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초등학생 돌봄시설의 최적입지 선정
Optimal Location Modeling for Elementary Student's Care facility using Public Data 원문보기

지적과 국토정보 = Journal of cadastre & land informatix, v.49 no.2, 2019년, pp.109 - 122  

이지원 (서울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  김지영 (건국대학교 소셜에코테크 연구소) ,  유기윤 (서울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  양성철 (대구대학교 부동산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맞벌이 가구의 증가로 육아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커지고 있다. 특히 자녀의 초등학교 입학은 상대적으로 이른 하교시간 때문에 돌봄의 공백이 생겨 출산과 더불어 여성의 경력단절에 주된 원인으로 꼽힌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정책적 기조에 부합하여 초등학생 대상 돌봄시설의 최적 입지선정 방안을 제안하였다. 돌봄시설의 후보로 기존 아이돌봄시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최적입지 선정 시 수리적 최적화뿐만 아니라 입지적 특성을 고려하는 이중구조의 평가방법을 사용하였다. 실험은 서울시 송파구를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총 258개의 후보시설 중 36개의 최적입지를 선정하였다. 먼저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돌봄시설의 특성에 맞는 평가기준을 세운 후 입지점수를 매겨 이에 해당하는 1차 후보시설을 선별하였으며, 이때 다양한 공공데이터를 하나로 통합하기 위하여 격자리샘플링 방법을 사용하였다. 다음으로 선별된 시설을 대상으로 공간 최적화 모델인 p-median 방법을 활용하여 최종 돌봄시설을 선정하였다. 이렇게 선정된 결과는 총 거리를 고려한 위치적 최적해 일뿐 아니라 돌봄시설의 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입지적 기준을 만족하는 값이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을 통해 공공데이터 융합 및 활용도를 높일 수 있고, 공공시설 최적입지 선정 시 정책 의사결정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xpansion of double-income households is increasing the social interest in child care. In particular, children's entrance into elementary school is considered to be the main cause of women's career break as well as childbirth. This study proposes an optimal location selection method for caring f...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물리적 거리에 의한 공간최적화 전에 개별 후보시설의 입지적 특성을 고려할 수 있는 이중구조의 입지 선정방법을 함께 제안하고자 한다.
  • 서울과 같은 대도시의 경우 주거비용이 높기 때문에 물리적 거리에 의한 직주근접을 측정하기보다는 대중교통으로부터 얼마나 가까운지가 대안적 의미의 지표로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하철 및 버스정류장의 위치를 직주근접성을 평가하기 위한 지표로 선정하였다.
  • 본 연구는 공공시설에 대한 최적 입지 선택 시 기존의 최적화 모델뿐만 아니라 데이터에 기반하여 후보시설의 입지적 특성을 고려하는 이중구조의 평가방법을 사용하였다는 것과 품질보다는 양적 개방 위주로 성장해온 공공데이터를 이용하여 정책 의사결정 자료를 도출해내어 향후 공공데이터의 활용성에 대한 가능성을 검증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다만 다양한 형식과 자료원을 가진 공공데이터의 사용이라는 연구 방향으로 인해 이에 대한 적용성 검증에 연구 초점을 맞추다 보니, 돌봄시설 입지기준 선정 자체에 대해서는 미흡한 부분이 있다.
  • 본 연구는 새로운 부지보다는 기존의 공공시설 내에서 돌봄시설의 입지를 선정하여 시설을 복합화하는 방안을 제시하여 효율적인 예산 집행이 가능한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교육부에서 제안하는 돌봄시설의 경우 초등학교 내에 설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서울시의 우리 동네 키움센터의 경우 주민 생활과 밀접하고 가까운 공공시설 내 설치하는 것을 권고하고 있으므로 기존의 어린이집, 유치원, 초등학교, 지역아동센터 등을 후보시설로 선정하였다.
  • 공공데이터는 공공데이터 포털과 서울시 등에서 이용하고 있으나, 그 제공주체 등이 다양하여 하나로 합치기가 어려워 연구의 활용도가 낮은 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단위를 가지고 있는 공공데이터를 하나로 취합하기 위해 격자 리샘플링 방안을 제시하였다. 국토에 관한 데이터는 주로 시도 시군 단위의 통계로 나타나는데 범위가 너무 넓어서 제대로 쓸 수가 없으며, 소지역 통계 역시 연구자마다 개별적으로 수집해야 하는 한계가 있다(임은선 외 2014).
  • 목적함수는 문제의 구체적인 목적으로 최소화 또는 최대화하고자 하는 함수로 정의되는데 p-median 모델은 최소합 문제(minisum)의 일종이라고 할 수 있다(Daskin 1995). 본 연구에서는 돌봄시설을 이용하는 수요자가 시설까지 이동하는 평균 거리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목적함수를 설정하였다. p-median 알고리즘은 다음과 같다.
  • 단순한 추가 설치보다 적지에 입지시키는 것이 한정된 예산을 효율적으로 집행할 수 있어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지만, 국민 눈높이에 맞는 정책 집행에 필요한 의사결정 자료는 부족한 게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공데이터에 기반한 공간분석을 통해 대안을 제시하여 정책적 기조에 부합한 초등학생 대상 돌봄시설의 최적 입지선정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돌봄시설과 같은 공적 영역의 입지 문제는 사회적 관점에서 특정한 목적을 달성하고자 한다는 점에서 상업적 이윤을 최대화하려는 사적 영역과는 근본적으로 다르다(이건학 2010).

