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순천 송광사 요사채의 환기지붕 설치 시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stallation Period of Ventilation Roofs in the Suncheon Songgwangsa Temple 원문보기

건축역사연구 : 한국건축역사학회논문집 =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v.26 no.4, 2017년, pp.7 - 17  

김희철 (순천대학교 건축학과, (사)역사문화연구원 마루)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uncheon Songgwangsa has unique ventilation roofs. In the meantime, these roofs have been known as a characteristic element of Songgwangsa architecture and a unique element of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I would like to review the installation time of the ventilation roof and check the install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자는 송광사 하사당의 독특한 지붕이 송광사와 해남 윤씨 집안의 특정 건물 ― 녹우당, 추원당, 영모당 ― 에서만 볼 수 있음에 대해 의구심을 가지게 되었다.
  • 그러나 본 연구자는 그러한 편리함이 자칫 『조선고적도보』의 사진이 현상으로 볼 수 있는 最古의 사료인 것으로 인식되며 문화재의 원형에 대한 오해를 가져올 수도 있지 않을까 하는 의구심이 들게 되었다. 본 연구는 여기에서 출발을 하게 된다.
  •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그에 앞서 지붕의 기능적인 부분에 주안점을 두고 본 연구에 한정하여 한시적으로 ‘환기지붕’이라 통일하여 사용하도록 하며, 본격적인 용어의 정의는 차기 연구에서 진행하고자 한다.
  • 이에 대하여 필자는 송광사 하사당의 독특한 솟을지붕형태의 환기지붕에 대하여 본 논문을 통하여 하사당 지붕을 포함한 송광사 요사채들의 환기지붕의 설치 시기에 관한 고찰을 일단락 짓고자 한다.
  • 과거 송광사의 모습을 기억하는 인물들을 찾아 인터뷰를 진행하여 사진 및 문헌 자료 이외의 자료를 수집한다. 이렇게 수집된 자료들을 바탕으로 하사당 지붕의 변형 과정과 원형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 이 두 폭의 그림과 『조선고적도보』에 수록된 사진에서 하사당과 하사당 인근의 청운당과 백설당, 그리고 독특한 외형을 가졌던 해탈문을 비교해 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과  『조선고적도보』, 하사당의 이력 등을 고려할 때 하사당의 환기지붕은 1925년 보수 당시에 설치 된 것으로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송광사의 여러 건물에 설치된 환기지붕은 언제 만들어졌다고 추정되는가? 이상 살펴본 바에 따르면, 송광사 하사당을 비롯한 다수의 요사채 지붕은 현재 유지되고 있는 독특한 환기지붕이 그간 회자되었던 조선초기의 양식이거나 일반적으로 알려진 最古의 원형이라거나 한국 전통건축만의 독특한 특징만은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송광사의 여러 건물에 설치된 환기지붕들이 일제강점기에 하사당을 기점으로 주변 건물의 보수 당시 전파가 이루어진 것임을 추정할 수 있다.
조선고적도보에 대한 의존도와 높은 신뢰가 문화재의 원형을 이해하는데 오해를 가져왔다고 생각하게 된 계기는? 본 연구자는 송광사 하사당의 독특한 지붕이 송광사와 해남 윤씨 집안의 특정 건물 ― 녹우당, 추원당, 영모당 ― 에서만 볼 수 있음에 대해 의구심을 가지게 되었다. 이에 관련 연구를 진행하는 도중 『조선고적도보』에 대한 의존도 높은 신뢰가 문화재의 원형을 이해함에 있어 오해를 가져왔을 수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조선고적도보는 어떤 자료인가? 일반적으로 건축 문화재의 연구에 있어서  『조선고적도보』는 비록 일제강점기 식민지 시절 왜인들에 의해서 만들어진 자료라는 아쉬움이 있음에도 많은 연구자들에게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타임캡슐과도 같은 존재이며, 문화재를 보존관리함에 있어서도 많이 참고하는 자료이기도 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조선총독부, 조선고적도보, 도서출판 민족문화, 2005 

  2. 임석진, 조계산 송광사지, 고경 편, 도서출판 송광사, 2001 

  3. 한국학문헌연구소, 조계산송광사사고, 아세아문화사, 1983 

  4. 조명제 외, 역주 조계산송광사사고: 인물부, 혜안, 2007 

  5. 조명제 외, 역주 조계산송광사사고: 산림부, 혜안, 2009 

  6. 국립문화재연구소, 한국의 고건축: 한국건축사연구자료 제2호, 문화재관리국, 1975 

  7. 천득염.전봉희, 한국의 건축문화재 9: 전남편, 기문당, 2002 

  8. 신대현, 한국의 명찰 시리즈 4: 조계산 송광사, (재)대한불교진흥원, 2010 

  9. 한국불교연구원, 한국의 명찰 6: 송광사, 7판, 일지사, 1992 

  10. 신영훈, 조계산 송광사, 불일출판사, 1984 

  11. 신영훈, 송광사와 선암사, 조선일보사, 2000 

  12. 강건기.김성우.권희경, 빛깔있는 책들 150: 송광사, 대원사, 2002 

  13. 장기인, 한국건축대계 V: 목조, 재판, 보성각, 2004 

  14. 문화재청, 송광사 중요목조건축물 정밀실측보고서, 2007 

  15. 문화재청, 송광사 하사당 정밀안전진단보고서, 2013 

  16. 문화재청, 2014 중요목조문화재 단청기록화 정밀조사:순천 송광사 하사당, 2014 

  17. 송광사 하사당(보물제263호) 상량문, 건축역사연구, 13권, 3호, 2004.9. 

  18. 高井 潔, 民家, 淡交社, 2002 

  19. 吉田 靖(監修), 民家と町?み: 文化財探訪クラブ, 山川出版社, 200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