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아 교구로봇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유아와 초등학생 로봇교육의 연구동향 분석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Robot Education of Young Children and Elementary Students for the Development of Hands-on Robot Program for Young Children 원문보기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v.18 no.5, 2017년, pp.859 - 868  

김상희 (국립공주대학교 유아교육학과) ,  김상언 (국립공주대학교 유아교육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교구로봇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 유아와 초등학생의 로봇교육에 대한 연구동향을 알아보는 데 있다. 유아와 초등학생 로봇교육과 관련된 2006년부터 2016년 5월까지의 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 총 155편을 대상으로 연도별 동향, 연구내용, 효과성 검증 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주제에서 유아는 통합교육, 태도 및 인식연구, 반응연구 순이며, 초등학생은 프로그래밍 교육, 설계개발 연구, 통합교육 순으로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다. 연구방법에서 유아는 관찰연구가, 초등학생은 개발연구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효과성 검증에서 유아는 사회적 정서적 관련 연구, 초등학생은 창의성 관련 연구가 많았다.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를 바탕으로 유아 교구로봇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유아와 초등학생의 SW교육과 연계하여 로봇교육의 방향과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search trend of robot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nd elementary students as a basic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hands-on robot program for young children. Trends by year, research contents, and effectiveness of 155 dissertations and journal paper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교구로봇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 유아와 초등학생의 로봇교육의 연구동향을 알아보는 데 있다. 분석대상은 2006년부터 2016년 5월까지 석· 박사 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 총 155편이다.
  • 분석대상은 2006년부터 2016년 5월까지 석· 박사 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 총 155편이다. 이를 통하여 유아와 초등학생의 로봇교육의 연계를 위해 유아의 발달에 적합한 교구로봇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유아 로봇교육의 시사점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유아와 초등학생의 로봇교육 동향분석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 또한, 유아 교구로봇의 필요성 및 요구가 선행연구에서 나타나고 있으나, 유아 교구로봇에 대한 구체적 연구는 보고된 바가 없어 앞으로 유아교육의 새로운 로봇교육 환경인 교구로봇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유아와 초등학생의 로봇교육의 연구 동향 분석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그 동안 유아와 초등학생에게 이루어진 로봇교육의 연구 자료를 동향 분석하여 유아의 교구로봇 활동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유아 로봇교육의 시사점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로봇활용교육이란 무엇인가? 로봇의 정의는 사회가 변화되면서 현 시대에 맞게 변화되어 왔는데 초창기의 노동대체 수단의 ‘전통적 로봇’에서 현대에는 인간과 함께 공존하는 친화적인 ‘지능형 로봇’으로 변화하고 있다[3]. 지능형 로봇 중에서 로봇교육은 로봇을 교수매체로 활용하는 것으로 모든 교수학습 활동을 ‘로봇활용교육’ 이라고 정의한다. 로봇활용교육은 활용 방법에 따라 ‘교구로봇(Hands-on Robot)’과 ‘교사보조로봇(Educational Service Robot)’으로 구분된다[4].
로봇활용교육은 활용 방법에 따라 어떻게 구분되는가? 지능형 로봇 중에서 로봇교육은 로봇을 교수매체로 활용하는 것으로 모든 교수학습 활동을 ‘로봇활용교육’ 이라고 정의한다. 로봇활용교육은 활용 방법에 따라 ‘교구로봇(Hands-on Robot)’과 ‘교사보조로봇(Educational Service Robot)’으로 구분된다[4]. 교구로봇은 로봇이 교육의 소재가 되며, 로봇을 만드는 과정에서 구성주의적 교육이 이뤄진다.
초등학생들은 로봇교육에 어떤 어려움을 겪는가? 로봇의 직접 제작과 프로그래밍 활동의 질적 사례 연구[12], 로봇과 교과를 연계하고 STEAM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에 따른 적용효과에 관한 연구가 있으며[13], 이밖에도 로봇교육의 문제해결력과 창의성에 의한 컴퓨팅사고력 향상의 효과에 관한 연구들이 있다[4],[14]. 그러나 이러한 효과에도 불구하고 초등학생들은 로봇에 관한 선행학습의 부족으로 로봇의 각 요소를 수행하고 이해하는 데 어려움이 있으며 이를 해결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이나 기관지원에 대한 필요성이 나타나고 있다[15]. 이는 공교육에서의 로봇교육이 양적인 활성화에 치중하면서 나타나는 문제점으로 초등학교 로봇교육 이전에 로봇의 기초교육이 유치원에서부터 이루어져야 하는 필요성이 제기되는 바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K. M. Lee, "Discourse analysis on core competencies in the age of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happiness education," The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 37, No. 3, pp. 137-156, 2017. 

