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도권 초미세먼지 농도모사 : (II) 오염원별, 배출물질별 자체 기여도 및 전환율 산정
PM2.5 Simulations for the Seoul Metropolitan Area: (II) Estimation of Self-Contributions and Emission-to-PM2.5 Conversion Rates for Each Source Category 원문보기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v.33 no.4, 2017년, pp.377 - 392  

김순태 (아주대학교 환경안전공학과) ,  배창한 (아주대학교 환경안전공학과) ,  유철 (환경부 대기환경정책과) ,  김병욱 (미국조지아주환경청) ,  김현철 (미국국립해양대기청) ,  문난경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환경평가본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set of BFM (Brute Force Method) simulations with the CMAQ (Community Multiscale Air Quality) model were conducted in order to estimate self-contributions and conversion rates of PPM (Primary $PM_{2.5}$), $NO_x$, $SO_2$, $NH_3$, and VOC emissions to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 지역에 대한 오염원별 배출물 질별 기여도 및 전환율을 산정하였으며, 이렇게 산정된 전환율은 배출량 변화와 농도 변화의 상관성을 정량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이 가능하며, 저감대 책별 삭감 배출량 정보와 함께 이용될 경우 비용 - 효과 분석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동반논문(Ⅳ)에서는 저감대 책별 삭감 배출량과 투입예산, 그리고 전환율을 바탕으로 수도권 지역에서 PM2.5 저감대책별 비용효과를 평가하는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 개선대책 수립 시 전환율을 이용하지 않고 BFM 모사 결과를 직접적으로 이용할 수 있으나, 이 경우 수십~수백 번 이상의 반복적인 모사가 필요하다(예를 들어, 저감대책별, 배출물질별, 대상지역별, 저감 정도별 등).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저감대책별 삭감 배출량과 전환율을 바탕으로 개별 저감대책에 대한 PM2.5농도개선 정도를 정량적으로 추정하는 방법을 검토하였다.
  • 본 연구는 배출량 - 농도의 비선형적인 변화 관계를 정량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대기질 모사를 이용하여 전구물질 배출량을 PM2.5농도로 환산할 수 있는 ‘단위 배출량당 PM2.5로의 전환율’(이하 ‘전환율’)을 추정하고자 하였다.
  • 본 절에서는 기본 모사와 BFM 모사 결과를 바탕으로 오염원별, 배출물질별 배출량에 대한 수도권 PM2.5농도 민감도와 기여도를 산정하였다. 그림 2는 대상 배출물질을 점, 선, 면오염원으로 구분하고 수도권 배출량을 50% 삭감할 경우 PM2.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세먼지 농도 배출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배출량 - 농도의 비선형성과는 별개의 문제로 점, 선, 면배출원에 따라 배출특성이 달라진다. 예를 들어 배출이 되는 지점의 수평, 수직 위치 등 공간적 특성, 배출 시간적 특성 (예를 들어; 계절, 요일, 오전/오후 등), 배출되는 물질의 화학 조성, 주변 배출 및 다른 대기오 염물질 농도 등 많은 요소가 농도에 영향을 미친다.따라서 동일한 크기의 삭감 배출량에 대한 PM 2.
실효성 있는 PM2.5농도 개선계획 수립을 위해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 실효성 있는 PM2.5농도 개선계획 수립을 위해서는 목표 농도를 만족할 수 있는 삭감 배출량이 확보 되어야 하는 동시에, 저감대책별 투입비용 대비 농도 개선을 평가할 수 있는 비용효과 (cost-benefit) 분석이 필요하다(Kwon et al., 2016).
저감대책별 농도저감 및 비용효과 평가를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한가? 저감대책별 농도저감 및 비용효과 평가를 위해서는 각각의 저감대책이 PM2.5농도 변화에 얼마나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분석이 요구된다. 이러한 저감대책 - 배출량 - 농도로 이어지는 일련의 분석과정에서 삭감 배출량은 계획수립 단계에서 추정이 비교적 쉽게 가능하나, 삭감 배출량에 의한 PM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Bae, C., C. Yu, B.-U. Kim, H.C. Kim, and S. Kim (2017) $PM_{2.5}$ Simulations for the Seoul Metropolitan Area: (III) Application of the Modeled and Observed $PM_{2.5}$ Ratio on the Contribution Estim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Under review). 

