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무인택배함의 최적입지 선정을 위한 방법론 개발
Developing an Optimal Location Selection Methodology of Unmanned Parcel Service Box 원문보기

韓國ITS學會 論文誌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v.16 no.4, 2017년, pp.13 - 24  

이향숙 (인천대학교 동북아물류대학원) ,  진무위 (인천대학교 동북아물류대학원) ,  추상호 (홍익대학교 도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무인택배함의 최적입지를 선정하기 위한 입지조건 정의, 설치개수 결정, 최적입지 선정의 과정을 순차적으로 결합한 방법론을 개발한다. 우선 입지조건으로는 블록화, 접근성, 지역 중심공공시설이 제시되며, 선정된 입지에 대해 set-covering모형과 p-median 모형을 적용하여 설치개수와 최적입지를 각각 결정한다. 이러한 과정을 실제 사례에 적용해봄으로써 모형의 타당성과 실효성을 검증해 본다. 일반주택과 다세대주택으로만 구성된 안산의 한 지역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필요한 무인택배함은 2개로 결정되었으며, 5개 후보지 중 가장 적절한 2개 장소가 최적입지로 제시되었다. 이러한 방법론은 무인택배함 설치시 최적의 결정을 내리기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며, 택배 관련 강력범죄 예방 및 택배이용 활성화를 통한 경제적 파급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presents a sequentially combined method of determining location conditions, the number of unmanned parcel service box and their optimal locations. First of all, block, accessibility and main public facilities are considered as location conditions and then set-covering model and p-median 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필요한 무인택배함 개수가 몇 개인지, 또 그것이 어디에 위치해야 하는지에 대한 판단근거가 명확하지 않다. 따라서 과학적인 방법에 기반을 둔 무인택배함 설치방안의 제시를 통해 시민들의 안전성과 편리성을 제고 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일반주택, 다세대주택을 위한 무인택배함의 필요성 인식을 바탕으로 p-median모형 등 다양한 수리적인 모형을 사용하여 최적의 입지를 선정하는 방법론을 개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나 다음과 같은 한계점 및 향후 과제를 남긴다.
  • 본 연구에서는 무인택배함의 입지조건 설정, 설치개수 결정, 최적입지 선정의 과정을 순차적으로 결합한 방법론을 제시하였으며, 사례 분석을 통해 실효성 있는 결과를 도출해 보았다. 일반주택과 다세대주택으로 구성된 안산의 한 지역을 대상으로 하여 무인택배함의 적정 설치개수를 찾고, 최적 입지를 선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무인택배함의 입지조건 설정, 설치개수 결정, 최적입지 선정의 과정을 순차적으로 결합한 방법론을 제시한다. 제시된 모형은 규범적 모형인 최적화 기법에 근거하였으며, 사례 분석을 통해 실효성 있는 결과를 도출해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일반주택, 다세대주택 밀집지역에 적합한 무인택배함입지 선정 방법에 대해 연구한다. 무인택배함은 고객들의 접근이 쉬워야 하며, 각각의 수요를 효과적으로 커버할수 있는 지점에 위치해야 한다.

가설 설정

  • Set-covering모형은 수요지와 공공시설 간에 최대 허용 거리를 미리 정해놓고, 그 조건을 만족시키는 범위 내에서 설치할 무인택배함의 개수를 최소로 하는 것이 목적이다. Toregas(1971)에 의하여 처음 제안된 시설입지모형은 서비스 가치는 최대 허용 거리 내에서는 거의 변화하지 않지만, 그 범위를 넘어서면 급격히 감소한다고 가정한다. 따라서 모든 시설 이용고객이 최대 허용거리 이내에서 서비스를 받도록 해야 한다.
  • 무인택배함의 개수, 즉 P값은 앞서 계산한 2개를 적용하도록 하며, 모든 이용자들은 가장 가까운 무인택배함 1개소를 이용한다고 가정한다.
  • 블록은 본 연구에서 개발한 방법론을 적용하는 분석단위이다. 블록의 크기에 따라 필요한 무인택배함의 개수는 다르게 설정될 것이다.
  • 편의점의 경우 250m의 거리제한을 두고 있다. 즉 편의점은 보통 250m간격으로 위치해있을 것이라고 가정하고 일반화하였으며, 무인택배함을 이용하기 위한 보행접근거리 역시 이와 유사한 수준일 것이라고 유추하였다. 따라서 서비스 범위는 이보다 조금 여유 있는 300m 설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접근성은 어떤 관점이 고려되어야 하는가? 접근성은 택배이용자와 택배회사의 관점에서 모두 고려되어야 한다. 이용자 관점에서는 도보로 접근 가능해야 하며, 집과 무인택배함 간 이동경로에 안전성, 편리성 등 쾌적한 도보환경이 확보되어야 한다.
무인택배함을 이용 활성화가 가능하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무인택배함은 동일 생활권에 주거하는 사람들이 많이 이용할 수 있도록 주거지역 내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반드시 도보를 통한 접근이 가능해야 하고, 안전한 이동이 가능해야 하며, 불필요한 시간 소모가 발생하지 않아야 이용 활성화가 가능하다. 따라서 횡단보도 통해 길을 건너야 할 경우 블록이 구분되도록 설정한다.
공공시설의 입지조건으로 거론되는 것은 무엇인가? 무인택배함 적정 위치를 선정하기 위해서는 명확한 기준을 설정해야 한다. 입지선정 관련 국내외 연구를 종합적으로 요약해보면 공공시설의 입지조건으로는 주로 접근성 및 교통의 편리성, 상가지역 및 지역의 중심지가 언급되었으며, 그 외 확장 가능한 부지와 주차공간, 자연환경 등이 거론되었다. 본 연구는 Han(2002)이 정의한 공공시설물 입지 조건을 토대로 무인택배함 입지선정 시 고려해야 할 조건을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자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shayeri J., Heuts R. and Tammel B.(2005), "A modified simple heuristic for the p-median problem, with facilities design applications," Robotics and Computer-Integrated Manufacturing, vol. 21, pp.451-464. 

