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ny construction accidents can be lead to a death occurring at construction sites. These are considerably due to potentially-hazardous equipment and machine or unexpected collapsion at earth work due to land slide and so on. Almost 50% of the total death and injury, occurred in construction sites i...
Many construction accidents can be lead to a death occurring at construction sites. These are considerably due to potentially-hazardous equipment and machine or unexpected collapsion at earth work due to land slide and so on. Almost 50% of the total death and injury, occurred in construction sites in 2015. 66% of those serious accidents are due to falling occurring from construction sites when they work. Therefore, causes and recommendations of each accident should be deeply thought and analysed The indirect causes are directly related to safe consciousness of the construction workers. Actually, their safety consciousness are not high, even very low, it is thought. Questionnaire survey sheets have been distributed to Seoul, Incheon, and Gyunggi-Do area, first. And then, the authors have collected those directly at sites, in order to increase collection rate of the sheets. The totally, collected sheets are 295 sheets. And, they are analysed using SPSS version 19 package program. Workers internal consciousness has been investigated and reviewed and analysed by statistical method such as frequency rate, crossed, and correlated analysis. And finally the conclusions for the above analyses are as follows; Heavy weight worth a crew of more than two workers should be necessarily considered for the advanced safety plan and needed for making a highly potential hazard group at construction sites. Safety consciousness, earing p.p.e, workman ship should be mainly considered for investing safety costs with an aspect of human factor.
Many construction accidents can be lead to a death occurring at construction sites. These are considerably due to potentially-hazardous equipment and machine or unexpected collapsion at earth work due to land slide and so on. Almost 50% of the total death and injury, occurred in construction sites in 2015. 66% of those serious accidents are due to falling occurring from construction sites when they work. Therefore, causes and recommendations of each accident should be deeply thought and analysed The indirect causes are directly related to safe consciousness of the construction workers. Actually, their safety consciousness are not high, even very low, it is thought. Questionnaire survey sheets have been distributed to Seoul, Incheon, and Gyunggi-Do area, first. And then, the authors have collected those directly at sites, in order to increase collection rate of the sheets. The totally, collected sheets are 295 sheets. And, they are analysed using SPSS version 19 package program. Workers internal consciousness has been investigated and reviewed and analysed by statistical method such as frequency rate, crossed, and correlated analysis. And finally the conclusions for the above analyses are as follows; Heavy weight worth a crew of more than two workers should be necessarily considered for the advanced safety plan and needed for making a highly potential hazard group at construction sites. Safety consciousness, earing p.p.e, workman ship should be mainly considered for investing safety costs with an aspect of human factor.
본 연구에서는 설문방식을 건설현장에 적용하여 현장 안전 확보에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라고 볼 수 있는 당사자인 근로자들의 내면적인 안전의식에 대한 인식 수준을 측정하고자 하였다2,3).
제안 방법
설문의 내용은 인적 측면에 대해서는 안전의식 부족과 불안전행동, 안전대 보호구 미착용, 작업방법 미숙지 및 미숙련, 물적 측면에 대해서는 관리감독자 경험 및 지식부족 등에 대한 문항과 작업적 측면에 대해서는 작업장 안전시설물 미설치, 작업장 와이어로프 관리 미흡, 작업방법 미지정, 작업 시 작업 공간 불편 등에 대한 문항을 설문조사를 하였다. 그리고 기계․장비적 측면에 대해서는 건설장비, 작업공구, 안전장치 취급 불량 등에 대한 설문조사를 하였다4,5,6).
설문의 내용은 인적 측면에 대해서는 안전의식 부족과 불안전행동, 안전대 보호구 미착용, 작업방법 미숙지 및 미숙련, 물적 측면에 대해서는 관리감독자 경험 및 지식부족 등에 대한 문항과 작업적 측면에 대해서는 작업장 안전시설물 미설치, 작업장 와이어로프 관리 미흡, 작업방법 미지정, 작업 시 작업 공간 불편 등에 대한 문항을 설문조사를 하였다. 그리고 기계․장비적 측면에 대해서는 건설장비, 작업공구, 안전장치 취급 불량 등에 대한 설문조사를 하였다4,5,6). 사고 원인의 인적, 물적, 작업적, 기계․장비적 측면 4가지 측면 조사, 그리고 현장 안전관리 문제에 대해서는 안전투자 정도, 안전규칙준수 정도, 안전 우선시 정책 여부, 위험도 정도 여부, 타 회사와 비교 시 자신의 현장안전도 정도, 공정진척도와 안전중시정도, 감리안전진단 실시여부 추가로 현장의 상사(작업책임자) 관련하여 조사항목들을 구성하였다.
