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공기관의 정보공개와 투명성의 관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s and Transparency in Public Organizations 원문보기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v.17 no.3, 2017년, pp.97 - 114  

이현영 (한국조세재정연구원, 재정연구본부) ,  정연경 (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 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공공기관의 업무수행에 수반되어야 하는 투명성이 정보공개제도와 얼마나 연관이 있는지, 그리고 시기별 기관 유형별로 어떻게 변화했는지 분석해 보았다. 문헌연구를 통하여 정보공개제도의 의의와 투명성의 정의를 살펴본 후, 이와 관련된 통계자료를 분석하고, 2003년~2013년까지 통계 데이터를 토대로 정보공개와 투명성에 대한 연관성 분석을 하였다. 정보공개제도와 공공기관의 투명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공공기관의 업무과정을 제대로 기록화하고, 수요자가 원하는 정보를 제공하고, 이에 대한 평가를 측정하는 투명성 진단 평가시스템을 제도화하는 방안이 반드시 필요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정보공개제도와 투명성의 관계에 대해 이해하고, 정보공개제도와 공공기관의 투명성을 높이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hether, in public organizations, a significant relationship can be found between transparency and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s. The study also aims to analyze how the relationship has changed and whether political regimes and organization type matter for s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정보공개를 통해 정부가 무엇을 해왔는지를 시민이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투명성에 관한 하나의 정의라고 본다면, 정보공개율과 투명성은 서로 밀접한 관계를 가질 수밖에 없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목적은 국민의 알권리를 보장하고 정부의 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한 정보공개제도와 공공기관의 투명성 지수를 살펴보고, 정보공개율과 투명성 지수의 상관성을 파악해서 정보공개제도 운영에 관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 정보공개제도의 배경과 의의를 살펴보고, 정보공개법 제정 이후 법 개정 등 현재까지의 변화과정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투명성에 대한 다양한 개념을 살펴보고 정보공개제도와 어떠한 연관성이 있는지 정리해 보았으며 공공기관의 투명성을 측정하기 위한 요소와 지표를 도출해 내었다. 둘째, <정보공개연차보고서>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국민의 정보공개 청구에 대한 기관별 처리현황을 바탕으로 1998년∼2013년까지의 연도별 추이를 살펴보았다.
  • 본 연구는 공공기관의 정보공개제도와 투명성의 관계를 통계자료를 사용하여 실증적 분석을 하고, 이를 통해 공공기관의 투명성 제고와 정보공개제도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첫째, 문헌연구를 통해 정보공개제도와 투명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 국내 정보공개제도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법학, 행정학 또는 언론학 영역에서 주로 진행되었으며, 점차 기록학의 포괄적인 관점과 더불어 해외공개제도 분석을 통해 정보공개의 새로운 지향점을 제시하였고, 운영상의 문제점,운영성과에 대한 평가, 정보서비스 관점에서 연구가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는 제도적 관점에서의 정보공개, 정보공개제도의 운영실적과 성과, 정보공개제도와 투명성에 관한 연구를 중심으로 각각 살펴보았다. 100 한국기록관리학회지 제17권 제3호 2017 먼저, 정보공개제도를 제도적 관점에서 연구한 논문으로 김미경(2008)은 지방행정종합정보공개시스템을 굿거버넌스의 사례를 소개하면서 국민의 알권리 충족 도모를 위해 정부는 정보공개를 활성화해야 하고, 이를 통해 행정의 투명성을 제고하는 굿거버넌스를 실천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 0은 정부의 내부와 민간을 연결하는 공공정보를 활용하여 국민에게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여 국민의 알권리를 강화하고 정부의 투명성과 책임성을 제고하겠다고 밝히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앙행정부처를 비롯한 공공기관의 업무수행에서 수반되어야 하는 투명성이 정보공개제도와 얼마나 연관이 있고 정권 시기별․기관유형별로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 그 관계를 분석해 보았다. 행정자치부에서 매년 발간하는 정보공개연차보고서에 의하면 정보공개제도가 시행된 1998년 이후 정보공개 청구건수는 매년 꾸준히 증가하여 2013년에 552,066건으로 1998년 26,338건에 비해 약 21배로 증가하였다.
  • 셋째, 정보공개 및 투명성과 관련된 지수를 바탕으로 통계분석과 상관분석을 하였다. 분석대상은 정보공개법에 의해 정보공개를 하고 있는 공공기관으로 중앙행정기관, 광역자치단체 및 주요 공기업으로 나누어 기관유형별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비교해 보았다. 분석기간은 2003년∼2012년으로 10년간의 추이를 정권별로 살펴보되, 공기업은 <정보공개연차보고서>에서 2008년부터 따로 분리하여 통계치를 제공하고 있으므로 2008년∼2012년 5년간의 추이를 다루었다.

