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rpose: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current situation of Korean adolescents' sexual experience and its characteristics by school level, gender, and related factors to their sexual experience. This could be the basic evidence for the development of various sex education programs for the youth...
Purpose: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current situation of Korean adolescents' sexual experience and its characteristics by school level, gender, and related factors to their sexual experience. This could be the basic evidence for the development of various sex education programs for the youth. Methods: This study used the 11th online survey data on youth health behavior (2015) and all 68,043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were included for the analysis. The binominal logistic regression model was use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and relevant factors of sexual intercourse experience. Analysis was performed by complex sample design using SPSS/WIN 18.0.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defined as p<.05 with a two-sided test. Results: The factors related to sexual experience of adolescents included grade, sadness and hopelessness, smoking, Internet addiction, and sex education in school, for middle school boys. For middle school girls, grade, residence area, sadness and hopelessness, smoking, drinking, and sex education in school were related. For high school boys, the factors were grade, living with parents, economic situation, sadness and hopelessness, smoking, drinking, and Internet addiction. For high school girls, grade, sadness and hopelessness, smoking, and drinking were found to be related factor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 practical program considering adolescents' level and characteristics should be developed and applied.
Purpose: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current situation of Korean adolescents' sexual experience and its characteristics by school level, gender, and related factors to their sexual experience. This could be the basic evidence for the development of various sex education programs for the youth. Methods: This study used the 11th online survey data on youth health behavior (2015) and all 68,043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were included for the analysis. The binominal logistic regression model was use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and relevant factors of sexual intercourse experience. Analysis was performed by complex sample design using SPSS/WIN 18.0.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defined as p<.05 with a two-sided test. Results: The factors related to sexual experience of adolescents included grade, sadness and hopelessness, smoking, Internet addiction, and sex education in school, for middle school boys. For middle school girls, grade, residence area, sadness and hopelessness, smoking, drinking, and sex education in school were related. For high school boys, the factors were grade, living with parents, economic situation, sadness and hopelessness, smoking, drinking, and Internet addiction. For high school girls, grade, sadness and hopelessness, smoking, and drinking were found to be related factor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 practical program considering adolescents' level and characteristics should be developed and applied.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전국 청소년을 대상으로 조사하는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청소년의 학교급 및 성별에 따른 성경험 실태와 특성을 파악하고, 성경험의 관련요인을 확인함으로서 청소년의 성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제11차(2015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청소년의 성경험 관련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단면연구(cross-sectional study)이다.
본 연구는 제11차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청소년의 학교급 및 성별에 따른 성경험 실태와 특성을 파악하고 성경험 관련요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제11차(2015)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청소년의 학교급 및 성별에 따른 성경험 관련요인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제안 방법
본 연구에서 활용한 제11차(2015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 조사는 13개 영역, 111개 지표로 구성된 자료이다. 이 중 본 연구에서는 흡연, 음주, 인터넷 중독, 성행태 항목을 활용하였다.
대상자는 학교급 및 성별에 따라 중학교 남학생, 중학교 여학생, 고등학교 남학생, 고등학교 여학생으로 구분하여 확인하였고, 성경험은 지금까지 이성 및 동성과의 성관계 중 해당하는 곳이 한 곳이라도 있다고 응답한 경우로 구분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학년, 거주 지역, 부모와의 동거, 경제상태, 학업성적, 슬픔 및 절망감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학년은 각 학교급 별 학년에 따라 중, 고등학교 및 1,2,3학년으로 구분하였고, 거주 지역은 대도시, 중소도시, 군 지역으로 구분하였으며, 부모와의 동거는 부모 모두와 함께 살고 있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로 구분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학년, 거주 지역, 부모와의 동거, 경제상태, 학업성적, 슬픔 및 절망감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학년은 각 학교급 별 학년에 따라 중, 고등학교 및 1,2,3학년으로 구분하였고, 거주 지역은 대도시, 중소도시, 군 지역으로 구분하였으며, 부모와의 동거는 부모 모두와 함께 살고 있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로 구분하였다. 경제상태 및 학업성적은 원시자료에서는 상, 중상, 중, 중하, 하로 구분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상(상, 중상), 중, 하(중하, 하)로 재 구분하였고, 슬픔 및 절망감은 최근 12개월 동안 2주 내내 일상생활을 중단할 정도로 슬프거나 절망감을 느낀 적이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로 구분하였다.
