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메르스 감염 유행 후 상급종합병원 간호사의 외상 후 스트레스 영향요인
Factors Affecting Post-Traumatic Stress of General Hospital Nurses after the Epidemic of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Infection 원문보기

임상간호연구 =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23 no.2, 2017년, pp.179 - 188  

김현진 (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  박호란 (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examined post-traumatic stress (PTS) and the factors affecting it among general hospital nurses after the MERS(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epidemic.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170 nurses who worked at general hospitals since the first reported MERS outbreak. The I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메르스 감염 유행 후 상급종합병원 간호사의 외상 후 스트레스를 파악하고 이에 영향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메르스 감염 유행 후 상급종합병원 간호사의 외상 후 스트레스를 파악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하였다.
  • 본 연구는 메르스 감염 유행 후 상급종합병원 간호사의 외상후 스트레스를 파악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결과 간호사의 외상 후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메르스 경험 관련 요인으로 메르스 의심 또는 확진 환자를 만난 경험이 유의하였다.
  • 본 연구에서 직위는 감염병과 관련된 외상 후 스트레스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이었다. 외상 후 스트레스는 일반 간호사보다 책임간호사 이상에서 더 높았는데, 이는 하위직급인 소방사보다 상위직급인 소방장과 소방경의 외상 후 스트레스가 높다는 Shin 등[26]의 연구결과와 유사하다.
  • Weiss [16]에 의해 제작된 Impact of Event Scale-Revise를 Eun 등[17]이 한국의 실정에 맞게 수정하여 표준화한 한국판 사건 충격척도 개정판(Impact of Event Scale-Revised Korean Version, IES-R-K)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메르스 감염 유행 후 외상 후 스트레스에 대한 질문으로 지난 일주일 동안 경험한 것에 대해 응답하도록 제시하였다. 이 도구는 과각성(hyperarousal) 6문항, 회피(avoidance) 6문항, 침습 (intrusion) 5문항, 수면장애(sleep disturbances)및 정서적 마비 (emotional numbness)와 해리 증상(dissociation symptom) 5문항의 총 22문항으로 구성되어있다.
  • 연구의 목적은 메르스 감염 유행 후 상급종합 병원 간호사의 외상 후 스트레스를 파악하고 외상 후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 것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메르스 감염 유행 후 상급종합병원 간호사의 외상 후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추후 간호사의 감염병으로 인한 외상 후 스트레스를 예방하고 심리적 · 정신적 후유증을 관리할 수 있는 중재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동 호흡기 증후군은 무엇인가? 중동 호흡기 증후군(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이하 메르스)[1]은 메르스 코로나 바이러스(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MERS CoV)감염[1]에 의한 질환이다. 2015년 한국의 메르스 유행은 사회적으로 감염병에 대한 관심을 집중시켰으며, 국외와는 다른 빠른 전파력과 다수의 감염자의 발생은 일반인은 물론 의료인에게도 공포의 대상으로 인식되었고, 메르스 환자를 담당한 의료인력 중상당수가 스트레스를 호소하였다[2].
외상 후 스트레스는 발생 원인은? 외상 후 스트레스는 자신의 일이 아닌 다른 사람이 겪은 사고나 죽음으로도 발생될 수 있으며[4], 짧거나 적은 외상 노출 보다는 장기간 또는 하나 이상의 외상 사건에 반복 노출되면 외상 후 스트레스가 발생될 가능성이 더 높다[5]. 또한 외상 후스트레스는 신체적 문제뿐만 아니라 정신적 문제에도 영향을 주며, 대상자에게 우울 및 이직 등의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6].
중증 급성 호흡기 증후군을 경험한 의료인들이 겪을 수 있는 정신 증상은 무엇인가? 외상 후 스트 레스에 영향을 끼치는 주요 요인으로는 교대 근무, 사스 환자와의 접촉[7,8]등이 있었다. 사스를 경험한 의료인이 1년, 2년이 지나도 외상 후 스트레스, 우울증 등의 정신 증상 장애 진단을 받았던[11]연구를 볼 때 감염병으로 인한 외상 후 스트레스는 장기적으로 의료인에게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Medical Information.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MERS) [Internet].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2015[cited 2016 January 3]. Available from: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784037&cid510 07&categoryId51007. 

  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2015 MERS outbreak in the Republic of Korea: Learning from MERS.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6. 

  3. Ko JW, Seo YJ, Park HY. The effect of job stress and social support on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hospital employees. Kore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1996;29(2):295-308. 

  4. Han JW, Lee BS. The relationship of post-traumatic stress,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in emergency department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3; 19(3):340-350. http://dx.doi.org/10.11111/jkana.2013.19.3.340 

  5. Kaysen D, Resick PA, Wise D. Living in danger: The impact of chronic traumatization and the traumatic context on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Trauma, Violence & Abuse. 2003;4 (3):247-264. http://dx.doi.org/10.1177/1524838003004003004 

  6. Kim SH. Post-traumatic stress, depression, and turnover intention of operating room nurses [master's thesis]. Seoul: Catholic University; 2014. p. 1-38. 

  7. Mak IW, Chu CM, Pan PC, Yiu MG, Chan VL. Long-term psychiatric morbidities among SARS survivors. General Hospital Psychiatry. 2009;31(4):318-326. http://dx.doi.org/10.1016/j.genhosppsych 

  8. Chen CS, Wu HY, Yang P, Yen CF. Psychological distress of nurses in Taiwan who worked during the outbreak of SARS. Psychiatric Services. 2005;56(1):76-79. 

