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미세플라스틱의 발생잠재량 추정 - 1차 배출원 중심으로 -
Estimation of Microplastics Emission Potential in South Korea - For Primary Source - 원문보기

바다 : 한국해양학회지 = The sea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v.22 no.3, 2017년, pp.135 - 149  

이혜성 (목포해양대학교 환경.생명공학과) ,  김용진 (목포해양대학교 환경.생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미세플라스틱은 5 mm 미만의 플라스틱 조각으로서 의도적으로 제조한 1차 미세플라스틱과 물리 화학적 파쇄나 분해에 의해 만들어진 2차 미세플라스틱으로 나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간의 활동으로 인해 미세해진 플라스틱을 발생시키는 배출원을 미세플라스틱의 1차 배출원으로 정의했다. 본 연구에서 미세플라스틱의 1차 배출원을 문헌을 이용하여 정리하고, 각 배출원에서의 발생잠재량을 추정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6만 3천~21만 6천 ton/year의 미세플라스틱이 환경으로 유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중 선박수송, 타이어분진, 세탁에 의한 배출이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icroplastics are fractions of plastics less than 5 mm in size and can be divided into artificially manufactured primary microplastics and physically or chemically decomposed secondary microplastics. In this study, the emission source of microplastics made by the human activities is defined as the p...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세플라스틱의 조건은 무엇인가? , 2017). 이 중 5 mm 미만인 플라스틱을 일반적으로 미세플라스틱이라고 한다. 미세플라스틱을 다시 어떤 목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제조한 1차 미세플라스틱과 큰 플라스틱이 물리 ․ 화학적인 요인으로 파쇄나 분해가 된 2차 미세플라스틱으로 나눌 수 있다(Masura et al.
플라스틱의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는 원인은? Laist (1997)는 플라스틱에 의한 생물종의 얽힘(entanglement)과 섭취(ingestion)에 대한 조사를 수행한 결과, 어류, 포유류, 조류 등 넓은 범위의 해양생물종이 플라스틱의 피해를 받고 있었다. 플라스틱의 다양한 악영향에도 불구하고 플라스틱의 수요가 증가하는 이유로는 다른 재료에 비하여 가볍고, 내구성이 좋으며, 강도가 강하고, 저가인 장점을 들고 있다(Laist, 1987). 따라서 현실적으로 플라스틱의 소비를 극단적으로 줄이는 데는 어려움이 있다.
우리나라의 미세플라스틱 발생잠재량이 노르웨이, 스웨덴에 비해 훨씬 높게 추정된 근거는 무엇이겠는가? 노르웨이, 스웨덴보다 각각 25배, 10배 정도 많았다. 이러한 결과는 인구, 경제 및 도로상황으로 인한 것으로 사료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0)

  1. (주)케이씨씨, 2017. 사업분야, 제품소개, 도료, http://www.kccworld.co.kr/product/about/proudctAbout1.asp?target1. 

  2. 관세청, 2017. 수출입무역통계, 품목별 수출입실적, https://unipass.customs.go.kr:38030/ets/. 

  3. 교통안전공단, 2013. 2012년도 자동차 주행거리 실태분석 연구. 

  4. 국립환경과학원, 2011. 폐기 인조잔디 최적처리방법 연구. 

  5. 권오현, 조왕래, 2006. 국내 아스팔트의 생산 및 시장현황. 도로. 8(3): 30-35. 

  6. 그린피스, 2016. 마이크로비즈에 대한 그린피스 공식 입장, http://www.greenpeace.org/korea/multimedia/publications/2016/Oceans/greenpeace-official-position-on-microbeads-201606/. 

  7. 김용진, 정승미, 2016. 해양쓰레기 현존량에 대한 고찰,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지, 33(6): 598-605. 

  8. 산업자원부 산업환경과, 2003. 환경친화적 산업구조구축을 위한 비전과 발전전략-제지산업-. 

  9. 세움터, 2017. 공개자료실, [통계] 2016년 건축물 현황 보도자료, http://www.eais.go.kr/. 

  10. 수산정보포털, 2017. 어선정보, 등록어선통계, http://www.fips.go.kr/jsp/fe/fb/fb_info.jsp?menuDepth010101. 