대상 데이터
설문배부 및 수집은 회수율을 높이기 위하여 지역별로(서울, 경기, 대전) 직접 배부 및 수집 방법을 택하였고, 2016년 3월∼2016년 6월까지 실시하였다.
설문수집건수는 295건으로 데이터 분석에 이용하였다.
데이터처리
SPSS Version 19 프로그램 패키지를 이용하여 빈도수분석, 교차분석, 상관분석을 적용하여 다양한 측면에서의 분석을 시도하였고 이를 통한 과학적 결론의 기초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성능/효과
본 연구를 통한 건설현장 작업 상황에 대한 중요도 인식 수준과 중대재해가 늘어난 건설현장에 대한 보고서를 받아 분석한 결과 재해 발생률이 높은 건설현장은 재해 발생률이 낮은 건설현장과 비교해 안전보건 체제가 갖춰지지 않았고, 안전보건의식 또한 낮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안전 목표달성을 위해서는 안전관리자 역시 경험자들이 배치되어 효율적, 유기적 커뮤니케이션 환경조성 제공이 되어야만 효과적인 안전 확보달성을 담보할 수 있는 필수적 조치로 판단된다.
후속연구
중량물 2인 이상 작업팀, 후크 해지사용, 하역운반기계 화물사용고정 안전장치기능 해제사용, 작업장 내 설비배치 적정성, 작업장 내 설비의 노후화 등에 대한 중요하다 60%이상 응답은 이들 작업내용들은 객관적 위험정도에 노출되었는지 여부에 상관없이 현장 안전계획에 포함되는 것이 필수적일 뿐만 아니고 고 위험도군으로 그룹화 하여 작업배치에 고려 의무화 시행이 필요 한 것으로 사료된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설업의 사고가 사망으로 이어질 확률이 높음을 증명하시오
전체 산업재해 사고 사망자의 절반 이상이 건설업종사자라는 사실이 건설업의 사고가 사망으로 이어질 확률이 높음을 증명한다고 할 수 있다. 2015년 전체 사고사망자는 813명이었는데 이 중 55.
건설업 재해가 많이 발생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비계, 작업발판,계단, 슬라브 단부(끝부분), 철골 작업 등이 주요 사고 발생 장소였다. 건설업 재해가 많이 발생하는 것은 체계적인 안전관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1).
건설현장에서 일어나는 사고는 사망으로 이어질 확률이 높은 이유는 무엇인가?
건설현장에서 일어나는 사고는 사망으로 이어질 확률이 높다. 높은 곳에서의 작업이 많고 위험한 기계와 장비를 많이 다루는데다가 토사 등이 갑자기 무너져 붕괴되고 매몰되는 등 대형 참사로 이어지고, 작업 현장에서 갑작스런 예기치 못한 폭발 등으로 인해 강도 높은 재해가 자주 일어나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6)
Korea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gency, "Status of Accidents", 10(326), pp. 72-73, 2016.
E. K. Lee, "Status of Safety Training Level and Consciousness", Thesis Master Degree, Kyung Hee University
S. I. Song and B. G. Lee, "Perpomance of VSI Control Chart using Optimal Limits for Attribute Control Chart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Plant Engineering, Vol. 7, No. 3, pp. 15-25, 2002.
M. D. Cooper and R. A. Pillips, "Exploratory Analysis of the Safety Climate and Safety Behvior Relationship", Vol. 35, No. 2, pp. 497-512, 2002.
P. T. Savoranien, F. L. Mannering, D. Lord and M. A. Quddus, "The Statistical Analysis of High Way Crash-Injury Reverities; A Review and Assessment of Methodological Alternatives", Journal of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Vol. 5, Issue 5, pp. 1666-1676, 2011.
S. A. Bae, S. L. No and S. Y. OK, "Exploratory Study on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Influencing the Safety Behavior of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the Safety Society, Vol. 31, No. 3, pp. 102-108, 2016.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