가설 설정

  • 5의 가중치를 반영하여 다음과 같이 산출하였다. 부분공개에 0.5의 가중치를 반영한 것은 각 정보공개 사안마다 부분 공개하는 비율이 다르지만, 많은 부분공개와 적은 부분공개가 고르게 존재한다고 가정하여 평균적으로 0.5의 수준의 가중치를 적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투명성과 매우 밀접관 연관이 있는 것은? 정보공개는 국민의 알권리를 강화하고 정부의 투명성과 책임성을 제고하기 위한 사전정보 공표, 공공정보의 적극 공개를 통한 정부의 신뢰성을 제고하는 정보공개제도, 원문정보공개, 정책실명제의 내실화로 실행된다(행정자치부, 2014). 이러한 투명성은 정보접근과 매우 밀접한 연관이 있으며, 세계 여러 국가에서 정보공개법을 제정하는 이유도 국민의 알권리를 보장하고 정부의 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투명성에 대한 관심과 논의는 1990년 이후 급속하게 확산되었다.
정보공개는 어떻게 실행되는가? 정보공개는 국민의 알권리를 강화하고 정부의 투명성과 책임성을 제고하기 위한 사전정보 공표, 공공정보의 적극 공개를 통한 정부의 신뢰성을 제고하는 정보공개제도, 원문정보공개, 정책실명제의 내실화로 실행된다(행정자치부, 2014). 이러한 투명성은 정보접근과 매우 밀접한 연관이 있으며, 세계 여러 국가에서 정보공개법을 제정하는 이유도 국민의 알권리를 보장하고 정부의 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투명성에 대한 관심과 논의가 확산된 1990년 이후 어떤 노력들이 있었는가? 투명성에 대한 관심과 논의는 1990년 이후 급속하게 확산되었다. 1993년 국제투명성기구(Transparency International: TI)의 설립, 1997년 경제개발협력기구(OECD)의 뇌물방지협약, 국제통화기금(IMF)의 재정투명성규약 및 2003년 UN반부패협약(United Nations Convention Against Corruption)이 체결되는 등 국제사회는 투명성을 통하여 국민의 알권리 보장과 정보공개, 부패방지를 위한 공직윤리 확보에 노력하고 있다. 우리 정부도 1990년대 이후 투명성 제고를 위하여 민주화와 더불어 각종 법령을 제․개정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강혜라, 장우권 (2016). 기록물관리와 정보공개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지방자치단체의 정보공개 자치. 정보관리학회지, 33(4), 294-311. Kang, Hye-ra & Chang, Woo-Kwon (2016).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reedom of Information and Records Management: Focusing on Local Laws and Regulation about Information Disclosur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3(4), 294-311. 

  2. 국가권익위원회. 각 연도. 보도자료. 공공기관 청렴도 측정 결과. 서울: 국가권익위원회. Anti-Corruption and Civil Right Commission. Annual Report. The Results of the Integrity Index for Public Organization. Seoul: Anti-Corruption and Civil Right Commission. 

  3. 김미경 (2008). 굿거버넌스와 정보공개: 지방행정종합정보공개시스템을 중심으로.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9(1), 203-220. Kim, Mee-Kyung (2008). Good Governance and Information Disclosure: Focus on the LAIIS(Local Administration Integrated Information System).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19(1), 203-220. 

  4. 김승태 (2009). 정보공개제도의 성과와 한계. 한국공공관리학보, 23(4), 119-147. Kim, Seung-Tae (2009). The Performance and Limitation of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Korean Public Management Review, 23(4), 119-147. 

  5. 김승태 (2010). 정보공개제도의 운영성과 평가.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13(4), 25-52. Kim, Seung-Tae (2010).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gional Information Society, 13(4), 25-52. 

  6. 김유승 (2010). 거버먼트 2.0 기반의 정보공개제도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기록학연구, 25, 197-231. Kim, Youseung (2010). A Study on Freedom of Information in the Government 2.0 era.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25, 197-231. 

  7. 박흥식 (2001). 투명성 가치: 개념적 구조와 의미. 한국 사회와 행정연구, 12(3), 103-118. Park, Heung-Sik (2001). Value of Transparency: Conceptual Structure and Meaning. Korean Society and Public Administration, 12(3), 103-118. 

  8. 송희준 (2002). 전자정부사업의 행정투명성 제고효과 분석.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행정논총, 40(4), 109-134. Song, Hee Joon (2002). The Effects of E-government Korea on Administrative Transparency. Korean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40(4), 109-134. 