학년은 각 학교급 별 학년에 따라 중, 고등학교 및 1,2,3학년으로 구분하였고, 거주 지역은 대도시, 중소도시, 군 지역으로 구분하였으며, 부모와의 동거는 부모 모두와 함께 살고 있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로 구분하였다. 경제상태 및 학업성적은 원시자료에서는 상, 중상, 중, 중하, 하로 구분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상(상, 중상), 중, 하(중하, 하)로 재 구분하였고, 슬픔 및 절망감은 최근 12개월 동안 2주 내내 일상생활을 중단할 정도로 슬프거나 절망감을 느낀 적이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로 구분하였다.
건강행태는 흡연, 음주, 인터넷 중독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흡연은 원시자료에 따라 지금까지 담배를 한 두 모금이라도 피워본 적이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로 구분하였고, 음주는 원시자료에 따라 지금까지 1잔 이상 술을 마셔본 적이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로 구분하였다.
건강행태는 흡연, 음주, 인터넷 중독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흡연은 원시자료에 따라 지금까지 담배를 한 두 모금이라도 피워본 적이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로 구분하였고, 음주는 원시자료에 따라 지금까지 1잔 이상 술을 마셔본 적이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로 구분하였다. 인터넷 중독은 주중과 주말에 학습목적 및 학습목적 이외 인터넷을 사용한 시간의 총 합을 계산하여 일반사용자군과 위험사용자군으로 구분하였으며, K척도의 중 ․ 고등학생의 경우를 기준으로 하였다.
흡연은 원시자료에 따라 지금까지 담배를 한 두 모금이라도 피워본 적이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로 구분하였고, 음주는 원시자료에 따라 지금까지 1잔 이상 술을 마셔본 적이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로 구분하였다. 인터넷 중독은 주중과 주말에 학습목적 및 학습목적 이외 인터넷을 사용한 시간의 총 합을 계산하여 일반사용자군과 위험사용자군으로 구분하였으며, K척도의 중 ․ 고등학생의 경우를 기준으로 하였다. 자가 인터넷 중독을 진단하는 기준인 K척도는 1일 인터넷 접속시간이 2시간 정도의 경우 일반사용자군, 3시간 정도의 경우 잠재적 위험사용자군, 4시간 이상의 경우 고위험사용자군으로 분류하는데, 본 연구에서는 일반 사용자군과 위험사용자군(잠재적 위험사용자군, 고위험사용자군)으로 재분류하였다.
인터넷 중독은 주중과 주말에 학습목적 및 학습목적 이외 인터넷을 사용한 시간의 총 합을 계산하여 일반사용자군과 위험사용자군으로 구분하였으며, K척도의 중 ․ 고등학생의 경우를 기준으로 하였다. 자가 인터넷 중독을 진단하는 기준인 K척도는 1일 인터넷 접속시간이 2시간 정도의 경우 일반사용자군, 3시간 정도의 경우 잠재적 위험사용자군, 4시간 이상의 경우 고위험사용자군으로 분류하는데, 본 연구에서는 일반 사용자군과 위험사용자군(잠재적 위험사용자군, 고위험사용자군)으로 재분류하였다.
본 연구에서 활용한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는 복합표본방법으로 설계되어 있어 복합표본 통계분석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가중치변수, 층화변수, 집락변수를 고려하였다.
