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 검색어에 아래의 연산자를 사용하시면 더 정확한 검색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 검색연산자
검색도움말
검색연산자 기능 검색시 예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예1) (나노 (기계 | machine))
공백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예) semi*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통합검색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논문 상세정보

CS2013에 근거한 국내외 고등학교 정보교육과정 분석

Analysis of High School Informatics Curriculum Based on Computer Science Curricula 2013

초록

교육과정은 '무엇을 가르치고 배울 것인가'에 대한 것으로 지식에 대한 수준을 판단 할 수 있는 근거가 된다. 정보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되는 현 시점에서 SW중심사회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인재 양성은 국가경쟁력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고등 교육과정을 근간으로 고등학교 교육과정 지식의 깊이를 가늠하지 않고, 양적인 측면 논의에 한정하여 비교 분석한다. 연구 결과, 18개 지식 영역 중 '미국'은 15개 영역, '영국'은 10개 영역, '일본'은 7개 영역을 포함하고 있지만, '한국'은 6개 영역으로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4개국 가운데 가장 적은 내용을 가르치고 있었다. 본 연구는 교육과정 분석을 통해 한국 정보교육과정의 현 위치를 파악하고, 교육과정 개정 시 지향해야 할 내용과 함의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Abstract

The curriculum is about what to teach and learn, which is the basis for judging the level of knowledge. At the present time when the necessity of informatics education is emphasized, cultivation of human resources to actively cope with the SW-oriented society is the core of national competitiven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quantitative aspects of high school curriculum based on higher education curriculum. Among the 18 knowledge areas, 'America' has 15 areas, 'UK' has 10 areas, and 'Japan' has 7 areas. However, 'Korea' has 6 area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Korea's information curriculum through the analysis of curriculum and to provide contents and implications for the curriculum revision.

본문요약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각 국가의 정보교육과정에서 CS2013의 18개 지식 영역 중 어느 영역에 치중하고 있는지에 대한 것이다.

    본 연구는 각 국가의 정보교육과정에서 CS2013의 18개 지식 영역 중 어느 영역에 치중하고 있는지에 대한 것이다. 연구 결과도 나라별 비교를 통한 상대적 백분율이 아니며, 각 국가의 성취기준을 100으로 고려한 비율이다.

  • 본 연구는 국내외 고등학교 정보교육과정 분석을 통해 한국 정보교육과정의 현 위치를 파악하고 교육과정 개정 시 지향해야 할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국내외 고등학교 정보교육과정 분석을 통해 한국 정보교육과정의 현 위치를 파악하고 교육과정 개정 시 지향해야 할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가설 설정
  • 셋째, ‘정보’교과의 계속성이다.

    셋째, ‘정보’교과의 계속성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키워드에 따른 질의응답 제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교육
공교육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최소한의 기초 교육으로 모든 인간이 공평하게 교육받는 것

공교육은 최소한의 기초 교육으로 모든 인간이 공평하게 교육받는 것을 의미한다[4-6]. 즉, 모두에게 동일한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는 ‘평등성’을 근간으로 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교육을 통한 평등
교육을 통한 평등은 무엇을 포함할 수 있어야 하는가?
수월성

즉, 모두에게 동일한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는 ‘평등성’을 근간으로 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교육을 통한 평등은 수월성을 포함할 수 있어야 한다. 개인차를 고려한 기회의 평등인 수월성과 배려의 의미가 공교육의 큰 틀 안에서 양립할 수 있도록 구성해야 할 필요가 있다[6, 8].

공교육
공교육은 무엇을 근간으로 하는가?
평등성

공교육은 최소한의 기초 교육으로 모든 인간이 공평하게 교육받는 것을 의미한다[4-6]. 즉, 모두에게 동일한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는 ‘평등성’을 근간으로 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교육을 통한 평등은 수월성을 포함할 수 있어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1)