  11. 식품의약품안전처, 2016, 내년 7월부터 화장품에 미세플라스틱 넣을 수 없다, http://www.mfds.go.kr/index.do?mid675&pageNo16&seq33645&sitecode1&cmdv. 

  12. 웰인더스트리, 2017. 플라스틱 메디아, http://www.sandblast.co.kr/Plastic_Blasting_Media.htm. 

  13. 이화우, 이대수, 김병철, 홍석표, 1999. 고분자량 스티렌-부타디엔 고무와 저분자량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혼합물의 가황과 기계적 물성, Elastomers and Composites, 34(2): 121-127. 

  14. 임미희, 이종규, 남성영, 안지환. 2011. 제지산업의 지속가능한 처리공정을 위한 제지슬러지 재활용 기술. 세라미스트 14(2): 7-14. 

  15. 키움증권(KIWOOM), 2013. 산업분석, 페인트산업: 단언컨대 가장 완벽한 물질입니다, https://www2.kiwoom.com/nkw.templateFrameSet.do?mm0604020000. 

  16. 통계청(KOSTAT), 2017a. 국가통계포털, 총인구조사(2015), http://kosis.kr/statisticsList/statisticsList_01List.jsp?vwcdMT_ZTITLE&parentIdA. 

  17. 통계청(KOSTAT), 2017b. 국가통계포털, 품목별 광공업 생산? 출하? 재고? 내수? 수출량, http://kosis.kr/statisticsList/statisticsList_01List.jsp?vwcdMT_ZTITLE&parentIdG#SubCont. 

  18. 통계청(KOSTAT), 2017c. 국가통계포털, 일반폐기물 재활용 전체현황, http://kosis.kr/statisticsList/statisticsList_01List.jsp?vwcdMT_ZTITLE&parentIdE#SubCont. 

  19. 한국선주협회, 2017. 해운산업의 중요성, http://www.shipowners.or.kr/about/industry.php. 

  20. 한국환경공단, 2016. (2016-06 기준) 폐자동차재활용업(파쇄재활용업, 파쇄잔재물재활용업) 및 폐가스류처리업 등록 현황, http://www.keco.or.kr/kr/customer/gov30/advanceInformation/view.do?FIRST_CD2377&SECOND_CD2711&IDX800. 

  21. 해양수산부, 2016. 부서별 사전 공표, 레저선박 등 해양레저 관련 통계자료, http://www.mof.go.kr/article/view.do?articleKey14509&boardKey2&menuKey504&tPageNo1#none. 

  22. 홍수연, 이찬원, 홍선욱, 이종명, 장용창, 2014. 양식장 스티로폼 부자쓰레기로 인한 통영 해변의 오염평가,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지, 17(2): 104-115. 

  23. 환경부, 2013. 제4차(2011-2012) 전국폐기물통계조사. 

  24. Andrady, A.L., 2011. Microplastics in the marine environment, Marine Pollution Bulletin, 62: 1596-1605. 

  25. Ashton, K., L. Holmes and A. Turner, 2010. Association of metals with plastic production pellets in the marine environment, Marine Pollution Bulletin, 60: 2050-2055. 

  26. Bakir, A., S.J. Rowland and R.C. Thompson. 2014a. Transport of 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by microplastics in estuarine conditions, Estuarine, Coastal and Shelf Science, 140: 14-21. 

  27. Bakir, A., S.J. Rowland and R.C. Thompson, 2014b. Enhanced desorption of 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from microplastics under simulated physiological conditions, Environmental Pollution, 185: 16-23. 

  28. Cole, G. and C. Sherrington, 2016. Study to quantify pellet emissions in the UK, Eunomia. 

  29. Cole, M., P. Lindeque, E. Fileman, C. Halsband, R. Goodhead, J. Moger and T.S. Galloway, 2013. Microplastic ingestion by zooplankton, Environmental Science & Technology, 47: 6646-6655. 

  30. Cole, M., P. Lindeque, C. Halsband and T.S. Galloway, 2011. Microplastics as contaminants in the marine environment : A review, Marine Pollution Bulletin, 62: 2588-2597. 