청소년의 성경험은 음주, 흡연, 약물사용과 관련이 있고, 음주, 흡연, 약물사용을 경험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경험한 경우가 성경험이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다[10]. 하지만 본 연구에서 활용한 제11차(2015년) 청소년건강행태 온라인조사에서는 약물에 대한 항목이 제외되어 약물사용과의 관련성을 확인할 수 없었으며, 흡연 및 음주와 함께 인터넷 중독을 포함하여 성경험의 관련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중학교 남녀학생 및 고등학교 남녀학생 모두 흡연 경험이 없는 경우에 비해 흡연 경험이 있는 경우 성경험 교차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중학교 및 고등학교의 여학생의 경우 각각 5.
대상 데이터
본 연구는 교육부, 보건복지부 및 질병관리본부에서 시행한 제11차(2015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의 원시자료를 질병관리본부의 원시자료 공개 및 관리규정에 의거하여 홈페이지를 통해 이용 승인 후 제공받아 활용하였다.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는 질병관리본부에서 기관생명윤리위원회 심의를 받아(2014-06EXP-02-P-A) 시행된 정부승인통계(승인번호 11758호) 조사로 우리나라 중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까지의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익명성 자기기입식 온라인조사이다. 목표모집단은 2015년 4월 기준의 전국 중 ․ 고등학교 재학생으로 정의하였으며, 표본설계를 위해 2014년 4월 기준의 전국 중 ․ 고등학교 자료를 사용하였다. 표본추출은 모집단층화, 표본배분, 표본추출 단계의 과정을 거쳐 총 800개교의 70,362명을 대상을 선정하였고, 최종 797개교 68,043명이 조사에 참여하였다.
목표모집단은 2015년 4월 기준의 전국 중 ․ 고등학교 재학생으로 정의하였으며, 표본설계를 위해 2014년 4월 기준의 전국 중 ․ 고등학교 자료를 사용하였다. 표본추출은 모집단층화, 표본배분, 표본추출 단계의 과정을 거쳐 총 800개교의 70,362명을 대상을 선정하였고, 최종 797개교 68,043명이 조사에 참여하였다.
본 연구는 조사에 참여한 대상자 68,043명 모두를 최종 분석대상으로 하였으며, C대학교 생명윤리심의(1044348-20170420-HR-006-01)를 받아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활용한 제11차(2015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 조사는 13개 영역, 111개 지표로 구성된 자료이다. 이 중 본 연구에서는 흡연, 음주, 인터넷 중독, 성행태 항목을 활용하였다.
대상자는 우리나라 중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까지의 학생 68,043명이었다. 거주 지역은 대도시가 51.
데이터처리
본 연구의 자료분석은 SPSS/WIN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처리 하였고, 통계학적 유의수준은 양측검정 p<.05로 하였다.
05로 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건강행태, 학교 성교육 수혜여부와 성경험은 실수와 백분율을 구하였고, 각 특성에 따른 성경험여부는 교차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성경험의 관련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오즈비(odds ratio)와 95% 신뢰구간을 제시하였다.
대상자의 성경험 관련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성능/효과
중학교 남학생은 학년, 경제상태, 학업성적, 슬픔 및 절망감, 흡연, 음주, 인터넷중독, 학교 성교육 수혜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은 3학년의 경우(p=.
고등학교 여학생은 학년, 부모와의 동거, 경제상태, 학업성적, 슬픔 및 절망감, 흡연, 음주, 인터넷 중독, 학교 성교육 수혜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은 3학년의 경우(p<.
중학교 남학생은 학년, 슬픔 및 절망감, 흡연, 인터넷 중독, 학교 성교육 수혜여부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은 1학년의 경우가 3학년의 경우에 비해 2.
40). 흡연은 경험이 있는 경우가 경험이 없는 경우에 비해 2.49배 높았고(95% CI=1.84~3.38), 인터넷 중독은 위험사용자군의 경우가 일반사용자군의 경우에 비해 2.27배 높았으며(95% CI=1.64~3.13), 학교에서 성교육을 받지 않은 경우가 받은 경우에 비해 1.55배 높았다(95% CI=1.20~2.00).