  2.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A study on Mid-Long Term Development Direction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es 2013-2017: Research Report 2012-19, 2012. 

  3. Korea Education &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A study on the analysis of the effect of robot application in education in 2012: CR, Research Report 2013-4, 2013. 

  4. H. S. Lee, J. H. Han, and M. H. Cho, "Effect Analysis of Learning with a Robot for Improving Creativity in the Regular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 The Journal of Child Education, Vol. 22, No. 2, pp. 19-35, 2013. 

  5. C. Kim, "An Analysis of Domestic Research Trend and Educational Effects in Relation to Robot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Vol. 16, No. 2, pp. 233-243, 2012. 

  6. H. W. Jung and S. J. Han, "The Study of an Analysis on Early Childhood Teachers' Possibility & Limit about R-learning," Korean Journal of Children's Media, Vol. 11, No. 3, pp. 27-47, 2012. 

  7. K. O. Lee and B. H. Lee, "The Influence of Educational Robot Experience on Children's Robot Image and Relationship Recognition," Journal of Korea Robotics Society, Vol. 10, No. 2, pp. 70-78, 2015. 

  8. J. S. Lee, K. J. Yoo and M. K. Kim, "An effect of a free-choice activities program using intelligent robot at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on young children's social-emotional development," KOAECE, Vol. 17, No. 3, pp. 111-132, 2012. 

  9. J. H. Han, "Analysis on Children Robot Interaction with Dramatic Playes for Better Augmented Reality," Journal of DCS, Vol. 17, No. 6, pp. 531-536, 2016. 

  10. Y. S. Lee, C. H. Chung and H. J. Hong, "A Delphi research on the difficulties in applying R-learning for early childhood institution," The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 35, No. 1, pp. 221-241, 2015. 

  11. MOE, MSIP, Guide for Operating SW Education and Future Planning, 2015. [Internet]. Available: http://www.moe.go.kr/boardCnts/view.do 

  12. Y. C. Jun, "A Video Case Study of a Robotics Science Box Project in an After-school Elementary Classroom," Teacher Education Research, Vol. 54, No. 3, pp. 381-392, 2015. 

  13. J. H. Park, "A Study on Application of STEAM education with Robot in Elementary School,"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Vol. 17, No. 4, pp. 19-29, 2012. 

  14. J. M. Park, The Effect of Creative Problem Solving Model on Elementary Students' Creativity: Application of Robot Assembling Program, M.S thesi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6. 

  15. M. J. Hwang, "A Survey on Parents' Cognition in the Robotics Education for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tudents," Journal of Korea Robotics Society, Vol. 10, No. 2, pp. 53-06, 2015. 

  16. E. R. Kazakoff, A. Sullivan and M. U. Bers, "The Effect of a Classroom-Based Intensive Robotics and Programming Workshop on Sequencing Ability in Early Childhood,"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 Vol. 41, pp. 245-255, 2013. 

  17. A. Sullivan and M. U. Bers, "Robotics in the early childhood classroom: learning outcomes from an 8-week robotics curriculum in pre-kindergarten through second grade," International Journal of Technology & Design Education, Vol. 26, No.1, pp. 3-20, 2016. 

  18. L. P. E. Toh, A. Causo, P. W. Tzuo, I-M. Chen and Song Huat Yeo, "A Review on the Use of Robots in Education and Young Children," Educational Technology & Society, Vol.19. No.2, pp.148-163, 2016. 

  19. K. C. Kim and S. D. Park, "A meta analysis of r-Learning effects on targeting young children," KOAECE, Vol. 18, No. 4, pp. 397-417, 2013. 

  20. H. Y. Chun, E. A. Choi and J. M. Kim, "Recent Trends in R-Learning Research in Korea and its Effects on Preschool and Elementary School Children," Journal of Life-span Studies, Vol. 6, No. 2, pp. 97-125, 2016. 

  21. J. H. Lee, H. J. Jun and E. H. Park, "Analysis on the Continuity and Sequence of the Educational Contents in the National Language Curricula for Young Children,"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Vol. 16, No. 4, pp. 253-279, 2012. 

  22. Y. O. Kim, "Current status of big data-related study and task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Korea," The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 36, No. 6, pp. 181-206, 2016. 

  23. H. J. Jo,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Related to Early Childhood STEAM Education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M.S thesis, Graduate School of Chung-Ang University, 2016. 

  24. J. H. Kim and S. H. Moon, "A Survey on After-School Robot Teacher's Perception of Robot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The Journal of Korea Elementary Education, Vol. 21, No. 1, pp. 117-133,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