.
  • 본 연구는 요양시설 노인의 사회적지지(MOS-SSS),신체적(ADL, IADL) 및 정신적(CES-D, MMSE-K) 건강수준이 삶의 질(WHOQOL-BREF)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 하고자 시도하였다. 조사대상은 D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15개 요양시설에 입소하고 있는 65세 이상 노인 52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 이 같은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의 의의는 노인집단을 대상으로 동일시점에서 사회적지지, 신체적 기능(ADL, IADL) 및 정신적 기능(CES-D, MMSE-K)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중 다변적인 분석을 통해 상대적 중요도를 밝히고자 한 것이다. 그 결과 노인들의 삶의 질은 신체적 기능과 정신적 기능뿐만 아니라 사회적 지지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인에게 사회적 지지는 어떤 역할을 하는가? 노인에서의 사회적 지지는 개인이 가족, 친구, 이웃 등과의 사회적 관계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정서적 위안,물질적 원조 및 서비스 등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건강상의 문제, 사회적 분리, 독립 등으로 문제된 무력감 등을 이해하고 해결하기 위한 요인이다[7]. 특히 노인에게 사회적 지지는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문제 등을 감소 또는 완화시키고, 생활 사건에 대처할 수 있게 함으로써 심리적 안정감을 갖게 하고 건강유지 및 증진과 삶의 스트레스를 경감시킴으로서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중대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8].
요양시설에서의 부적응이 노인의 삶의 질과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이유는? 이 같은 요양시설에 입소한 노인들은 생리적인 노화과정으로 건강의 약화와 신체적 · 정신적 기능의 저하로 어려움을 느끼게 되고 다른 사람의 도움을 필요로 하게 된다[2]. 요양시설에 입소한 대부분의 노인들q은 입소 초기에 스트레스와 두려움을 경험하게 되고 불안, 혼돈, 불면, 우울, 외로움, 수치감 등의 증상을 나타내며[3,4], 신체적 건강 악화, 독립성 상실 및 사회나가족과의 생활로부터의 소외로 인한 자존감 저하와 같은 부정적인 심리상태를 보이게 된다[5]. 이처럼 새로운 삶의 터전으로서의 요양시설에서의 부적응은 노인의 삶의 질과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게 된다.
노인에서의 삶의 질의 특징은? 노인에서의 삶의 질은 노인 개인의 건강과 연관되어 느끼는 주관적이고 다차원적인 개념이며 개인적 특성과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상태에서의 각 개인이 지각하는 주관적인 안녕상태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노인들의 긍정적인 노후생활을 위한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는 노인들 스스로 노화에 따른 기능변화과정에서 자신과 사회에 성공적으로 적응해 나아가야 하며, 여기에는 개인의 성격과 환경, 사회적지지 및 신체적, 정신적 건강상태가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Current situation of welf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2015. 

  2. Lee KJ, Park HS. A study on the perceived health status, depress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for the elderly in urban area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2(3):221-230, 2006. 

  3. Brooke V. Nursing home life: How elders adjust. Geriatr Nurs, 10(2): 66-68, 1989. DOI: https://doi.org/10.1016/S0197-4572(89)80054-0 

  4. Haight BK. Suicide risk in frail elderly people relocated to nursing homes: In general, elders who consider suicide are over 85 years old, want to retain control of their lives, and have a high degree of self-esteem. Geriatr Nurs, 16(3): 104-107, 1995. DOI: https://doi.org/10.1016/S0197-4572(05)80038-2 

  5. Nam JS. Factors influencing on depression of frail elderly with chronic disease in long-term care hospital. Graduated School of Inje University, Master's Thesis, 2012. 

  6. Magilvy JK. Quality of life hearing impaired older women. Nurs Res, 34(3):140-144, 1985. DOI: https://doi.org/10.1097/00006199-198505000-00003 

  7. Park JA. Depressive Symptoms and Its Association with Social Support, Family Support and Physical Function among the Community Elderlie. Graduated School of Chungnam University, Doctor's Thesis, 2009. 

  8. Sung MH, Lim YM, Joo KS.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Loneliness in Elderly Women Living Alone. Journal of the Korea Community Health Nursing Academic Society, 25(1): 95-106, 2011. 

  9. Hong SP. The Utilization of Rehabilitation Therapy by Functional Status Among Patients in Long-Term Care Facilities. Graduated School of Yonsei University, Doctor's Thesis, 2005. 

  10. Beswick AD, Rees K, Dieppe P, Ayis S, Gooberman-Hill R, Horwood J, Ebrahim S. Complex interventions to improve physical function and maintain in dependent living in elderly people :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The Lancet, 371(9614): 725-735, 2008. DOI: https://doi.org/10.1016/S0140-6736(08)60342-6 

  11. Baik OM. Factors associated with functional health outcomes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Applying andersen's revised model. Journal of the Korea Association of community welfare, 38: 1-27, 2011. 