48). 흡연 및 음주는 경험이 있는 경우가 없는 경우에 비해 각각 5.27배(95% CI=3.15~8.82), 1.80배 높았고(95% CI=1.21~2.68), 학교에서 성교육을 받지 않은 경우가 받은 경우에 비해 1.58배 높았다(95% CI=1.01~2.49).
고등학교 여학생은 학년, 슬픔 및 절망감, 흡연, 음주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은 1학년의 경우에 비해 2학년의 경우가 1.96배(95% CI=1.28~2.99), 3학년의 경우가 2.16배 높았고(95% CI=1.48~3.14), 슬픔 및 절망감은 느낀 경우가 느끼지 않은 경우에 비해 2.17배 높았으며(95% CI=1.67~2.83), 흡연 및 음주는 경험이 있는 경우가 경험이 없는 경우에 비해 각각 5.31배(95% CI=3.90~7.23), 4.42배 높았다(95% CI=2.90~6.72)(Table 3).
연구결과 성 경험률은 중학교 학생보다 고등학교 학생이, 그리고 여학생보다 남학생이 더 높은 수치를 나타내어 성관계 경험이 여자보다 남자의 경우 더 많다고 한 선행연구[13,16]의 결과와 일치하였다. 이는 본 연구에서 활용한 문항이 성경험이 있는지를 확인한 단면조사이기 때문에 고등학교 학생의 경우 중학교 학생 시기부터 경험한 것이 포함되어 있어 더 높은 수치를 나타낸 것으로 생각된다.
성경험을 학교급과 성별에 따라 살펴본 결과, 성경험에는 중학교 남학생의 경우 학년, 슬픔 및 절망감, 흡연, 인터넷 중독, 학교성교육 수혜여부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중학교 여학생은 학년, 거주 지역, 슬픔 및 절망감, 흡연, 음주, 학교성교육 수혜여부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고등학교 남학생은 학년, 부모와의 동거, 경제상태, 슬픔 및 절망감, 흡연, 음주, 인터넷 중독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고등학교 여학생은 학년, 슬픔 및 절망감, 흡연, 음주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경험을 학교급과 성별에 따라 살펴본 결과, 성경험에는 중학교 남학생의 경우 학년, 슬픔 및 절망감, 흡연, 인터넷 중독, 학교성교육 수혜여부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중학교 여학생은 학년, 거주 지역, 슬픔 및 절망감, 흡연, 음주, 학교성교육 수혜여부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고등학교 남학생은 학년, 부모와의 동거, 경제상태, 슬픔 및 절망감, 흡연, 음주, 인터넷 중독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고등학교 여학생은 학년, 슬픔 및 절망감, 흡연, 음주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각 특성별로 보면, 학년은 중학교의 경우 남녀학생 모두 3학년에 비해 1학년의 교차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중학교 성경험 비율이 2학년에 비해 1학년이 높게 나타나 청소년의 성관계 시작 연령이 전반적으로 빨라지고 있다고 한 Gwon과 Lee [7]의 연구와 같은 맥락의 결과를 나타내었고, 고등학교의 경우 남녀학생 모두 1학년에 비해 학년이 높아질수록 성경험의 교차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청소년의 연령이 증가할수록 성행동이 증가한다고 보고한 Kim [17]의 연구와 일치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는 현대사회의 다양한 매체에서 성에 대한 정보가 무분별하게 제공되면서 청소년의 성경험의 기회를 높이는[18] 것과 관련이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이는 현대사회의 다양한 매체에서 성에 대한 정보가 무분별하게 제공되면서 청소년의 성경험의 기회를 높이는[18] 것과 관련이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거주 지역은 중학교 여학생의 경우에만 군 지역에 비해 중소도시에 거주하는 경우와 대도시에 거주하는 경우의 순으로 성경험의 교차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와의 동거는 고등학교 남학생의 경우에서만 부모와 동거하고 있는 경우에 비해 동거하고 있지 않는 경우 성경험 교차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거주 지역은 중학교 여학생의 경우에만 군 지역에 비해 중소도시에 거주하는 경우와 대도시에 거주하는 경우의 순으로 성경험의 교차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와의 동거는 고등학교 남학생의 경우에서만 부모와 동거하고 있는 경우에 비해 동거하고 있지 않는 경우 성경험 교차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여러 선행연구에서 가족과의 동거 여부가 성경험의 영향요인인 것으로 나타난 결과들과 일치한다[19,20].