가설 설정

  • 분석을 위하여 최적 돌봄시설 개수(p)를 산정해야 하는데, 본 모델에서는 서울시에서 발표한 온마을 돌봄체계 구축 기본계획(안)에 따라, 2022년까지 총 900개의 돌봄시설을 설치한다고 가정하였다. 이를 자치구 25개로 나누면 최종적으로 한 구당 36개 돌봄시설이 필요하다.
  • 공간 최적화를 지원하는 툴로는 ArcGIS와 CPLEX,LINGO 등이 있는데, 권필 외(2016)은 ArcGIS에서 제공하는 ‘Target market share’ 유형을 이용하여 자동제세동기(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AED)의 최적 배치를 고려하였다. 이 유형은 주변의 경쟁시설을 감안하여 최소의 시설 수로 일정 수요 규모를 최대로 확보하는 방법론으로 위 연구에서는 이미 구축된 시설과 추가적으로 배치될 AED의 점유율을 각각 50%로 설정하여 서로의 사용률을 균등하게 나눈다고 가정하여 활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공공시설물의 최적 입지를 선정하는 이유는? 수요자들의 특성에 부합하는 평가기준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데이터의 취합이 요구되는데 이를 위하여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였다. 공공데이터는 공공데이터 포털과 서울시 등에서 이용하고 있으나, 그 제공주체 등이 다양하여 하나로 합치기가 어려워 연구의 활용도가 낮은 편이다.
육아공백의 해결을 위한 정부의 대처는 어떠한가? 여성의 사회참여 확대에 따라 맞벌이 가구가 증가하면서 육아공백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현 정부에서는 국공립어린이집 확충, 온종일 돌봄 등을 주요 국정과제로 추진하고 있으나 늘어나는 수요를 감당하기엔 역부족이다. 특히 원칙적으로 오전 7시 30분부터 오후 7시 30분까지 운영되는 어린이집에 비해 초등학교는 하교 시간이 상대적으로 이르기 때문에 돌봄의 공백이 생겨, 출산과 더불어 여성 경력단절의 주된 이유로 꼽힌다.
p-median 방법론이란 무엇인가? p-median 방법론은 공장, 창고, 물류센터 또는 공공시설 등을 설치할 수 있는 후보입지가 주어져 있고 각 후보입지는 소비자 수요 발생지역을 나타내며 각 시설로부터 각 소비자에게 제품을 수송할 때 소요되는 단위당 수송비와 수송 거리가 주어져 있다고 가정할 때, 최소의 수송비용으로 모든 소비자의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p개 이하의 시설 설치 입지를 결정하는 방법론이다(조건 2004). 이때 시설의 최적 개수인 p를 찾는 방법은 수리적인 모형을 사용하여도 되고, 공공시설과 같이 예산제약 등 정책적 연관성이 있는 사항의 경우 휴리스틱 한 방법론을 통해 선정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Ministry of Education. 2019.01.08 Press release. Primary care class for the new semester. 