  12. Kim HS. Park JY, Kwon IS, Cho YC. Quality of life and its association with physical and mental function in the elderly people affiliated with long-term care insurance service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1(10):3808-3819, 2010. DOI: https://doi.org/10.5762/KAIS.2010.11.10.3808 

  13. Brenda LP, John WW, James RB, Tracey H, Sophiya B. Systematic review: factors associated with risk for and possible prevention of cognitive decline in later life. Ann Intern Med, 153(3): 182-193, 2010. DOI: https://doi.org/10.7326/0003-4819-153-3-201008030-00258 

  14. Low G, Molzahn AE. Predictors of quality of life in old age: Across-validation study. Res Nurs Health, 30(2): 141-150, 2007. DOI: https://doi.org/10.1002/nur.20178 

  15. Kang LG. The effects of related factors on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6(5): 129-142, 2008. 

  16. Yang SO, Cho HR, Lee SH. A Comparative Study on Influencing Factors of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in Senior Center by Region : Focus on Urban and Rural Areas. Journal of the Korea Digital Convergence, 12(1): 501-510, 2014. DOI: https://doi.org/10.14400/JDPM.2014.12.1.501 

  17. Kim JI. Prediction of Quality of Life among the Elderly at C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according to Health States, Physical and Cognitive Functions, and Social Supports-Focused on D Metropolitan City.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6(7): 4656-4667, 2015. DOI: https://doi.org/10.5762/KAIS.2015.16.7.4656 

  18. Sherbourne D, Stewart AL. The MOS social support survey. Soc Sci Med, 32(6):705-714, 1991. DOI: https://doi.org/10.1016/0277-9536(91)90150-B 

  19. Lim MK, Kim MH, Shin YJ, et al. Social Support and Self-rated Health Status in a Low Income Neighborhood of Seoul, Korea. The Korean Society for Preventive Medicine, 36(1): 54-62, 2003. 

  20. Katz S. Studies of illness in the aged: the Index of ADL: A standardized measure of biological and psychosocial function. J Am Med Assoc, 185: 914-919, 1963. DOI: https://doi.org/10.1001/jama.1963.03060120024016 

  21. Pfeiffer E. Multidimensional functional assessment: the OARS methodology. A manual. Durham, North Carolina: Duke University, Center for the Study of Aging and Human Development, 1975. 

  22. Weissman MM, Locke BZ. Comparison of a self-report symptom rating scale(CES-D) with standardized depression rating scales in psychiatric populations. Am J Epidemiol, 102: 430-431, 1975. 

  23. Folstein MF, Folstein SE, McHugh PR. Mini-mental state: A practical method for grading the cognitive state of patients for the clinician. J Psychiatr Res, 12: 189-198, 1975. DOI: https://doi.org/10.1016/0022-3956(75)90026-6 

  24. Park JH, Kwon YC. Part I : Development of the test for the elderly Korean Version of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K).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28(1):125-131, 1989. 

  25. The WHOQOL Group. Development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QOL-BREF quality of life assessment. Psychol Med, 28: 551-558, 1998. DOI: https://doi.org/10.1017/S0033291798006667 

  26. Min SK, Lee CI, Kim KI, et al. Development of Korean version of WHO quality of life scale abbreviated version(WHOQOL-BREF).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39(3):571-579, 2000. 

  27. Lee GO. A Structural analysis of successful aging factors of rural elders. Graduated School of Seoul University, Doctor's Thesis, 2007. 

  28. Jung YM. Health Status and Associated Factors of Depression according to Depression in Elderly Women.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27(1): 71-86, 2007. 

  29. Jeon SN. Factors Relevant to Successful Aging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Ageism. Graduated School of Yonsei University, Doctor's Thesis, 2012. 

  30. Hu SH, Kim JD. Analysis of multi-level effectiveness on life satisfaction in old age at KLIPS 2006.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31(2): 407-418, 2011. 

  31. Bae NK, Song YS, Shin ES, CHO YC. Status of Physical and Mental Function and, Its Related Factors Among the Elderly People Using from Long-Term Care Insurance Service.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3(12): 5976-5985, 2012. DOI: https://doi.org/10.5762/KAIS.2012.13.12.5976 

  32. Kim SY, Kim JS, Youn HS. Predictors of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among family caregivers for demented elderly.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24(2): 111-112, 2004. 

  33. Lee IJ. Sex Differences in the Effects of Psychosocial Factors on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of Older Persons.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36: 159-180, 2007. 

  34. Kim YJ. Neighbourhood Environmental Factors Enhancing the Quality of Life among Urban Elderly Population : Focused on the Independent Living Ability and the Social Support. Graduated School of Seoul University, Doctor's Thesis, 2012. 

  35. Shin MW, Lee YO, Cho YC.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physical and mental function, and oral health impact profiles on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people in long-term care centers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7(4):500-511, 2016. DOI: https://doi.org/10.5762/KAIS.2016.17.4.500 

  36. Park JH. The influence of social support on senior quality of life : mediated effect of self-efficacy using SEM. Graduated School of Kangwon University, Doctor's Thesis, 2015. 

  37. Halvorsrud L, Kirkevold M, Diseth A, Kalfoss M.. Quality of life model: predictors of quality of life among sick older adults. Res Theory Nurs Pract, 24(4):241-259, 2010. DOI: https://doi.org/10.1891/1541-6577.24.4.241 

  38. OH J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n Quality of life in Older Adults with Osteoarthritis. Graduated School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Doctor's Thesis, 2013. 

  39. Kim SJ. Predicting model of quality of life in institutionalized elders with dementia. Graduated School of Chung-Ang University, Doctor's Thesis, 2009. 

  40. Kim YK. A study on the physical, social, and leisure-welfare factors in the quality of life for the aged. Graduated School of Seoul Christian University, Doctor's Thesis, 2012. 

  41. Nam SK, Shim OS. A study on the influence factors on quality of life of elderly with chronic disease.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53:239-259,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