이는 가정의 경제적 위기, 부모의 무관심 가족 구조 등의 가정환경이 청소년 심리변화에 많은 영향을 미치므로 안정적 가정환경의 조성에 대한 중요성의 근거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10]. 경제 상태에 따른 성경험은 고등학교 남학생의 경우에서만 경제상태가 하인 경우에 비해 상인 경우 성경험의 교차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경제수준이 보통인 경우보다 높거나 낮은 경우, 위험 성행동이 증가한다고 밝힌 연구[13]와 생활수준이 낮을수록 청소년의 성충동 또는 문제행동이 많다고 밝힌 연구결과와는 일치하지 않는 결과를 나타내었다[21,22].
Pyo 등[10]의 연구에는 경제적 수준이 청소년의 성경험과 관련이 있었으며, 경제적으로 상과 하인 경우가 중, 중상, 중하인 경우보다 성경험이 많은 것으로 나타나 중산층보다 경제수준이 아주 높은 경우 성경험이 많고, 아주 낮은 경우에도 성경험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슬픔 및 절망감은 중학교 남녀학생 및 고등학교 남녀학생 모두 경험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경험한 경우 성경험 교차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고등학교 여학생의 경우 교차비가 2.
하지만 본 연구에서 활용한 제11차(2015년) 청소년건강행태 온라인조사에서는 약물에 대한 항목이 제외되어 약물사용과의 관련성을 확인할 수 없었으며, 흡연 및 음주와 함께 인터넷 중독을 포함하여 성경험의 관련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중학교 남녀학생 및 고등학교 남녀학생 모두 흡연 경험이 없는 경우에 비해 흡연 경험이 있는 경우 성경험 교차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중학교 및 고등학교의 여학생의 경우 각각 5.27배, 5.31배로 나타나 경험이 없는 경우에 비해 5배 이상 교차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음주는 중학교 여학생 및 고등학교 남녀학생에서 경험이 없는 경우에 비해 경험이 있는 경우 성경험 교차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고등학교 여학생의 경우 교차비가 4.
31배로 나타나 경험이 없는 경우에 비해 5배 이상 교차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음주는 중학교 여학생 및 고등학교 남녀학생에서 경험이 없는 경우에 비해 경험이 있는 경우 성경험 교차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고등학교 여학생의 경우 교차비가 4.42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음주, 흡연, 약물사용과 같은 물질 사용과 관련된 건강행위가 성행동과 관련이 있다는 Kim과 Cho [18]의 연구결과와 유사하였다.
우리사회에서 청소년의 흡연과 음주에 비하여 약물 사용에 대하여 관심을 갖지 않는 경향이 있는데 청소년 약물사용은 잘 알지 못하는 사람과의 성관계나 다수의 파트너와의 성관계 같은 위험 성행동의 가능성과 관련이 높기 때문에[24] 사회문제로서 적극적인 관심과 대책을 마련해야 할 청소년 건강 문제이기도 하다[7]. 인터넷 중독은 중학교 남학생과 고등학교 남학생의 경우에서 일반사용자군에 비해 위험사용자군의 경우 성경험 교차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학교 남학생의 경우가 2.27배로 고등학교 남학생의 경우 1.70배보다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특히 한국정보화진흥원의 2014년 인터넷 중독 실태조사에 따르면 청소년 인터넷 중독 위험군은 12.