  2. Avella P., Boccia M., Salerno S. and Vasilyev I.(2012), "An aggregation heuristic for large scale p-median problem," Computers & Operations Research, vol. 39, pp.1625-1632. 

  3. Berman O. and Drezner Z.(2008), "A new formulation for the conditional p-median and p-center problems," Operations Research Letters, vol. 36, pp.481-483. 

  4. Berman O. and Krass D.(2002), "The generalized maximal covering location problem," Computers & Operations Research, vol. 29, pp.563-581. 

  5. Canos M. J. Ivorra C. and Liern V.(2008), "Marginal analysis for the fuzzy p-median problem,"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al Research, vol. 191, pp.264-271. 

  6. Ceselli A. and Righini G.(2005), "A branch and price algorithm for the capacitated p-median problem," Networks, vol. 45, pp.125-142. 

  7. Chiyoshi F. Y., Galvao R. D. and Morabito R.(2003), "A note on solutions to the maximal expected covering location problem," Computers & Operations Research, vol. 30, pp.87-96. 

  8. Choe G. J.(2001), "Oil Tank Location Problem Solving with Mixed Integer Programming & GIS," KiSiT, vol. 19, pp.99-108. 

  9. Choi S. B.(2014), "Decision of p-Sports Shops Location Using p-Median Method," IKSSS, vol. 3, pp.855-863. 

  10. Davari S., Zarandi M. H. F. and Hemmati A.(2011), "Maximal covering location problem (MCLP) with fuzzy travel times," Expert Systems with Applications, vol. 38, pp.14535-14541. 

  11. Dell'Amico M., Hajicostantinou E., Iori M. and Novellani, S.(2014), "The bike sharing rebalancing problem: mathematical formulations and benchmark instances," Omega, vol. 45, pp.7-19. 

  12. Galvao R. D., Espejo L. G. A. and Boffey B.(2002), "A hierarchical model for the location of perinatal facilities in the municipality of Rio de Janeiro,"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al Research, vol. 138, pp.495-517. 

  13. Gim J. G.(2013), "Development of a Lagrangian Heuristic for Solving Regional Coverage Problem," KCA, vol. 13, pp.143-153. 

  14. Go J. H.(2012), "Locating Electric Taxi Battery Exchange Stations Using P-median Models in Seoul," RISS, vol. 2012, pp.657-662. 

  15. Han Y. S.(2002), "(A) Study on the Location Selection of a Public library," RISS, vol. 7, pp.1-80. 

  16. Hwang H. S.(2004), "A stochastic set-covering location model for both ameliorating and deteriorating items," Computers & industrial engineering, vol. 46, pp.313-319. 

  17. Jackson L. E., Rouskas G. N. and Stallmann M. F.(2007), "The directional p-median problem: Definition, complexity, and algorithms,"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al Research, vol. 179, pp.1097-1108. 

  18. Lee S. J.(2000), "Applications of Fuzzy Theory on The Location Decision of Logistics Facilities," KiSTi, vol. 18, pp.75-85. 

  19. Levanova T. Y. V. and Loresh M. A.(2004), "Algorithms of ant system and simulated annealing for the p-median problem," Automation and Remote Control, vol. 65, pp.431-438. 

  20. Ooh S. C.(1998), "Location Determination Model for Distribution Center," KST, vol. 16, pp.213-218. 

  21. Park B. R.(2013), "Optimum Location Choice for Bike Parking Lots Using Heuristic P-Median Algorithm," KSCE, vol. 5, pp.1989-1999. 

  22. Park Z. S.(2011), "Greedy Heuristic Algorithm for the Optimal Location Allocation of Pickup Points: Application to the Metropolitan Seoul Subway System," EGSK, vol. 14, pp.16-128. 

  23. Selim Araz C. and Ozkarahan H. I.(2007), "A fuzzy multi-objective covering-based vehicle location model for emergency services," Computers & Operations Research, vol. 34, pp.705-72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