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연배출량이 수도권 고농도 오존 사례에 미치는 영향범위 추정: 2004년과 2007년 6월 사례를 중심으로
Estimating Influence of Biogenic Volatile Organic Compounds on High Ozone Concentrations over the Seoul Metropolitan Area during Two Episodes in 2004 and 2007 June 원문보기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v.27 no.6, 2011년, pp.751 - 771  

김순태 (아주대학교 환경건설교통공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iogenic Volatile Organic Compound (BVOC) emissions are estimated with BEIS3.12 (Biogenic Emissions Inventory System version 3.12) over the Seoul Metropolitan Area (SMA) and then used in CMAQ (Community Multiscale Air Quality) simulations for two high ozone episodes in 2004 and 2007 June. The firs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가설 설정

  • 이용 가능한 국내 식생자료가 없는 북한 및 국외지역에 대해서는 2007년의 경우 MEGAN을 이용하여 BVOC 배출량을 산정하였다. 2004년의 경우 27-km와 9-km 모사 영역에 대해서는 MEGAN을 이용하였으며, 3-km 모사영역 중 북한지역에 대해서는 식생분포는 토지피복 자료를 이용하고 식생구성은 경기 북부지역과 동일한 것으로 가정하였다. 표준상태 (기온 30°C, 일사량 1,000μmol/m2/sec)의 배출량은 MCIP을 통해 마련된 시간 별 기온 및 일사량 자료를 이용하여 보정하였으며, 화학 메커니즘은 SAPRC99 (Statewide Air Pollution Research Center, Version 99; Carter, 1999)을 이용하여 BVOC에 대한 화학종 분류를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다양한 자연발생 휘발성유기화합물은 어디에서 배출되는가? 산림 등 식생으로부터 다양한 자연발생 휘발성유기화합물(Biogenic Volatile Organic Compound; BVOC)이 배출되며, 이러한 물질들은 대기 중에서 반응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Seinfeld and Pandis, 1998). BVOC 중 대표적인 물질인 아이소프린 (isoprene)은 OH 라디칼 등과의 반응속도가 빠르며,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아이소프린은 대기 중에서 오존생성에 기여하는 물질로 알려져 있다(Chameides et al.
국내지역에 대한 BVOC 배출량은 무엇을 이용하여 산정된 사례가 있는가? 국내지역에 대한 BVOC 배출량은 BEIS3 (Biogenic Emissions Inventory System version 3)나 MEGAN (Model of Emissions of Gases and Aerosols from Nature, Guenther et al., 2000) 등을 이용하여 산정된 사례가 있으며(i.e.
자연발생 휘발성유기화합물 중 OH 라디칼 등과의 반응속도가 빠른 특징으로 오존생성에 영향을 주는 물질은 무엇인가? 산림 등 식생으로부터 다양한 자연발생 휘발성유기화합물(Biogenic Volatile Organic Compound; BVOC)이 배출되며, 이러한 물질들은 대기 중에서 반응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Seinfeld and Pandis, 1998). BVOC 중 대표적인 물질인 아이소프린 (isoprene)은 OH 라디칼 등과의 반응속도가 빠르며,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아이소프린은 대기 중에서 오존생성에 기여하는 물질로 알려져 있다(Chameides et al., 198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Bao, H., K.L. Shrestha, A. Kondo, A. Kaga, and Y. Inoue (2010) Modeling the influence of biogenic volatile organic compound emissions on ozone concentration during summer season in the Kinki region of Japan, Atmospheric Environment, 44, 421-431. 

  2. Benjey, W., M. Houyoux, and J. Susick (2001) Implementation of the SMOKE emissions data processor and SMOKE Tool input data processor in Models-3 U.S. EPA. 

  3. Byun, D.W. and J.K.S. Ching (1999) Science Algorithms of the EPA Models-3 Community Multi-scale Air Quality (CMAQ) Modeling System, EPA Report, EPA/600/R-99/030, NERL, Research Triangle Park, NC. 

  4. Byun, D.W., S. Kim, B. Czader, D. Nowak, S. Stetson, and M. Estes (2005) Estimation of biogenic emissions with satellite-derived land use and land cover data for the air quality modeling of Houston-Galveston ozone nonattainment area, J. of Environmental Management, 75, 285-301. 

  5. Byun, D.W. and K.L. Schere (2006) Review of the Governing Equations, Computational Algorithms, and Other Components of the Models-3 Community Multiscale Air Quality (CMAQ) Modeling System, Applied Mechanics Reviews, 59, 51-77. 

  6. Carter, W.P.L. (1999) Documentation of the SAPRC-99 Chemical Mechanism for VOC Reactivity Assessment, Report to California Air Resources Board, Contracts 92-329 and 95-308. 

  7. Chameides, W., R. Lindsay, J. Richardson, and C. Kiang (1988) The role of biogenic hydrocarbons in urban photochemical smog: Atlanta as a case study, Science, 241(4872), 1473-1475. 