학교 성교육 수혜여부는 중학교 남녀학생의 경우에서 학교에서 성교육을 받은 학생에 비해 받지 않은 경우 남학생은 1.55배, 여학생은 1.58배의 성경험 교차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Yu 등[8]의 연구에서 성교육은 안하는 것이 하는 것보다 중학교 남학생 및 여학생의 성 경험률을 각각 1.
청소년의 성경험에는 학년, 슬픔 및 절망감, 흡연, 음주가 학교급 및 성별에 따라 공통적인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교급에서는 학교 성교육 수혜여부가, 성별에서는 인터넷 중독이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교급 및 성별에 따라 각각을 살펴볼 때, 거주 지역, 부모와의 동거, 경제상태, 음주도 추가적으로 청소년의 성경험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의 성경험에는 학년, 슬픔 및 절망감, 흡연, 음주가 학교급 및 성별에 따라 공통적인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교급에서는 학교 성교육 수혜여부가, 성별에서는 인터넷 중독이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교급 및 성별에 따라 각각을 살펴볼 때, 거주 지역, 부모와의 동거, 경제상태, 음주도 추가적으로 청소년의 성경험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후속연구
1%에서 성교육이 필요하다고 느끼고 있었으며[27], 중학교 여학생을 대상으로 한 성교육의 결과 건강한 성적욕구 해소 방법, 책임 있는 성가치관과 안전한 성가치관 점수가 증가하였는데[28], 이러한 결과들은 청소년기의 이른 시기에 성관계를 시작하여 성 건강 문제를 야기하는 청소년들을 위한 학교 성교육이야말로 청소년기의 위험을 예방할 수 있는 중요한 대책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학교 성교육의 교육성과를 위해서 청소년의 성 경험의 위험 요인을 토대로 위험 집단을 파악하고 집단별 수준과 특성에 적합한 교육 방법과 내용으로 구성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해야 할 것이다. 또한 고등학교 학생의 경우에서 학교 성교육 수혜 여부가 관련요인으로 나타나지 않았는데, 학교에서 성교육 수혜율을 살펴보면 남학생의 경우 65.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전체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조사이지만 학교에 다니고 있지 않은 경우를 포함하지 못하였고, 자기기입식 설문조사이기 때문에 문제행동으로 다루어지는 흡연, 음주, 인터넷 중독, 성행태에 대한 응답의 성실성을 보장할 수 없다는 점에서 제한점을 가진다. 하지만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전체 청소년의 대표 표본을 이용한 조사를 활용하여 청소년의 성경험을 학교급 및 성별에 따라 구분하여 비교하였으며, 기존 연구에서 활발하지 못하였던 인터넷 중독을 포함하여 성경험의 관련요인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학교 성교육의 내실화를 위해 학교급 별 성교육 표준안 및 내용체계가 개발되어 수행되고 있으며, 성교육에 대한 학생들의 관심과 동기를 부여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특성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므로 성교육 진행에 앞서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학교급 및 성별을 고려한 성문제 고위험 집단의 기준을 설정하고, 각 집단의 특성과 수준에 적합한 성교육 내용을 성교육 표준안을 바탕으로 재구성하여 학생들이 성문제에 스스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출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특히, 중학생의 경우에서 학교의 성교육 수혜여부가 성경험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성교육의 내실화를 강화시킬 수 있는 각 학교급의 교사, 학생, 학부모 대상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이를 적용하여 학교급의 수준에 따른 연계가 될 수 있도록 단계별 성교육의 강화를 위한 전략과 성 건강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성교육 진행에 앞서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학교급 및 성별을 고려한 성문제 고위험 집단의 기준을 설정하고, 각 집단의 특성과 수준에 적합한 성교육 내용을 성교육 표준안을 바탕으로 재구성하여 학생들이 성문제에 스스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출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특히, 중학생의 경우에서 학교의 성교육 수혜여부가 성경험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성교육의 내실화를 강화시킬 수 있는 각 학교급의 교사, 학생, 학부모 대상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이를 적용하여 학교급의 수준에 따른 연계가 될 수 있도록 단계별 성교육의 강화를 위한 전략과 성 건강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청소년의 학교급 및 성별에 따른 성경험 실태와 특성을 파악하고, 성경험의 관련요인을 확인하여 청소년의 성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한 배경은 무엇인가?
