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등학생의 건강행위와 우울 및 자아탄력성의 관계
Relations of Depression, Ego-resilience and Health Behaviors in High School Students 원문보기

韓國學校保健學會誌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v.30 no.2, 2017년, pp.174 - 180  

김은경 (국립군산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examined depression, ego-resilience and health behaviors of high school student in order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among these variables. Methods: The study used raw data from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conducted in 2015.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21.0 fo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우울, 자아탄력성과 건강행위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로 청소년 건강증진을 위한 학교보건사업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결과 학업성적과 주관적 건강상태는 고등학생의 우울과 자아탄력성에 공통으로 영향을 미치며 우울과 자아탄력성은 서로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관계로 확인되었다.
  •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우울, 자아탄력성과 건강행위의 정도를 파악하고, 이들 변수의 상관관계와 관련요인을 분석하기 위한 이차자료분석연구이다.
  • 이에 본 연구는 고등학생들의 건강행위에 따른 우울 및 자아탄력성의 정도를 파악하고, 영향 요인들을 확인하여 청소년의 정신건강증진을 위한 학교보건 프로그램개발의 근거 자료를 마련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우울, 자아탄력성과 건강행위의 정도와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우울과 자아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최근 청소년 자살과 우울이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상황에서 관련요인에 대한 선행연구결과를 뒷받침하고, 우울 및 자아탄력성과 건강행위와의 관계를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연구대상과 도구, 방법 등을 다양화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고등학생들의 건강행위에 따른 우울 및 자아탄력성의 정도를 파악하고, 영향 요인들을 확인하여 청소년의 정신건강증진을 위한 학교보건 프로그램개발의 근거 자료를 마련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우울, 자아탄력성과 건강행위의 정도와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우울과 자아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 청소년기의 발달과정상 혼란스러운 특성으로 우울이 유발되기 쉽고, 이러한 우울증은 방치할 경우 학습장애, 자살, 약물 남용, 비행, 현실장애등의 다른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4-6]. 이에 본 연구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건강행위에 따른 우울과 자아탄력성의 차이를 비교하고 우울과 자아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파악하여 청소년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결과 우울에 영향력이 있는 변수는 성별, 학업성적, 경제상태, 주관적 건강상태, 음주, 자아탄력성점수로 나타났고 자아탄력성에 영향력이 있는 변수는 학업성적, 주관적 건강상태, 체육교과시간 중 운동시간, 흡연, 우울점수로 나타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아탄력성이란 무엇인가? 지금까지 선행연구를 통해 청소년의 우울과 관련 있는 요인으로 보고되고 있는 것 중 하나가 자아탄력성이다[11]. 자아탄력성은 내적 ․ 외적인 스트레스에 대하여 융통성 있고 풍부한 적응능력으로 ‘개인의 자아통제를 변동시키는 역동적 능력’이라고 할 수 있다[12]. 즉, 위험한 환경이나 부정적인 생활사건 등 스트레스가 증가하는 상황 하에서도 스트레스의 영향을 덜 받으며, 변화나 역경에 유능하게 대처함으로써 충격, 역경으로부터 빨리 회복되는 힘, 혹은 상황에 따라서 알맞게 대처하는 능력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11].
청소년기 주요 정서문제인 우울은 어떠한 부정적인 면들이 있는가? 청소년의 우울은 가정생활, 학교생활의 부적응, 자살 등 정신건강문제를 유발하는 등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특히 청소년기 우울증은 자살의 주요 위험요인으로 청소년의 질병과 장애의 주요 원인으로 나타나고 있다[4]. 또한 청소년기의 우울은 비행, 약물남용, 문제음주 등과도 상관관계가 있어[5,6], 장기적으로 성인기의 사회적 기능 수행에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7]. 그리고 우울을 경험한 청소년의 경우 현재 흡연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으며 흡연을 시작할 위험이 증가한다[8]. 이와 같이 청소년기 주요 정서문제인 우울은 개인의 신체적 정서적 손상 외에 가족, 학교 및 사회 전체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9].
우울과 자아탄력성의 관계에 대한 선행연구는 어떠한가? 우울과 자아탄력성의 관계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우울의 심리적 특성으로 자아존중감, 사회적 지지, 정서조절, 자아정체감, 분노통제 등이 보고되고 있고[14]자아탄력성은 청소년들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쳐 부정적인 정서를 감소시킨다는 연구결과를 나타내었다[15]. 지금까지 우울과 자아탄력성의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는 주로 개별적으로 이루어져 왔고 건강행위와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며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우울 및 자아탄력성과 건강행위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5th ed.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Publishing; 2013. p. 1-991. 

  2.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Reports on the 12th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Seoul, Korea: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6. p. 1-391. 