  1. 1. K-12 Computer Science Framework Steering Committee. "K-12 Computer Science Framework," CSTA, 2016. 
  2. 2. Information Science Committee, "Information Science Technology Education Subcommittee, The curriculum for the assurance of quality in the field of university education," Information Science Committee, 2016. 
  3. 3. Dosoon Park and Hoojo Hong, "Curriculum and Educational Evaluation," Moonumsa, 2007. 
  4. 4. Ministry of Education, "2015 General Matters on Integrated Curriculum with Moon and Science (Cyanide)," Ministry of Education, 2014. 
  5. 5. Ministry of Education, "General of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Curriculum, Annex 1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Notification No. 2015-80 (Amend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nouncement No. 2015-74)," Ministry of Education, 2015. 
  6. 6.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Revised Curriculum, General Principle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Curriculum.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Notice No. 2009-4," Ministry of Education, 2009. 
  7. 7. Kim KyungGeun, "Tasks Ahead for Achieving Compatibility of Excellence and Equality in Korea's Secondary Education System," Korean Journal Educational Research, Vol.44, No.1, pp.1-21, 2006. 
  8. 8. Kim Jamee and Lee Wongyu, "China's informatics curriculum to consider equality and excellence,"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Vol.18, No.2, pp.11-20, 2015. 
  9. 9. Moon Yonglin, "Pursuit of excellence and equality of education, development of education," The Journal of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Vol.134, pp.43-49, 2002. 
  10. 10. Kim Jamee and Lee Wongyu, "Implications for Informatics Curriculum Standard of KOREA through the Comparison of CSTA 2003 and 2011,"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Vol.19, No.12, pp.41-51, 2016. 
  11. 11. Kim Jamee and Lee Wongyu,. "Changes in the high school informatics curriculum appearing in the document system of the general guidelines of the national curriculum,"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Vol.19, No.5, pp.27-40, 2016. 
  12. 12. Lee Seungmi, "A Study on Revising the Document System of National Curriculum,"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2009. 
  13. 13. Ministry of Education, "Ordinary high school curriculum (experimental)," Ministry of Education, 2003. 
  14. 14. Kim Jamee and Lee Wongyu, "A study on India's CMC(Computer Masti Curriculum) based on Bruner's educational theories,"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Vol.17, No.6, pp.59-69. 2014. 
  15. 15. G. Biesta and M. Priestley, "A Curriculum for the twenty-first century? In M. Priestley & G. Biesta(Eds.). Reinventing the curriculum : New trends in curriculum Policy and Practice," London: Bloomsbury, pp.229-234, 2013. 
  16. 16. The ACM K-12 Task force Curriculum Committee, "A Model Curriculum for K-12 Computer Science," CSTA, 2003. 
  17. 17. The CSTA Standard Task force, "CSTA K-12 Computer science standards," CSTA, 2011. 
  18. 18. Woo Hosung, Kim Jamee, and Lee Wongyu, "A Comparative Analysis of domestic universities curriculum based on overseas higher Informatics standard curriculum,"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Vol.20, No.1, pp.27-38, 2017. 
  19. 19. Department for Education (2013). "National Curriculum in England: frame work for key stage 1 to 4," (www.education. gov.uk) 
  20. 20. Kim Jamee and Lee Wongyu, "Controversial Issues in Knowledge and Problem Solving Skills of Information Subjects Observed after Amending the Curriculum in the U.K.,"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Vol.17, No.3, pp.53-62, 2014. 
  21. 21. Ministry of Education, Culture, Sports, Science and Technology, "About notebook about informatization of education" [Internet], http://www.mext.go.jp/a_menu/shotou/zyouhou/1259413.htm. 
  22. 22. Ministry of Education, Culture, Sports, Science and Technology, "Proposed guidelines for teaching students in junior high school," 2008. 
  23. 23. Ministry of Education, Culture, Sports, Science and Technology, "High School Study Guidelines," 2009. 
  24. 24. Ministry of Education, Culture, Sports, Science and Technology, "Proposed guidelines for teaching elementary school," 2008. 
  25. 25. National Curriculum Information Center [Internet], www.ncic.re.kr. 
  26. 26. Ministry of Educatio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Curriculum. Ministry of Education Notice No. 2007-79 Separate 1," Ministry of Education, 2007. 
  27. 27. National Curriculum Information Center, "2009 Revised Curriculum, General Principle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Curriculum, Notice No. 2009-41 of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National Curriculum Information Cente, 2009. 
  28. 28. The Joint Task Force on Computing Curricula, IEEE Computer Society, "Association for Computing Machinery, Computing curricula 2001 computer science," The Joint Task Force on Computing Curricula Association for Computing Machinery (ACM) IEEE Computer Society, 2001. 