청소년들은 인터넷, 스마트폰, SNS와 같은 미디어를 통해 성에 대한 개방성을 증가시킨다[14]. 하지만 청소년의 성경험을 다룬 연구들이 인터넷 중독을 포함하여 관련성을 확인한 연구가 활발하지 않고, 연구의 대상을 청소년의 일부특성으로만 다루어서[7,8] 우리나라 전체 청소년을 대상으로 학교급 및 성별에 따라 성경험을 파악하는 것은 더욱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학교급 및 성별에 따른 청소년의 성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성경험 위험집단 파악을 위해서는 청소년의 성경험 실태와 관련요인을 파악하는 것은 반드시 선행되어야 하므로, 우리나라 청소년의 대표성을 가진 표본을 이용하여 청소년기의 인터넷 중독을 포함하여 성경험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은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청소년들의 성관련 사회문제를 야기시키는 원인은 무엇인가?
또한 급속한 성적발달의 진행으로 성적 호기심이 왕성해지며, 이 시기에 성적욕구의 충족을 위한 건전한 경험은 긍정적인 성정체감 형성에 도움을 준다[1]. 그러나 현대 사회의 개방화된 성문화와 대중매체를 통한 무분별한 성적 표현물의 노출은 과도기적 발달단계인 청소년들의 혼전 성관계 증가, 첫 성관계 연령 저하 등 심각한 사회문제를 야기하고 있다[2].
청소년의 특징은?
청소년기는 아동기에서 성인기로 변화하는 시기로, 신체적․ 정서적 ․ 도덕적 ․ 사회적 발달이 완성되지 않은 불안정한 상태이다. 또한 급속한 성적발달의 진행으로 성적 호기심이 왕성해지며, 이 시기에 성적욕구의 충족을 위한 건전한 경험은 긍정적인 성정체감 형성에 도움을 준다[1].
참고문헌 (28)
Lee IS, Choi GY, Cha SH, Park HY, Lee JJ. A survey on the sexual behavior of adolescents in South Korea: The third survey in 2007. Kore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2010;53(6):512-519. https://doi.org/10.5468/kjog.2010.53.6.512
Kim SJ, Moon IO. The effect of video and discussion based intervention on the adolescents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 sexuality. Journal of Korean Health Study Association. 2004;30(1):85-95.
Armour S, Haynie DL. Adolescent sexual debut and later delinquency.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2007;36(2):141-152. https://doi.org/10.1007/s10964-006-9128-4
McGue M, Lacono WG. The association of early adolescent problem behavior with adult psychopathology. American Journal Psychiatry. 2005;162:1118-1124. https://doi.org/10.1176/appi.ajp.162.6.1118
Ministry of Education. Ministry of health &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The 9th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2013. Chungwon: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3. p. 1-421.