  31. Derraik, J.G.B., 2002. The pollution of the marine environment by plastic debris : A review, Marine Pollution Bulletin, 44: 842-852. 

  32. e-나라지표, 2017a, 도로교량 및 터널 현황,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213. 

  33. e-나라지표, 2017b, 도로현황,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206. 

  34. Eriksen, M., N. Maximenko, M. Thiel, A. Cummins, G. Lattin, S. Wilson, J. Hafner, A. Zellers and S. Rifman, 2013. Plastic pollution in the South Pacific subtropical gyre, Marine Pollution Bulletin, 68: 71-76. 

  35. Gouin, T., N. Roche, R. Lohmann and G. Hodges, 2011. A thermodynamic approach for assessing the environmental exposure of chemicals absorbed to microplastic, Environmental Science & Technology, 45: 1466-1472. 

  36. Goyanes, S., C.C. Lopez, G.H. Rubiolo, S. Quasso and A.J. Marzocca, 2008. Thermal properties in cured natural rubber/styrene butadiene rubber blends, European Polymer Journal, 44: 1525-1534. 

  37. Jang, Y.C., J.M. Lee, S.W. Hong, J.Y. Mok, K.S. Kim, Y.J. Lee, H.W. Choi, H.M. Kang and S.H. Lee, 2014. Estimation of the annual flow and stock of marine debris in South Korea for management purposes, Marine Pollution Bulletin, 86: 505-511. 

  38. Laist, D.W., 1987. Overview of the biological effects of lost and discarded plastic debris in the marine environment, Marine Pollution Bulletin, 18: 319-326. 

  39. Laist, D.W., 1997. Impacts of marine debris: entanglement of marine life in marine debris including a comprehensive list of species with entanglement and ingestion records, Marine Debris, Springer Series on Environmental Management: 99-139. 

  40. Lassen, C., S. Foss Hansen, K. Magnusson, F. Noren, N.I. Bloch Hartmann, P. Rehne Jensen, T. Gissel Nielsen and A. Brinch, 2015. Microplastics-Occurrence, effects and sources of releases to the environment in Denmark. Environmental project No. 1793, Danish Ministry of the Environment-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Denmark): 204. 

  41. Magnusson, K. and F. Noren, 2014. Screening of microplastic particles in and down-stream a wastewater treatment plant, IVL Swedish Environmental Research Institute. 

  42. Magnusson, K., K. Eliasson, A. Frane, K. Haikonen, J. Hulten, M. Olshammar, J. Stadmark and A. Voisin, 2016. Swedish sources and pathways for microplastics to the marine environment, Swedish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43. Masura, J., J. Baker, G. Foster and C. Arthur, 2015. Laboratory methods for the analysis of microplastics in the marine environment: Recommendations for quantifying synthetic particles in waters and sediments, NOAA Technical Memorandum NOS-OR&R-48. 

  44. OECD, 2009a. OECD Series on emission scenario documents, No. 20 Emission scenario document on adhesive formulation. 

  45. OECD, 2009b. OECD Series on emission scenario documents, No. 22 Emission scenario documents on coating industry (paints, lacquers and varnishes). 

  46. Plastics Europe, 2016. Plastics-The facts 2016. 

  47. Song, Y.G., S.H. Hong, M. Jang, G.M. Han, S.W. Jung and W.J. Shim, 2017. Combined effects of UV exposure duration and mechanical abrasion on microplastic fragmentation by polymer type, Environmental Science & Technology, 51: 4368-4376. 

  48. Sundt, P., P.E. Schulze and F. Syversen, 2014. Sources of microplastic pollution to the marine environment, Norwegian Environment Agency. 

  49. Teuten, E.L., S.J. Rowland, T.S. Galloway and R.C. Thompson, 2007. Potential for plastics to transport hydrophobic contaminants, Environmental Science & Technology, 41: 7759-7764. 

  50. Thienen, G.V. and T. Spec, 2008. Health effects of construction materials and construction products, Tijdschrift voor toegepaste Arbowetenschap, 1: 2-2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