  29. 29. The Joint Task Force on Computing Curricula Association for Computing Machinery (ACM) IEEE, "Computer Society (2013), Computer Science Curricula 2013," The Joint Task Force on Computing Curricula Association for Computing Machinery (ACM) IEEE Computer Society, 2013. 
  30. 30. Association for Computing Machinery, IEEE Computer Society, "Computer science curriculum 2008: An interim revision of CS 2001,"The Joint Task Force on Computing Curricula Association for Computing Machinery (ACM) IEEE Computer Society, 2001. 
  31. 31. Joint Task Force for Computing Curricula. Computing curricula 2005: The overview report. ACM, AIS and IEEECS [Internet], http://www.acm.org/education/curric_vols/CC2005-March06Final.pdf. 
  32. 32. ACM/AIS/AITP Joint Task Force on Information Systems Curricula. IS2002 Model Curriculum and Guidelines for Undergraduate Degree Programs in Information Systems, Association for Computing Machinery, Association for Information Systems, and Association for Information Technology Professionals [Internet], http://www.acm.org/education/curricula.html. 
  33. 33. IEEE/ACM Joint Task Force on Computing Curricula, Software Engineering 2004, Curriculum Guidelines for Undergraduate Degree Programs in Software Engineering, IEEE Computer Society Press and ACM Press [Internet], http://www.computer.org/curriculumor. 
  34. 34. IEEE/ACM Joint Task Force on Computing Curricula. Computer Engineering 2004. Curriculum Guidelines for Undergraduate Degree Programs in Computer Engineering. IEEE ComputerSociety Press and ACM Press [Internet], http://www.computer.org/curriculum. 
  35. 35. The ACM SIGITE Task Force on IT Curriculum. Information Technology 2005, Curriculum Guidelines for Undergraduate Degree Programs in Information Technology, IEEE Computer Society Press and ACM Press [Internet], http://www.acm.org/education/curric_vols/IT_October_2005.pdf. 
  36. 36.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Information Education Board J07 Project Liaison Committee, "The Final Report of the Standard Curriculum "J07" by the Information Specialization Department, Symposium of the 70th National Congress of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Internet], http://www.ipsj.or.jp/12kyoiku/taikai70sympo/in dex.html. 
  37. 37.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Information Education Board J07 Project Liaison Committee, "Standard Curriculum J07 (Intermediate Report) - Information System (BOK, Body of Knowledge) interim report" [Internet], http://www.ipsj.or.jp/12kyoiku/J07/J07index.html. 
  38. 38. Ministry of Education, Culture, Sports, Science and Technology, "Knowledge system of general information processing education," 2008. 
  39. 39. Computer Science Education Committee, "Curriculum Standard Computer Science J07-CS (2009)," Japan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2009. 
  40. 40. Hagiya, "Define information science, Reference criteria of informatics," Japan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Vol.55, No.7, pp.734-743, 2015. 
  41. 41. An Younghee, Kim Jamee, and Lee Wongyu, "Subject 'Informatics' that Originated from Informatics in a Metascience as Academic base,"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Vol.19, No.3, pp.1-10, 2016. 
  42. 42. Lee Youngjoon and Choi Jeongwon, "Analysis of CS2013 for improvement of university computer science curriculum," KSCI Review, Vol.22, No.2, pp.35-40, 2014. 
  43. 43. Ministry of Education,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on curriculum organization and teaching time," Ministry of Education, 2013. 
  44. 44. Lee Yongsook, Cho Youngtae, and Hwang kyuho, "Educational contents Organization method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The Journal of Korean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e, Vol.13, pp.95-113, 1995. 
  45. 45. Hye Kyungchul, Cha Woogyu, Kim Sunjoo, and Kwon Hyukjun, "International comparison of recent educational trends and curricula around the world,"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pp.101-102, 2005. 
  46. 46. U.S. Department of Education [Internet], http://www.ed.gov/. 
  47. 47. GOV.UK [Internet], http://www.ofsted.gov.uk/. 
  48. 48. GOV.UK [Internet], http://ofqual.gov.uk/. 
  49. 49. Local Government Association, [Internet], http://www.local.gov.uk/. 
  50. 50. e-Gov [Internet], http://law.e-gov.go.jp/htmldata/S22/S22HO026.html. 
  51. 51.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2010 Curriculum. Educational Evaluation International Trend Research Project,"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2010. 

문의하기 

궁금한 사항이나 기타 의견이 있으시면 남겨주세요.

Q&A 등록

원문보기

원문 PDF 다운로드

  • ScienceON :
  • KCI :
  • AccessON :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오픈액세스(OA) 유형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DOI 인용 스타일

"" 핵심어 질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