Peltzer K. Early sexual debut and associated factors among inschool adolescents in eight African countries. Acta Paediatrica. 2010;99(8):1242-1247. https://doi.org/10.1111/j.1651-2227.2010.01874.x
Gwon SH, Lee CY. Factors that influence sexual intercourse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Using data from the 8th (2012)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5;45(1):76-83. https://doi.org/10.4040/jkan.2015.45.1.76
Yu JO, Kim HH, Kim JS. Factors associated with sexual debut among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14;20(3):159-167. https://doi.org/10.4094/chnr.2014.20.3.159
Biddlecom A, Awusabo-Asare K, Bankole A. Role of parents in adolescent sexual activity and contraceptive use in four African countries. International Perspectives on Sexual and Reproductive Health. 2009;35(2):72-81. https://doi.org/10.1363/3507209
Pyo EY, An JY, Jeong JO, Yi YJ. Effects of drinking, smoking and drug use experience on adolescents' sexual intercourse: Using the data of the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from 2010 to 2014. Journal of Korean Society School Health. 2016;29(3):299-309. https://doi.org/10.15434/kssh.2016.29.3.299
Lee GC, Kim YJ, Shin YK, Park SH, Tockgo YC. The state of smoking and alcohol use in Korean adolescents. Korean Journal of Pediatrics. 1997;40(3):307-317.
Song EH, Bang MY, Hong JS. Comparison of self-control, selfesteem, and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between adolescents at risk for internet addiction and adolescents without risk. The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2016;17(1):167-187. https://doi.org/10.19049.JSPED.2016.17.1.07
Jo JY, Kim YH. A path model of self, family, & extra familial system factors associated with adolescents' sexual risk behaviors.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2006;44(3):181-195.
Lee GY, Song SH. Influence of media literacy and self-esteem on sexual permissiveness among high school stud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2016;16(2):740-749. https://doi.org/10.5392/JKCA.2016.16.02.740
Song BS, Sung MS, Kim CG. Sexual knowledge of the male high school students in a rural area of Gangwon provin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05;12(3):374-381.
Rew L, Carver T, Li CC. Early and risky sexual behavior in a sample of rural adolescents. Issues in Comprehensive Pediatric Nursing. 2011;34(4):189-204. https://doi.org/10.3109/01460862.2011.619861
Kim HW. The relationships among sexual knowledge, attitudes, behaviors of male and female high school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2003;15(2):309-328.
Kim JS, Cho SW. An analysis of current status of sexual behaviors and consciousness about sex of adolescents: On adolescents includ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School Social Work. 2010;19:61-87.
Park IS, Baek YO, Han IY. A research on risk factors of adolescent sexual behaviors. Korean Journal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2001;12(1):138-148.
Sohn A, Kim SK, Chun SS. Alcohol use and sexual behavior among adolescents. The Journal of Korean Alcohol Science. 2002;3(2):175-187.
Choi MH. The study of the sexual behaviors of adolescents by sex, school, and life environment [master's thesis]. Seosan: Hanseo University; 2004. p. 1-74.
Park SE, Yoon SN, Yi Y, Cui W, Nam B.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adolescents smoking: Difference between Korean and Korean-Chinese. Asian Nursing Research. 2011;5(3):189-195. https://doi.org/10.1016/j.anr.2011.09.008
Spriggs AL, Halpern CT. Sexual debut timing and depressive symptoms in emerging adulthood.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2008;37(9):1085-1096. https://doi.org/10.1007/s10964-008-9303-x
Tapert SF, Aarons GA, Sedlar GR, Brown SA. Adolescent substance use and sexual risk-taking behavior. The Journal of Adolescent Health. 2001;28(3):Cited by Yu JO, Kim HH, Kim JS. Factors associated with sexual debut among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14;20(3):159-167. https://doi.org/10.4094/chnr.2014.20.3.159
Cho MJ. A study of moderators to adolescents' internet addiction.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Youth Facility and Environment. 2010;8(3):167-187.
Kang MJ, Shin Ek, Kim SA. Analyses of research tren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et usage and psychosocial development of Korean adolescent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015;22(2):95-144.
Im MY, Mun YH. A study on knowledge, attitude and experience of middle school boys toward sexual behavio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03;14(2):223-231.
Kang SJ, Cho BE. The effects of storytelling techniques in the sex education on sound sexual value of middle school students - Focused on the contents of the unit of 'understanding of adolescents' in technology.home economics textbook in middle school.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013;25(1):15-36.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