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교육과정은 '무엇을 가르치고 배울 것인가'에 대한 것으로 지식에 대한 수준을 판단 할 수 있는 근거가 된다. 정보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되는 현 시점에서 SW중심사회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인재 양성은 국가경쟁력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고등 교육과정을 근간으로 고등학교 교육과정 지식의 깊이를 가늠하지 않고, 양적인 측면 논의에 한정하여 비교 분석한다. 연구 결과, 18개 지식 영역 중 '미국'은 15개 영역, '영국'은 10개 영역, '일본'은 7개 영역을 포함하고 있지만, '한국'은 6개 영역으로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4개국 가운데 가장 적은 내용을 가르치고 있었다. 본 연구는 교육과정 분석을 통해 한국 정보교육과정의 현 위치를 파악하고, 교육과정 개정 시 지향해야 할 내용과 함의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The curriculum is about what to teach and learn, which is the basis for judging the level of knowledge. At the present time when the necessity of informatics education is emphasized, cultivation of human resources to actively cope with the SW-oriented society is the core of national competitiven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quantitative aspects of high school curriculum based on higher education curriculum. Among the 18 knowledge areas, 'America' has 15 areas, 'UK' has 10 areas, and 'Japan' has 7 areas. However, 'Korea' has 6 area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Korea's information curriculum through the analysis of curriculum and to provide contents and implications for the curriculum revision.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본 연구는 각 국가의 정보교육과정에서 CS2013의 18개 지식 영역 중 어느 영역에 치중하고 있는지에 대한 것이다. 연구 결과도 나라별 비교를 통한 상대적 백분율이 아니며, 각 국가의 성취기준을 100으로 고려한 비율이다.
본 연구는 국내외 고등학교 정보교육과정 분석을 통해 한국 정보교육과정의 현 위치를 파악하고 교육과정 개정 시 지향해야 할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셋째, ‘정보’교과의 계속성이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공교육 | 공교육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
최소한의 기초 교육으로 모든 인간이 공평하게 교육받는 것
공교육은 최소한의 기초 교육으로 모든 인간이 공평하게 교육받는 것을 의미한다[4-6]. 즉, 모두에게 동일한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는 ‘평등성’을 근간으로 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
교육을 통한 평등 | 교육을 통한 평등은 무엇을 포함할 수 있어야 하는가? |
수월성
즉, 모두에게 동일한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는 ‘평등성’을 근간으로 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교육을 통한 평등은 수월성을 포함할 수 있어야 한다. 개인차를 고려한 기회의 평등인 수월성과 배려의 의미가 공교육의 큰 틀 안에서 양립할 수 있도록 구성해야 할 필요가 있다[6, 8]. |
공교육 | 공교육은 무엇을 근간으로 하는가? |
평등성
공교육은 최소한의 기초 교육으로 모든 인간이 공평하게 교육받는 것을 의미한다[4-6]. 즉, 모두에게 동일한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는 ‘평등성’을 근간으로 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교육을 통한 평등은 수월성을 포함할 수 있어야 한다. |
원문 PDF 다운로드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
"" 핵심어 질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