  2. Byun, D.W. and J.K.S. Ching (1999) Science Algorithms of the EPA Models-3 Community Multi-scale Air Quality (CMAQ) Modeling System, EPA Report, EPA/600/R-99/030, National Exposure Research Laboratory, Research Triangle Park, NC. 

  3. Carter, W.P.L. (1999) Documentation of the SAPRC-99 Chemical Mechanism for VOC Reactivity Assessment, Report to California Air Resources Board, Contracts 92-329 and 95-308. 

  4. Choi, J.K., J.B. Heo, S.J. Ban, S.M. Yi, and K.D. Zoh (2013) Source apportionment of $PM_{2.5}$ at the coastal area in Korea,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447, 370-380. 

  5. Cohan, D., J. Boylan, A. Marmur, and M. Khan (2007) An Integrated Framework for Multipollutant Air Quality Management and Its Application in Georgia, Environmental Management, 40, 545-554. 

  6. Dunker, A.M., G. Yarwood, J.P. Ortmann, and G.M. Wilson (2002) Comparison of source apportionment and source sensitivity of ozone in a three-dimensional air quality model, 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36(13), 2953-2964. 

  7. ENVIRON (2010) User's guide to the Comprehensive Air Quality Model with Extension (CAMx) version 5.30. http://www.camx.com. 

  8. Guenther, A., T. Karl, P. Harley, C. Wiedinmyer, P.I. Palmer, and C. Geron (2006) Estimates of global terrestrial isoprene emissions using MEGAN (Model of Emissions of Gases and Aerosols from Nature), Atmospheric Chemistry and Physics Discussions, 6(1), 107-173. 

  9. Henneman, L.R.F., H.H. Chang, K.-J. Liao, D. Lavou, J.A. Mulholland, and A.G. Russell (2017) Accountability assessment of regulatory impacts on ozone and $PM_{2.5}$ concentrations using statistical and deterministic pollutant sensitivities, Air Quality, Atmosphere and Health, doi:10.1007/s11869-017-0463-2. 

  10. Karamchandani, P., Y. Long, G. Pirovano, A. Balzarini, and G. Yarwood (2017) Source-sector contributions to European ozone and fine PM in 2010 using AQMEII modeling data, Atmospheric Chemistry and Physics, 17(9), 5643-5664. 

  11. Kim, B.-U., C. Bae, H.C. Kim, E. Kim, and S. Kim (2017a) Spatially and chemically resolved source apportionment analysis: Case study of high particulate matter event, Atmospheric Environment, 162, 55-70. http://dx.doi.org/10.1016/j.atmosenv.2017.05.006. 

  12. Kim, E., C. Bae, H.C. Kim, J.H. Cho, B.U. Kim, and S. Kim (2017b) Regional Contributions to Particulate Matter Concentration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Korea: Seasonal Variation and Sensitivity to Meteorology and Emissions Inventory, Atmospheric Chemistry and Physics Discuss, doi:10.5194/acp-2016-1114. 

  13. Kim, S., C. Bae, B.-U. Kim, and H.C. Kim (2017c) $PM_{2.5}$ Simulations for the Seoul Metropolitan Area: (I) Contributions of Precursor Emissions in the 2013 CAPSS Emissions Inventory,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33(2), 139-15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Kim, S., O.G. Kim, B.-U. Kim, and H.C. Kim (2017d) Impact of Emissions from Major Point Sources in Chungcheongnam-do on Surface Fine Particulate Matter Concentration in the Surrounding A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33(2), 15-17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Kim, B.-U., O. Kim, H.C. Kim, and S. Kim (2016) Influence of fossil-fuel power plant emissions on the surface fine particulate matter in the Seoul Capital Area, South Korea. Journal of the Air and Waste Management Association, 66(9), 863-873. 

  16. Kim, D.K., T.J. Lee, S.C. Kim, and D.S. Kim (2012) Sources Apportionment Estimation of Ambient $PM_{2.5}$ and Identification of Combustion Sources by Using Concentration Ratios of PAH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28(5), 538-555. 

  17. Kim, J. (2014)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Personal Communication. 

  18. Kim, S., N. Moon, and D.W. Byun (2008) Korea Emissions Inventory Processing Using the US EPA's SMOKE System, Asian Journal of Atmospheric Environment, 2(1), 34-46. 