  9. Maunder RG, Lancee WJ, Balderson KE, Bennett JP, Borgundvaag B, Evans S, et al. Long-term psychological and occupational effects of providing hospital healthcare during SARS outbreak.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2006;12(12):1924-1932. http://dx.doi.org/10.3201/eid1212.060584 

  10. Chan AO, Huak CY. Psychological impact of the 2003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outbreak on health care workers in a medium size regional general hospital in Singapore. Occupational Medicine. 2004;54(3):190-196. 

  11. Lancee WJ, Maunder RG, Goldbloom DS. Coauthors for the impact of SARS study. Prevalence of psychiatric disorders among Toronto hospital workers one to two years after the SARS outbreak. Psychiatric Services. 2008;59(1):91-95. http://dx.doi.org/10.1176/appi.ps.59.1.91 

  12. World Health Organization. Summary table of SARS cases by country, 1 november 2002-7 august 2003 [Internet].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3[cited 2016 June 10]. Available from: http://www.who.int/csr/sars/country/2003_08_15/en/. 

  1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7.27 (Monday) MERS daily report [Internet]. Seoul: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5[cited 2015 December 29]. Available from: http://www.cdc.go.kr/CDC/contents/CdcKrContentLink.j sp?fid21&cid64425&ctype1. 

  14. Lee JH. Infection disaster exposured staff, suffering depression.stress[Internet]. Seoul: Doctorsnews;2015[cited 2015 November 17] Sect. 01. Available from: http://www.doctors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 no106921. 

  15. Son YJ, Gong HH, You MA, Kong SS. Relationships between workplace violence experience and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resilience in clinical nurse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2015;17(1):515-530. 

  16. Weiss DS. The impact of event scale-revised. In: Wilson JP, Keane, TM, editors. Assessing psychological trauma and PTSD. 2nd ed. New York, NY: Guilford Press; 2004. p. 168-189. 

  17. Eun HJ, Kwon TW, Lee SM, Kim TH, Choi MR, Cho SJ. A study on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impact of event scale-revised.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2005;44(3):303-310. 

  18. Oh SM. The relationships among nurse's working conditions, ego-resilience and post-traumatic stress syndrome (PTSS) [master's thesis]. Jinju: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2014. p. 1-45. 

  19. Wu P, Fang Y, Guan Z, Fan B, Kong J, Yao Z, et al. The psychological impact of the SARS epidemic on hospital employees in China: Exposure, risk perception, and altruistic acceptance of risk. Canadian Journal Psychiatry. 2009;54(5):302-311. 

  20. Rankin J. Godzilla in the corridor: The Ontario SARS crisis in historical perspective. Intensive & Critical Care Nursing. 2006; 22(3):130-137. http://dx.doi.org/10.1016/j.iccn.2005.10.001 

  21. Su TP, Lien TC, Yang CY, Su YL, Wang JH, Tsai SL, et al. Prevalence of psychiatric morbidity and psychological adaptation of the nurses in a structured SARS caring unit during outbreak: A prospective and periodic assessment study in Taiwan. Journal of Psychiatric Research. 2007;41(1-2):119-130. http://dx.doi.org/10.1016/j.jpsychires.2005.12.006 

  22. McAlonan GM, Lee AM, Cheung V, Cheung C, Tsang KW, Sham PC, et al. Immediate and sustained psychological impact of an emerging infectious disease outbreak on health care workers. Canadian Journal of Psychiatry. 2007;52(4):241-247. 

  23. Phua DH, Tang HK, Tham KY. Coping responses of emergency physicians and nurses to the 2003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outbreak. Academic Emergency Medicine. 2005;12(4):322-328. http://dx.doi.org/10.1197/j.aem.2004.11.015 

  24. Liu X, Kakade M, Fuller CJ, Fan B, Fang Y, Kong J, et al. Depression after exposure to stressful events: Lessons learned from the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epidemic. Comprehensive Psychiatry. 2012;53(1):15-23. http://dx.doi.org/10.1016/j.comppsych.2011.02.003 

  25. Kim HJ, Yim KM, Hwang JY, Seong SJ, Park JW, Son KH, et al. Difference of psychiatric symptoms of quarantined health care workers according to quarantining method after contacting a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patient.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Social Psychiatry. 2016;21(2):63-69. 

  26. Shin DY, Jeon MJ, Sakong J.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related factors in male firefighters in a metropolitan city. 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2012; 24(4):397-409. 

  27. Shih FJ, Turale S, Lin YS, Gau ML, Kao CC, Yang CY, et al. Surviving a life-threatening crisis: Taiwan's nurse leaders' reflections and difficulties fighting the SARS epidemic.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09;18(24):3391-3400. http://dx.doi.org/10.1111/j.1365-2702.2008.02521.x 

  28. Bae JY, Kim YJ. A study on post-traumatic stress in fire fighters. The 2010 winter season conference; 2011 January 20-21;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Social Sciences. Daegu: The Korean Association for Crisis and Emergency Management; 2011. p. 138-155. 

  29. Kim YG, Yoon DY, Kim JI, Chae CH, Hong YS, Yang CG, et al. Effect of health on shift-work general and psychological health, sleep, stress, quality of life. 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2002;14(3):247-256. 

  30.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IV.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99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