  3. Dumas JE, Nilsen WJ. Abnormal Child and Adolescent Psychology. Boston: Allyn and Bacon; 2003. p. 1-548. 

  4. Kim HJ. A study for Influential factors on depression of adolescents [master's thesis]. Seoul: Kookmin University; 2015. p. 1-91. 

  5. Park SY, Lae HJ. Determinants of problem-drinking behavior among Korean adolescents: Focusing on socio-demographic, health and delinquent behavior factors.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Wellness. 2013;8(1):33-44. 

  6. Lee JS, Lee HS. Relationships of individual and family variables with adolescents' depression.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012;24(4):77-89. 

  7. Lee S, Hoe M. The analysis of longitudinal causal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delinquency in adolescents. Journal of Youth Welfare. 2015;17(2):241-264. 

  8. Ahn J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pensity of depression and smoking of high-school girls in Korea [master's thesis]. Seoul: Ewha University; 2000. p. 1-67. 

  9. Kim BY, Lee CS. A meta-analysis of variables related to suicidal ideation in adolesc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2009;39(5):651-661. https://doi.org/10.4040/jkan.2009.39.5.651 

  10. Lim ST, Kim JH, Jeong US. The moderating effects of perfectionism on the relations between stressors and depression of youths. Journal of Youth Welfare. 2011;13(3):243-260. 

  11. Kim SH. Relationship between middle school students' egoresilience and their stress and depression [master's thesis]. Cheongju: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2010. p. 1-77. 

  12. Block J, Kremen AM. IQ and ego-resiliency:conceptual and empirical connections and separaten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996;70(2):349-361. 

  13. Robert LS. An investigation of a theoretical model of health-Related outcomes of resilience in middle adolescents [dissertation]. New Jersey: The State University of New Jersey; 2013. p. 1-134. 

  14. Yoon SY. Mediating effects of self-encourage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mental health among adolescents [master's thesis]. Seoul: Sungshin Women's University; 2011. p. 1-41. 

  15. Jeong MG. The effect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selfresilience on mental health.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015;22(11):137-162. 

  16. Kim JW, Kim GI, Won HT. Korean manual of symptom checklist-90-revision (SCL-90-R). Seoul: ChungAng Apitude Publishing; 1984. p. 7-39. 

  17. Yoo SK, Shim HW. Psychological protective factors in resilient adolescents in Korea. The Korean Society Educational Psychology. 2002;16(4):189-206. 

  18. Cho HJ. A study on the risk factors and the protective factors affecting of adolescents' depression [master's thesis]. Seoul: Chung-Ang University; 2016. p. 1-81. 

  19. Lee EM, Park IJ.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child bonding and children's ego-resiliency.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2002;7(1):3-24. 

  20. Kim MH. Testing meadiating effects of rumination in the relations between attachment to parent and depression in adolescents [master's thesis]. Gwangju: Kwangju Women's University; 2013. p. 1-52. 

  21. Kim BR, Lee G. The influence of negative life events, ego-resiliency, and peer relationships. The Korean Education Research Association. 2010;48(3):1-24. 

  22. Kim JY, Lee DE, Chung YK. The impact of academic stress on delinquent behavior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hild Welfare. 2013;41:101-123. 

  23. Lee SY. The effects of family-environment on school adjustment of adolescents: Mediating effect of ego-resiliency, academic, academic stress, mental health [dissertation]. Seoul: Seoul Women's University; 2010. p. 1-155. 

  24. Boardman, JD. Self-rated health among U. S. adolescents. Journal of Adolescent Health. 2006;38(4):401-408. https://doi.org/10.1016/j.jadohealth.2005.01.006 

  25. Kang HS, Kim KJ. The correlation between depression and physical health among the aged.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Association. 2000;26(4):451-459. 

  26. Kim JY, Song YLA. Economic hardship,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and depression in adolescence: A longitudinal approach.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013;20(5):131-155. 

  27. Song AY, Park KN, Cheong SJ. Study on adolescents' status offenses based on general strain theory: The two level method of ping. Studies on Korean Youth. 2009;20(1):309-337. 

  28. Wong SS, Zhou B, Goebert D, Hishinuma ES. The risk of adolescent suicide across patterns of drug use: A nationally representative study of high school students in the United States form 1999 to 2009. Social Psychiatry and Psychiatric Epidemiology. 2013;48:1611-1620. https://doi.org/10.1007/s00127-013-0721-z. 

  29. Nam Y, Yoon H. Influence of environmental risk factors and ego-resiliency on adolescents' risk behaviors. The Korean Journal of the Human Development. 2007;14(2):93-111. 

  30. Seo YR. Relationship of physical activity with learned helplessness and self perception [master's thesis]. Incheon: Inha University; 2009. p. 1-89.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