  9. 송희준, 최흥석 (2002). 전자정부사업의 투명성 제고효과: 현황과 전망. 한국정책학회, 한국정책학회하계학술발표논문집, 337-358. Song, Hee Joon & Choi, Heung-Seok (2002). The Effects of E-government Korea on Administrative Transparency: Current Status and Prospect. The Korean Association for Policy Studies Summer Conference Proceedings, 337-358. 

  10. 안병철 (2009). 정부관료제의 정보공개행태 분석: 43개 중앙행정기관을 중심으로(2002-2007). 한국거버넌스학회보, 16(3), 133-160. Ahn, Byeong-Cheol (2009). A Study on Public Information Disclosure Behaviors of Government Bureaucracy-A Case of Central Administration Agencie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Governance, 16(3), 133-160. 

  11. 윤은하 (2012). 기록정보 서비스와 정보공개: 이용자 중심의 서비스 논쟁을 중심으로.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2(2), 163-179. Youn, Eunha (2012). Archival Reference Service and Freedom of Information in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2(2), 163-179. 

  12. 이근주 (2003). 정부투명성과 정보공개 활성화 방안. 한국행정학회 컨퍼런스 자료, 127-143. Lee, Geunjoo (2003). Government Transparency and Information Disclosure Activation. The Korean Association for Public Administration Conference Proceedings, 127-143. 

  13. 이명진, 문명재 (2010). 공공기관의 조직적 특성과 정보공개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학보, 44(1), 121-146. Lee, Myoung Jin & Moon, Myung Jae (2010). An Empirical Study of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on Information Disclosure by Korean Central Agencies. The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44(1), 121-146. 

  14. 이보람, 이영학 (2013). 정보공개제도에서 공개 기록정보의 제도적 신뢰성에 관한 연구. 기록학연구, 35, 41-91. Lee, Boram & Lee, Young Hak (2013). A Study on Institutional Reliability of Open Record Information in the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35, 41-91. 

  15. 이재완, 정광호 (2011). 정보공개청구수용에 관한 연구: 기초자치단체를 중심으로. 한국행정논집, 23(4), 1077-1104. Lee, Jaewan & Jung, Kwang Ho (2011). A Study on Granting Requests for Government Information: Focused on Korea Local Governments.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Quarterly, 23(4), 1077-1104. 

  16. 장지원, 문신용 (2004). 행정정보공개의 관련요인에 관한 실증분석. 한국행정연구, 13(1), 170-202. Chang, Geeweon & Moon, Shin Yong (2004). An Empirical Analysis on Current Issues and Related Factors of Freedom of Information in Korean Government Agencies.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Journal, 13(1), 170-202. 

  17. 조영삼 (2009). 기록정보공개 제도 개선 추진 현황과 방안. 기록학연구, 22, 77-114. Zoh, Youngsam (2009). The Promotion State and Measures to Improve the Record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22, 77-114. 

  18. 하승수 (2009). 정보공개제도와 기록관리. 제1회 전국기록인대회 발표자료, 639-647. Ha, Soong Soo (2009). The Information Disclosure and Records Management.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Conference Proceedings, 639-647. 

  19. 하승수 (2011). 한국의 정보공개운동, 역사와 과제. 앤 플로리니 엮음, 노승영 옮김, 나는 그들이 무슨 일을 하는지 알권리가 있다 (pp. 449-460). 서울: 시대의 창. Ha, Soong Soo (2011). Korean Information Disclosure Movement. Its History and Assignment. Complied by Ann Florini. Translated by Noh, Soong Young. I have an Right to know what they are doing (pp. 449-460). Seoul: Windows of history. 

  20. 행정안전부. 각 연도. 정보공개 연차보고서. 서울: 행정안전부. Ministry of Interior and Safety. Annual Report of Information Disclosure. Seoul: The Ministry. 

  21. Calland, R. & Bentley, K. (2013). The Impact and Effectiveness of Transparency and Accountability Initiatives: Freedom of Information. Development Policy Review, 31(s1), 69-87. 

  22. Finel, B. I. & Lord, K. M. (1999). The Surprising Logic of Transparency. International Studies Quarterly, 43(2), 315-339. 

  23. Florini, A. M. April (2007). The Battle Over Transparency. The Right to Know: Transparency for and Open World, edited by Ann Florini, Columbia University Press, 1-16. 

  24. Worthy, B. (2010). More Open but Not More Trusted? The Effect of the Freedom of Information Act 2000 on the United Kingdom Central Government. An International Journal of Policy, Administration, and Institutions, 23(4), 561-58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