  2.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2014. National Land Survey Platform Standard Development. 

  3. Kwon P, Lee YM, Yu KY, Lee WH. 2016. A Study of Optimal Location and Allocation to Improve Accessibility of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34(3): 263-271. 

  4. Kim MS, Lee JY. 2015. A Data Transformation Method for Visualizing the Statistical Information based on the Grid.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ociety. 23(5): 31-40. 

  5. Kim JI, Chung HW. 2001. GIS Applications for Optimum Site Selection of Public Facilit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4(4): 8-20. 

  6. Kim HB, Kim SG. 2006. A Site Selection of Public Facility Based on An Accessibility Theory & GIS Spatial Analysis Technolog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D. 26(3D):385-391. 

  7. Park BR, Lee KJ, Choi KC. 2013. Optimum Location Choice for Bike Parking Lots Using Heuristic P-Median Algorith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33(5): 1989-1998. 

  8. Park HJ, Yang HO, Kim HD, Park YJ. 2009. Development of Educational Environment Evaluation Criteria and Indicators.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CR2009-36-5. 

  9. Song HJ, Lee GH. 2017. Optimal Location Modeling of Early Voting Polls Considering Spatial Accessibility: Cases of Seocho and Gangnamgu in Seoul. Journal of the Koren Geographical Society. 52(6):827-843. 

  10. Seoul Women's Family Policy Office. 2019.02 Press release. Basic plan for constructing child care system. 

  11. Lee GH. 2010. Analysis of Locational Change of the Community Service Centers and Optimal Location Modeling after Dong Merger and Abolition: Spatial Efficiency and Equity Approach. Journal of the Koren Geographical Society. 45(4): 521-539. 

  12. Lee HS, Chen MW, Choo SH. 2017. Developing an Optimal Location Selection Methodology of Unmanned Parcel Service Box.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16(4): 13-24. 

  13. Lee HY. 2000. The Site Selection for Public Facilities in Using the Multi-Criteria Evaluation Method in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 Case Study of the Waste Incinerator. Journal of the Koren Geographical Society. 35(3): 437-454. 

  14. Yim ES, Lee YJ, Hwang MH, Cha MS. 2014.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Model for Integrating Geospatial and Statistical Information.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 KRIHS 2014-1. 

  15. Jang MS, OH HR, Park JE. 2013. Proposal of establishment of additional station to improve connectivity of public bicycles in Seocho.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ngineers. 1457-1464. 

  16. Joint Government Departments. 2019.04.15 Press release. Classy neighborhood where everyone can meet anywhere in 10 minutes. 

  17. Cho G. 2004. A Study on Developing and Efficient Algorithm for the p-median Problem on a Tree Network. Journal of the Korean Operations Research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29(1): 57-50. 

  18. Choi DJ, Park JH. 2018. Analysis of Dispatch Strongpoint for the Fire Accidents Based on Spatial Location-Allocation Model in the Chungnam Province, South Korea.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24(2): 267-278. 

  19. Statistics Korea. 2018.12 Press release. Work-Family compatibility index. 

  20. Baray JR, Cliquet GR. 2013. Opitimizing locations through a maximum covering/p-median hierarchical model: Maternity hospitals in France.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66(1):127-132. 

  21. Daskin MS. 1995. Network and Discrete Location: Models, Algorithms, and Applications. John& Wiley Sons. 

  22. Park C, Sohn SY. 2017. An optimization approach for the placement of bicycle-sharing stations to reduce short car trips: An application to the city of Seoul.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A 105: 154-166. 

  23. Ye L, Ye CM, Chuang YF. 2011. Location set covering for waste resource recycling centers in Taiwan. Resource, Conservation and Recycling. 55(11): 979-98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