  19. Kwon, H., C. Jung, and Y. Kim (2016) The Impact of Local Government's Expenditure on Air Quality in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32(6), 583-59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0. Lee, S., Y. Ghim, Y. Kim, and J. Kim (2006) Estimation of the seasonal variation of particulate nitrate and sensitivity to the emission changes in the greater Seoul area, Atmospheric Environment, 40(20), 3724-3736. 

  21. MOE (2016) Ministry of Environment, Fine Dust Countermeasure Plan. http://www.me.go.kr/issue/finedust (accessed on Feb. 23, 2017). (in Korean) 

  22. NACAA (2011) $PM_{2.5}$ Modeling Implementation for Projects Subject to National Ambient Air Quality Demonstration Requirements Pursuant to New Source Review, https://www3.epa.gov/scram001/10thmodconf/review_material/01072011-NACAA $PM_{2.5}$ ModelingWorkgroupReport-FINAL.pdf (accessed on May 31, 2017). 

  23. NIER (2013)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Trans-boundary Transport of Air Pollutants over Northeast Asia(I). (in Korean) 

  24. Nopmongcol, U., J. Grant, E. Knipping, M. Alexander, R. Schurhoff, D. Young, J. Jung, T. Shah, and G. Yarwood (2017) Air Quality Impacts of Electrifying Vehicles and Equipment Across the United States, 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51(5), 2830-2837, DOI: 10.1021/acs.est.6b04868. 

  25. Pun, B. and C. Seigneur (2001) Sensitivity of Particulate Matter Nitrate Formation to Precursor Emissions in the California San Joaquin Valley, Environ, 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35(14), 2979-2987, DOI: 10.1021/es0018973. 

  26. Seoul (2016) Development of Emissions Inventory and Intensive Monitoring for $PM_{2.5}$ Sources, http://opengov.seoul.go.kr/research/11895404 (accessed on Mary 30, 2017). 

  27. Skamarock, W.C., J.B. Klemp, J. Dudhia, D.O. Gill, D.M. Barker, M.G. Duda, X. Huang, W. Wang, and J.G. Powers (2008) A description of the advanced research WRF version 3, NCAR Tech. Note NCAR/TN-475+STR, National Center for Atmospheric Research, Boulder, CO, 125. 

  28. SMA (2017) http://cleanair.seoul.go.kr/ (accessed on Feb. 23, 2017). 

  29. SOS (2017) Southern Oxidants Study, https://www.ncsu.edu/sos/x.html (accessed on Feb. 23, 2017). 

  30. U.S. EPA (2007) Guidance on the Use of Models and Other Analyses for Demonstrating Attainment of Air Quality Goals for Ozone, $PM_{2.5}$ , and Regional Haze, https://www.epa.gov/scram001/guidance/guide/final-03-pm-rh-guidance.pdf (accessed on May 1, 2017). 

  31. U.S. EPA (2014) Guidance for $PM_{2.5}$ Permit Modeling, https://www3.epa.gov/scram001/guidance/guide/Guidance_for_PM25_Permit_Modeling.pdf (accessed on May 31, 2017). 

  32. U.S. EPA (2016) $PM_{2.5}$ Precursor Demonstration Guidance, https://www.epa.gov/pm-pollution/draft-pm25-precursor-demonstration-guidance (accessed on May 31, 2017). 

  33. U.S. EPA (2017) Modeling Procedures for Demonstrating Compliance with $PM_{2.5}$ NAAQS, https://www.epa.gov/nsr/modeling-procedures-demonstratingcompliance-pm-25-naaqs (accessed on March 30, 2017). 

  34. Wang, J., J. Xu, Y. He, Y. Chen, and F. Meng (2016) Long range transport of nitrate in the low atmosphere over Northeast Asia, Atmospheric Environment, 144, 315-324. 

  35. Woo, J.H., S. Quan, K.C. Choi, H.K. Kim, H. Jin, C.-K. Song, J. Han, and S. Lee (2014) Development of the CREATE Inventory in Support of Integrated Modeling of Climate and Air Quality for East Asia, In Global Emission InitiAtive Conference. 

  36. Zhang, W., S.L. Capps, Y. Hu, A. Nenes, S.L. Napelenok, and A.G. Russell (2012) Development of the high-order decoupled direct method in three dimensions for particulate matter: enabling advanced sensitivity analysis in air quality models, Geosci. Geoscientific Model Development, 5(2), 355-36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