  8. Cho, K.T., J.C. Kim, and J.H. Hong (2006) A Study on the Comparison of Biogenic VOC (BVOC) Emissions Estimates by BEIS and CORINAIR Methodologie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22(2), 167-17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Chun, T.H., C.B. Lee, J.C. Kim, and S.T. Kim (2010) Simulation of Ozone Concentration in Gwangyang-Bay Area Using WRF-CMAQ Model, Proceeding of the 51st Meeting of KOSAE (2010), 135. 

  10. Coats, C.J. Jr. (1996) High performance algorithms in the Sparse Matrix Operator Kernel Emissions (SMOKE) Modeling System, Ninth Joint Conference on Applications of Air Pollution Meteorology with the A & WMA, January 28-February 2, 1996, Atlanta, GA. 

  11. Cohan, D.S., A. Hakami, Y. Hu, and A.G. Russell (2005) Nonlinear response of ozone to emissions: Source apportionment and sensitivity analysis, Environ. Sci. Technol., 39, 6739-6748. 

  12. Community Modeling and Analysis System (2011) SMOKE v3.0 User's Manual, http://www.cmascenter.org/ (Accessed 2011). 

  13. Curci, G., M. Beekmann, R. Vautard, G. Smiatek, and R. Steinbrecher (2009) Modeling study of the impact of isoprene and terpene biogenic emissions on European ozone levels, Atmospheric Environment, 43, 1444-1455. 

  14. Estes, M., C. Harper, J. Smith, W. Zhao, and D. Karp (2008) Performance evaluation of isoprene in ozone modeling of Houston, Texas Commission on Environmental Quality. 

  15. Guenther, A., C. Geron, T. Pierce, B. Lamb, P. Harley, and R. Fall (2000) Natural emissions of non-methane volatile organic compounds, carbon monoxide, and oxides of nitrogen from North America, Atmospheric Environment, 34(12), 2205-2230. 

  16. Kim, D.G., K.H. Kang, J.H. Hong, and S.Y. Jung (2007) Predictions for regulation effects on VOC content limit values for paints of special measures for Seoul metropolitan air quality improvement, Proceeding of the 45th Meeting of KOSAE, 117-118. 

  17. Kim, S. (2011) Ozone Simulations over Seoul Metropolitan Area for a 2007 June Episode, Part I: Evaluating Volatile Organic Compounds Emissions Speciated for the SAPRC99 Chemical Mechanism,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submitted for publication.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Kim, S.T., D.W. Byun, and D. Cohan (2009) Contributions of inter- and intra-state emissions to ozone over Dallas-Fort Worth, Texas. Civ. Eng. Environ. Syst., 26, 103-116. 

  19. Kim, S.T., N.K. Moon, and D.W. Byun (2008) Korean emissions inventory processing using the US EPA's SMOKE system, Asian Journal of Atmospheric Environment, 2(1), 34-46. 

  20. Kim, Y., G. Kim, Y. Ma, J. Kim, and Y. Sunwoo (2006) Modeling Study for Ambient Ozone in Deagu Area - Impact of BVOC from Forests, Proceeding of the 41st Meeting of KOSAE (2010), 261-262. 

  21. Lee, J.H. and S.Y. Cho (2004) Evaluation of Incremental Reactivity and Ozone Production Contribution of VOCs, Proceeding of the 38th Meeting of KOSAE, 252-253. 

  22. Lee, J.H., J.S. Han, H.K. Yun, and S.Y. Cho (2007) Evaluation of Incremental Reactivity and Ozone Production Contribution of VOCs Using the PAMS Data in Seoul Metropolitan A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23(3), 286-29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3. Lee, W.Y., S.T. Kim, C.B. Lee, and T.H. Chun (2010) Comparing Effects of Isoprene Estimated with MEGAN and BEIS3 on Ozone Formations in the Gwangyang-Bay Area, Proceeding of the 51st Meeting of KOSAE, 285. 

  24. Park, S.G. and C.B. Lee (2007) Sensitivity Analysis of Tropospheric Ozone to Biogenic Emissions in Metropolitan Area Using Models-3/CMAQ, The 2007 Environmental Societies Joint Conference, 1548-1551. 

  25. Park, S.J., C.B. Lee, and T.H. Chun (2009) Sensitivity Analysis of Ozone Modeling by CMAQ to Biogenic Emissions Using BEIS v3.09, Proceeding of the 48th Meeting of KOSAE, 536-537. 

  26. Pouliot, G. and T. Pierce (2009) Integration of the Model of Emissions of Gases and Aerosols from Nature (MEGAN) into the CMAQ modeling system, 18th international emissions inventory conference. 

  27. Seinfeld, J.H. and S. Pandis (1998) Atmospheric Chemistry and Physics, Wiley Interscience, New York. 

  28. Wang, Q., Z. Han, T. Wang, and R. Zhang (2008) Impacts of biogenic emissions of VOC and NOx on tropospheric ozone during summertime in eastern China,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395, 41-4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